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가시리 ◈
카탈로그   본문  
1
가시리
 
 
2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3
리고 가시리잇고 나
4
위 증즐가 大平盛代
 
5
날러는 엇디 살라 고
6
리고 가시리잇고 나
7
위 증즐가 大平盛代
 
8
잡와 두어리마
9
선면 아니 올셰라
10
위 증즐가 大平盛代
 
11
셜온님 보내노니 나
12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13
위 증즐가 大平盛代
【원문】가시리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4
모* (98.169.***.***)   
2024-01-30 04:04:22
아리랑의 유래:
광개토대왕 비문에는 부여 엄(아)리대수(夫餘奄利大水)란 글자가 있다. 아리난 큰 님이란 뜻으로 한강을 아리수라 했다. 같은 뜻의 아리산(阿里山) 이 대만에 있다.
Ceylon 사자국(獅子國), 스리랑카 Sri Lanka 라 한다. 삼랑(三郞)이란 뜻이 있다. 삼한 사람들이 불교국가 Ceylon에 뱃길로 동남아를 돌아 대만섬을 지나 한반도에 들여온 히로 애각을 읊은 가요가 아리랑이다.
민요 아리랑에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 실린 스리랑은 삼랑 (三郞)을 뜻한다. 사자(師子,獅子) 우(禹)의 후손 사자 (嗣子), 소 우(牛)를 숭상 하는 전통. 힌두 힌머리 (노인, Elders) Himalaya, Indus River, Ganges River 降水.
재미 재야 사학가, 모솔 이돈성 올림.
mos** (98.169.***.***)   
2024-01-18 01:43:35
가야국 가실왕(加耶國嘉悉王) 이 마지막 단군이다. 그를 수유( 須臾) 화성 (和聖) 유하혜(柳下惠)라 했다.
가시리를 가야 망국 지음 (加耶亡國之音) 이라 했다. 왕이 하임궁(河臨宮)에 머물면서 가야금을 뜯는 소리를 들었다는 낭성(娘城)은 임유관(臨渝關)이 있던 금미달 영역이었다. 그곳에서 현명한 지도자를 이별하는 송별회가 열렸다. 우륵과 그의 제자들이 떠나야만 하는 왕이 되돌아 와서 대평성대 (大平盛代) 를 다시 이루기를 기원하는 애절한 감정을 가야금을 뜯으며 읊었던 노래다. 後還隱於阿斯達為山神。壽一千九百八歲. 須臾還隱
가시리 4장 후렴은 흔히 풀이 하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말”이 아니다. “나ᄂᆞᆫ 위 증즐가”는 “대평성대(大平盛代)” 와 같이 당시 훈역 했던 어음 “위 증 증가 (危症增加)를 한글로 기록 했다. 두 어휘는 현제도 쓰이고 있다.
선학들이 가요의 발생지와 장소, 그 유래를 몰라 잘못 풀이 했다. 진흥왕 또한 가시리의 내력을 몰라 (남녀간의 애정을 읊은 음란한 음악)이라 했다.
두손할* (211.247.***.**)   
2023-10-29 06:30:16
고려가요를 보면 원문이 한자어가 아닌 한글로 되어 있습니다.
어찌된건지 알려주실 수준 있나요?
필아저* (106.240.***.***)   
2021-03-26 12:28:53
전 4연의 민요풍의 노래로, ‘아리랑’을 연상하게 한다. 이 이별의 노래는 황진이의 시조를 거쳐 김소월의 ‘진달래꽃’에 까지 맥이 닿는다. 같은 고려 가요인 ‘서경별곡’과 비견(比肩)되기도 한다.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고려가요〕
▪ 분류 : 고려가요
▪ 최근 3개월 조회수 : 119
- 전체 순위 : 322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6 위 / 23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2) 돌다리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가시리(-) [제목]
 
  고려 가요(高麗歌謠)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고려 가요의 하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인용 디렉터리
☞ [잡동사니] 고려 가요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고려가요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가시리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