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며 자매 思며 服야 悠며 悠디라
21
窈窕 어딘 女 琴과 瑟로 友놋다 (주석 : 영인본상 ‘’은 불명확함)
28
葛의 覃홈이 中谷에 施야 닙이 萋萋거
30
黃鳥의 롬이 기남긔 集야 그 우롬이 喈喈더라
32
葛의 覃홈이 中谷에 施야 닙이 莫莫거
34
이에 뷔며 이에 마 絺 며 綌을 호니
51
기운 筐의 디 몯야셔 (주석 : 몯^)
61
내 아직 뎌 金罍옛 거 브어 기리 각디 아니호리라
67
내 아직 뎌 兕觥애 브어 기리 슬허 아니호리라
110
之子의 歸홈이여 그 室家 宜케 리로다
114
之子의 歸홈이여 그 家室 宜케 리로다
118
之子의 歸홈이여 그 집사을 宜케 리로다
121
肅肅 兎의 그믈이여 椓홈을 丁丁히 놋다
123
赳赳 武夫ᅵ여 公과 侯의 干이며 城이로다 (주석 : 公^과)
125
肅肅 兎의 그믈이여 中逵에 施엿도다
127
赳赳 武夫ᅵ여 公과 侯의 好 이로다
129
肅肅 兎의 그믈이여 中林에 施엿도다
136
며 芣苢 잠 두롸 (주석 : 영인본상에 나타난 대로 ‘두롸’로 입력함)
148
不可休息ᅵ로다[韓詩作思] (주석 : 영인본상 ‘ᅵ로다’는 ‘韓詩作思ᅵ로다’로 주석처럼 적혀 있으나 원문에 붙을 토가 잘못 표기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정하여 입력함)
149
可히 쉬디 몯리로다 (주석 : 영인본상 ‘ᅵ로다’는 ‘韓詩作思ᅵ로다’로 주석처럼 적혀 있으나 원문에 붙을 토가 잘못 표기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정하여 입력함)
167
翹翹 錯 薪애 그 蔞를 뷔오리라 (주석 : 리^라)
169
之子ᅵ 도라갈 제 그 아지 먹요리라
228
이에 蘩을 옴이 沼애며 沚예 놋다 (주석 : 놋^다)
232
이에 繁을 옴이 澗 가온 놋다
238
被의 祁祁홈이여 잠 도라가놋다 (주석 : 놋^다)
257
이믜 보며 이믜 만나면 (주석 : 영인본상 ‘ 이믜 보며’의 ‘이믜’는 ‘아믜’로 나타나 오자로 판단하여 수정함)
272
이에 蘋을 옴이 南澗ᄉ 애 놋다 (주석 : 놋^다)
274
이에 藻 옴이 뎌 行潦애 놋다
276
이에 담옴이 筐과 믿 筥ᅵ예 놋다
278
이에 몸이 錡와 믿 斧에 놋다 (주석 : 영인본상 ‘몸이’의 ‘이’는 ‘의’로도 보임)
280
이에 奠홈이 宗室ᄉ 牖 아래 놋다
291
蔽芾 甘棠을 翦티 말며 敗티 말라 (주석 : 티 ^ 말)
300
厭浥 길 이에 엇디 일져므리 아니려 리오마
302
길헤 이이 한가 너계니라 (주석 : 어절 분석 재검토 필요)
312
비록 나 獄애 速나 室家 足디 몯니라
322
비록 나 訟애 速나 너 좃디 아니호리라
325
羔羊의 皮여 흰 실로 다 고 紽엿도다
331
羔羊의 革이여 흰 실로 다 고 緎엿도다
333
委蛇며 委蛇니 公으로브터 退야 食놋다
335
羔羊의 縫이여 흰 실로 다 고 緫엿도다
337
委蛇며 委蛇니 退야 食홈을 公으로브터 놋다
342
엇디 이 이에 違디라 敢히 或도 遑티 몯고
348
엇디 이 이에 違디라 敢히 遑야 쉬디 몯고
350
振振 君子 도라오며 도라올딘뎌 (주석 : 오^며)
354
엇디 이 이에 違디라 或도 遑야 處티 몯고
365
나 求 庶士 그 이제 미츨딘뎌
369
나 求 庶士 그 닐옴을 미츨딘뎌
373
三五在東이로다 (주석 : ‘이로다’의 ‘다’는 불명확함)
395
之子ᅵ 歸 제 나 以티 아니놋다 (주석 : ^ 제)
409
나 過티 아니나 그 嘯다가 歌놋다
416
수프레 樸樕이 이시며 들헤 죽은 鹿이 잇거
420
날호여 胎胎히 야 내 帨 感티 말며
446
뎌 笜 葭애 번 發홈애 다 豝ᅵ로소니
450
뎌 茁 蓬애 번 發홈애 다 豵이로소니
466
• 兕 說文에 닐오 들쇼 고 털이 프르고 얼굴이 코키리 니라
467
交州記예 닐오 兕ᅵ 九德의셔 나니 기 석 자 남고 얼굴이 馬鞭柄 니라
478
• 楚 가나모 (說文에 닐오 기나모)
520
• 騶虞 埤雅의 일오 셧녁 즘승이니 님금이 지극 믿븐 덕이 이시면 나니라
521
山海經의 닐오 리 몸두곤 길고 다 가지 비치 다 니 면 쳔리 가니라 (주석 : ‘’ 자형 불확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