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 詩經諺解 卷之六 ◇
카탈로그   목차 (총 : 20권)     이전 6권 다음
1613년
목   차
[숨기기]
 

1. 詩經諺解 卷之六

 

1.1. 唐風

3
蟋蟀在堂니 歲聿其莫ᅵ엇다
4
蟋蟀이 堂애 이시니 歲 드듸여 그 莫것다
5
今我不樂이면 日月其除ᅵ리라
6
이제 우리 樂디 아니면 日月이 그 除리라
7
無已大康가 職思其居야
8
아니 너모 康가 職의 그 居를 思야
9
好樂無荒이 良士의 瞿瞿ᅵ니라
10
樂을 好호 荒티 아니홈이 良士의 瞿瞿 홀디니라 (주석 : 티 ^ 아)
11
蟋蟀在堂니 歲聿其逝ᅵ엇다
12
蟋蟀이 堂애 이시니 歲 드듸여 그 逝것다
13
今我不樂이면 日月其邁리라
14
이제 우리 樂디 아니면 日月이 그 邁리라
15
無已大康가 職思其外야
16
아니 너모 康가 職의 그 外를 思야
17
好樂無荒이 良士의 蹶蹶니라
18
樂을 好호 荒티 아니홈이 良士의 跪跪 홀디니라
19
蟋蟀在堂니 役車其休ᅵ엇다
20
蟋蟀이 堂애 이시니 役 車ᅵ 그 休것다
21
今我不樂이면 日月其慆ᅵ리다
22
이제 내 樂디 아니면 日月이 그 搯리라
23
無已大康가 職思其憂야
24
아니 너모 康가 職의 그 憂를 思야
25
好樂無荒이 良士의 休休ᅵ니라
26
樂을 好호 荒티 아니홈이 良士의 休休 홀디니라 (주석 : 니^라)
27
蟋蟀 三章
 

 
28
山有樞ᅵ며 隰有楡ᅵ니라
29
山애 樞ᅵ 이시며 隰애 楡ᅵ 인니라
30
子有衣裳호 弗曳弗婁ᅵ며
31
子ᅵ 衣裳을 두 曳티 아니며 婁티 아니며
32
子有車馬호 弗馳弗驅ᅵ면
33
子ᅵ 車馬를 두 馳티 아니며 驅티 아니면
34
宛其死矣어든 他人是愉ᅵ리라
35
宛히 그 死커든 他人이 이에 愉리라 (주석 : 他^人)
36
山有栲ᅵ며 隰有杻ᅵ니라
37
山애 栲ᅵ 이시며 隰애 杻ᅵ 인니라
38
子有廷內호 弗洒弗埽ᅵ며
39
子ᅵ 廷內를 두 洒티 아니며 埽티 아니며
40
子有鐘鼓호 弗鼓弗考ᅵ면
41
子ᅵ 鐘鼓를 두 鼓티 아니며 考티 아니면
42
宛其死矣어든 他人是保ᅵ리라
43
宛히 그 死커든 他人이 이에 保리라
44
山有漆이며 隰有栗이니라
45
山애 漆이 이시며 隰애 栗이 인니라
46
子有酒食호 何不日鼓瑟야
47
子ᅵ 酒食을 두 엇디 날로 瑟을 鼓야
48
且以喜樂며 且以永日고
49
  喜樂며   日을 永케 아닌뇨
50
宛其死矣어든 他人入室리라
51
宛히 그 死커든 他人이 室애 入리라
52
山有樞 三章
 

 
53
揚之水ᅵ여 白石鑿鑿이로다
54
揚 水ᅵ여 白石이 鑿鑿두다
55
素衣朱襮으로 從子于沃호리라
56
素 衣와 朱 襮으로 子를 沃애 從호리라
57
旣見君子호니 云何不樂이리오
58
임의 君子를 보니 엇디 樂디 아니리오
59
揚之水ᅵ여 白石皓皓ᅵ로다
60
揚 水ᅵ여 白石이 皓皓두다
61
素衣朱繡로 從子于鵠호리라
62
素 衣와 朱 繡로 子를 鵠애 從호리라
63
旣見君子호니 云何其憂ᅵ리오
64
임의 君子를 보니 엇디 그 憂리오
65
揚之水ᅵ여 白石粼粼이로다
66
揚 水ᅵ여 白石이 粼粼두다
67
我聞有命이오 不敢以告人호라
68
내 命 이쇼믈 듣고 敢히  人의게 告티 몯호라
69
揚之水 三章
 

 
70
椒聊之實이여 蕃衍盈升이로다
71
椒의 實이여 蕃衍야 升애 盈두다
72
彼其之子ᅵ여 碩大無朋이로다
73
뎌 之子ᅵ여 碩大야 朋이 업두다
74
椒聊且ᅵ여 遠條且ᅵ로다
75
椒ᅵ여 條ᅵ 遠홉도다
76
椒聊之實ᅵ여 蕃衍盈匊이로다
77
椒의 實이여 蕃衍야 匊애 盈두다 (주석 : 盈^)
78
彼其之子ᅵ여 碩大且篤이로다
79
뎌 之子ᅵ여 碩大코  篤두다
80
椒聊且ᅵ여 遠條且ᅵ로다
81
椒ᅵ여 條ᅵ 遠홉도다
82
椒聊 二章
 

 
83
綢繆束薪일 三星在天이로다
84
綢繆히 薪을 束 三星이 天애 잇두다
85
今夕何夕고 見此良人호라
86
今夕이 엇던 夕고 이 良人을 보롸
87
子兮子兮여 如此良人何오
88
子ᅵ여 子ᅵ여 이 良人애 엇디료
89
綢繆束芻 三星在隅ᅵ로다
90
綢繆히 芻를 束 三星이 隅애 잇두다
91
今夕何夕고 見此邂逅호라
92
今夕이 엇던 夕고 이 邂逅를 見호라
93
子兮子兮여 如此邂逅何오
94
子ᅵ여 子ᅵ여 이 邂逅애 엇디료
95
綢繆束楚 三星在戶ᅵ로다
96
綢繆히 楚를 束 三星이 戶애 잇두다
97
今夕何夕고 見此粲者호라
98
今夕이 엇던 夕고 이 粲 者를 見호롸
99
子兮子兮여 如此粲者何오
100
子ᅵ여 子ᅵ여 이 粲 者애 엇디료
101
綢繆 三章
 

 
102
有杕之杜ᅵ여 其葉湑湑ᅵ로다
103
杖 杜ᅵ여 그 葉이 湑湑두다
104
獨行踽踽호니 豈無他人이리오마
105
홀로 行홈을 踽踽히 호니 엇디 他人이 업스리오마
106
不如我同父ᅵ니라
107
내 同父니만 디 몯니라
108
嗟行之人은 胡不比焉고
109
嗟홉다 行 人은 엇디 比티 아닌고
110
人無兄弟어늘 胡不佽焉고
111
人이 兄弟 업거 엇디 次티 아닌고
112
有杕之杜ᅵ여 其葉菁菁이로다
113
杖 杜ᅵ여 그 葉이 菁菁두다
114
獨行睘睘호니 豈無他人이리오마
115
홀로 行홈을 睘睘히 호니 엇디 他人이 업스리오마 (주석 : '홀로'는 뚜렷하지 않음)
116
不如我同姓이니라
117
내 同姓니만 디 몯니라
118
嗟行之人은 胡不比焉고
119
嗟홉다 行 人은 엇디 比티 아닌고
120
人無兄弟어늘 胡不佽焉고
121
人이 兄弟 업거늘 엇디 次티 아닌고
122
杕杜 二章
 

 
123
羔裘豹袪ᅵ로소니 自我人居居ᅵ로다
124
羔로  裘애 豹로 祛얏도소니 우리 人의 居居로브테로다
125
豈無他人이리오마 維子之故ᅵ니라
126
엇디 他人이 업스리오마 子의 故ᅵ니라
127
羔裘豹褎ᅵ로소니 自我人究究ᅵ로다
128
羔로  裘애 豹로 褎얏도소니 우리 人의 究究로브테로다 (주석 : 우^리)
129
豈無他人이리오마 維子之好ᅵ니라
130
엇디 他人이 업스리오마 子를 好홈이니라
131
羔裘 二章
 

 
132
肅肅鴇羽ᅵ여 集于苞栩ᅵ로다
133
肅肅 鴇의 羽ᅵ여 苞 栩애 集얏두다
134
王事靡盬ᅵ라 不能蓺稷黍호니
135
王事를 盬티 몯 거시라 能히 稷과 黍를 蓺티 몯호니
136
父母何怙오
137
父母ᅵ 므어슬 怙고 (주석 : 父^母)
138
悠悠蒼天아 曷其有所오
139
悠悠 蒼天아 언제 그 所ᅵ 이실고
140
肅肅鴇翼ᅵ여 集于苞棘이로다
141
肅肅 鴇의 翼이여 苞 棘애 集얏두다
142
王事靡盬ᅵ라 不能蓺黍稷호니
143
王事를 盬티 몯 거시라 能히 黍와 稷을 蓺티 몯호니
144
父母何食고
145
父母ᅵ 므어슬 食고
146
悠悠蒼天아 曷其有極고
147
悠悠 蒼天아 언제 그 極이 이실고 (주석 : 蒼^天)
148
肅肅鴇行이여 集于苞桑이로다
149
肅肅 鴇의 行이여 苞 桑애 集얏두다
150
王事靡盬ᅵ라 不能蓺稻梁호니
151
王事를 盬티 몯  거시라 能히 稻와 梁을 蓺티 몯호니
152
父母何嘗고
153
父母ᅵ 므어슬 嘗고
154
悠悠蒼天아 曷其有常고
155
悠悠 蒼天아 언제 그 常이 이실고
156
鴇羽 三章
 

 
157
豈曰無衣七兮리오
158
엇디 衣ᅵ 七이 업다 리오
159
不如子之衣ᅵ 安且吉兮니라
160
子의 衣ᅵ 安고  吉홈만 디 몯니라
161
豈曰無衣六兮리오
162
엇디 衣ᅵ 六이 업다 리오
163
不如子之衣ᅵ 安且燠兮니라
164
子의 衣ᅵ 安고  燠홈만 디 몯니라
165
無衣 二章
 

 
166
有杕之杜ᅵ여 生于道左ᅵ로다
167
杕 杜ᅵ여 道左애 生얏두다
168
彼君子兮ᅵ 噬肯適我아
169
뎌 君子ᅵ 즐겨 내게 適가
170
中心好之나 曷飮食之오
171
中心에 好나 엇디 飮며 食고
172
有杕之杜ᅵ여 生于道周ᅵ로다
173
杕 杜ᅵ여 道周애 生얏두다
174
彼君子兮ᅵ 噬肯來遊아
175
뎌 君子ᅵ 즐겨 와 遊가
176
中心好之나 曷飮食之오
177
中心에 好나 엇디 飮며 食고
178
有杕之杜 二章
 

 
179
葛生蒙楚며 蘝蔓于野ᅵ로다
180
葛이 生야 楚애 蒙며 蘝이 野애 蔓얏두다
181
予美亡此니 誰與獨處오
182
내의 美ᅵ 이애 업스니 눌로 더브러 혼자 處얀고
183
葛生蒙棘며 蘝蔓于域이로다
184
葛이 生야 棘애 蒙며 蘝이 域애 蔓얏두다
185
予美亡此니 誰與獨息고
186
내의 美ᅵ 이에 업스니 눌로 더브러 혼자 息얀고
187
角枕粲兮며 錦衾爛兮로다
188
角枕이 粲며 錦衾이 爛두다
189
予美亡此니 誰與獨旦고
190
내의 美ᅵ 이에 업스니 눌로 더브러 혼자 旦고
191
夏之日와 冬之夜ᅵ여
192
夏의 日과 冬의 夜ᅵ여
193
百歲之後에나 歸于其居호리라
194
百歲ᄉ 後에나 그 居의 歸호리라
195
冬之夜와 夏之夜이여
196
冬의 夜와 夏의 日이여
197
百歲之後에나 歸于其室호리라
198
百歲ᄉ 後에나 그 室에 歸호리라
199
葛生 五章
 

 
200
采苓采苓을 首陽之巓가
201
笭을 采며 笭을 采홈을 首陽ᄉ 巓애  것가
202
人之爲言을 苟亦無信이어다
203
人의 言홈을 진실로  信티 말올디어다
204
舍旃舍旃야 苟亦無然이면
205
舍며 舍야 진실로  然히 녀기디 아니면
206
人之爲言이 胡得焉이리오
207
人의 言홈이 엇디 得리오
208
采苦采苦 首陽之下아
209
苦를 采며 苦를 采홈을 首陽ᄉ 下애 홀 것가
210
人之爲言을 苟亦無與ᅵ어다
211
人의 言홈을 진실로  與티 말올디어다
212
舍旃舍旃야 苟亦無然이면
213
舍며 舍야 진실로  然히 녀기디 아니면
214
人之爲言이 胡得焉이리오
215
人의 言홈이 엇디 得리오
216
采葑采葑을 首陽之東가
217
葑을 采며 葑을 采홈을 首陽ᄉ 東애  것가 (주석 : 陽^ᄉ)
218
人之爲言을 苟亦無從이어다
219
人의 言홈을 진실로  從티 말올어다
220
舍旃舍旃야 苟亦無然이면
221
舍며 舍야 진실로  然히 녀기디 아니면
222
人之爲言이 胡得焉이리오
223
人의 言홈이 엇디 得리오
224
采苓 三章
 

 
 

1.2. 秦風

226
有車鄰鄰이며 有馬白顚이로다
227
車ᅵ 鄰鄰며 馬ᅵ 顚이 白두다
228
未見君子호니 寺人之令이로다
229
君子를 見티 몯호니 寺人을 令놋다 (주석 : 을 ^ 令)
230
阪有漆이며 隰有栗이로다
231
阪애 漆이 이시며 隰애 栗이 잇도다
232
旣見君子ᅵ라 並坐鼓瑟호라
233
임의 君子를 見디라 와 坐야 瑟을 鼓호라
234
今者不樂이면 逝者其耋이리라
235
이제 樂디 아니면 逝홈이 그 耋리라
236
阪有桑이며 隰有楊이로다
237
阪애 桑이 이시며 隰애 楊이 잇도다
238
旣見君子ᅵ라 並坐鼓簧호라
239
임의 君子를 見디라 와 坐야 簧을 鼓호라
240
今者不樂이면 逝者其亡이리라
241
이제 樂디 아니면 逝홈이 그 亡리라
242
車鄰 三章
 

 
243
駟驖孔阜니 六轡在手ᅵ로다
244
駟驖이 孔히 阜니 六轡ᅵ 手애 잇도다
245
公之媚子ᅵ 從公于狩ᅵ로다
246
公의 媚 子ᅵ 公을 從야 狩놋다 (주석 : 을 ^ 從)
247
奉時辰牡니 辰牡孔碩이로다
248
이 辰牡를 奉니 辰牡ᅵ 孔히 碩두다
249
公曰左之시니 舍拔則獲이로다
250
公이 닐샤 左라 시니 拔을 舍홈애 곧 獲놋다
251
遊于北園니 四馬旣閑이로다
252
北園애 遊니 四馬ᅵ 임의 閑두다
253
輶車鸞鑣ᅵ로소니 載獫歇驕ᅵ로다
254
輶 車애 鸞 鏢이로소니 獫과 歇驕를 載얏두다
255
駟驖 三章
 

 
256
小戎俴收ᅵ로소니 五楘梁輈ᅵ로다
257
小戎이 俴 收ᅵ로소니 다 고대 楘 梁  舟ᅵ로다
258
游環脅驅ᅵ며 陰靷鋈續ᅵ며
259
遊 環이며 脅애  驅ᅵ며 陰애 靷호 續 鋈야시며
260
文茵暢轂이로소니 駕我騏馵ᅵ로다
261
文茵이며 暢 轂이로소니 우리 騏와 馵를 駕얏도다
262
言念君子호니 溫其如玉이로다
263
君子를 念호니 溫호미 그 玉 도다
264
在其板屋야 亂我心曲이로다
265
그 板屋애 在야 내 心曲을 亂케 놋다
266
四牡孔阜니 六轡在手ᅵ로다
267
四牡ᅵ 孔히 阜니 六轡手애 잇도다
268
騏駵是中이오 騧驪是驂이로소니
269
騏와 駵ᅵ 이에 中고 騧와 驤ᅵ 이에 驂얏도소니
270
龍盾之合이오 鋈以觼軜이로다
271
龍盾을 合고 鋈야  觼 軜얏도다
272
言念君子호니 溫其在邑이로다
273
君子를 念호니 溫히 그 邑애 在얏도다
274
方何爲期오 胡然我念之오
275
쟝 어니 제로 期를 고 엇디 날로 念케 뇨 (주석 : 디 ^ 날)
276
俴駟孔羣이어늘 厹矛鋈錞ᅵ로다
277
俴 駟ᅵ 孔히 羣커늘 厹矛ᄉ 錞애 鋈얏도다
278
蒙伐有苑이어늘 虎韔鏤膺이로다
279
夢 伐이 苑거늘 虎로  䩨이며 鏤 膺이로다 (주석 : 언해문의 ‘䩨’은 원문의 ‘韔’과 대응됨. 영인본의 표기를 그대로 옮김)
280
交韔二弓니 竹閉緄縢이로다
281
䩨에 二弓을 交니 竹으로 閉를 고 緄으로 滕얏도다 (주석 : 언해문의 ‘䩨’은 원문의 ‘韔’과 대응됨. 영인본의 표기를 그대로 옮김)
282
言念君子야 載寢載興호라
283
君子를 念야 곳 寖며 곳 興호라
284
厭厭良人이여 秩秩德音이로다
285
厭厭 良人이여 德音이 秩秩두다
286
小戎 三章
 

 
287
蒹葭蒼蒼니 白露爲霜이로다
288
蒹葭ᅵ 蒼蒼니 白露ᅵ 霜이 되놋다
289
所謂伊人이 在水一方이로다
290
닐온 바 伊人이 水ᄉ 一方애 잇도다
291
遡洄從之나 道阻且長이며
292
遡洄야 從호려 나 道ᅵ 阻고  長며
293
遡游從之나 宛在水中央이로다
294
遡游야 從호려 나 宛히 水ᄉ 中央애 잇도다
295
蒹葭淒淒니 白露未晞로다
296
蒹葭ᅵ 凄凄니 白露ᅵ 晞티 몯얏도다
297
所謂伊人이 在水之湄로다
298
닐온 바 伊人이 水ᄉ 湄애 잇두다
299
遡洄從之나 道阻且躋며
300
遡洄야 從호려 나 道ᅵ 阻고  躋며
301
遡游從之나 宛在水中坻로다
302
遡游야 從호려 나 宛히 水ᄉ 中坻애 잇두다
303
蒹葭采采니 白露未已로다
304
蒹葭ᅵ 采며 采염즉니 白露ᅵ 마디 아니놋다
305
所謂伊人이 在水之涘ᅵ로다
306
닐온 바 伊人이 水ᄉ 涘애 잇두다
307
遡洄從之나 道阻且右ᅵ며
308
遡洄야 從호려 나 道ᅵ 阻고  右며
309
遡游從之나 宛在水中沚로다
310
遡游야 從호려 나 宛히 水中沚애 잇두다
311
蒹葭 三章
 

 
312
終南何有오 有條有梅로다
313
終南애 므서시 뇨 條ᅵ 이시며 梅 잇두다 (주석 : ‘뇨’는 오자로 여겨지지만 영인본에 나타난 대로 옮김)
314
君子至止시니 錦衣狐裘ᅵ샷다
315
君子ᅵ 至시니 狐裘에 錦衣를 샷다
316
顔如渥丹시니 其君也哉샷다
317
顔이 渥 丹 시니 그 君이샷다
318
終南何有오 有紀有堂이로다
319
終南애 므서시 뇨 紀 이시며 堂이 잇두다 (주석 : ‘뇨’는 오자로 여겨지지만 영인본에 나타난 대로 옮김)
320
君子至止시니 黻衣繡裳이샷다
321
君子ᅵ 至시니 黻衣며 繡裳이샷다 (주석 : 衣^며)
322
佩玉將將시니 壽考不忘이로다
323
佩玉이 將將시니 壽考콰댜 야 忘티 몯리로다
324
終南 二章
 

 
325
交交黃鳥ᅵ여 止于棘이로다
326
交交 黃鳥ᅵ여 棘애 止얏두다 (주석 : ^얏)
327
誰從穆公고 子車奄息이로다
328
뉘 穆公을 從고 子車奄息이로다
329
維此奄息이여 百夫之特이로다
330
이 奄息이여 百夫의 特이로다
331
臨其穴야 惴惴其慄이로다
332
그 穴을 臨야 惴惴히 그 慄놋다
333
彼蒼者天이여 殲我良人이로다
334
뎌 蒼 天이여 우리 良人을 殲놋다
335
如可贖兮ᄂ댄 人百其身이로다
336
만일 可히 贖댄 人이 그 身을 百고져 리로다
337
交交黃鳥ᅵ여 止于桑이로다
338
交交 黃鳥ᅵ여 桑애 止얏두다
339
誰從穆公고 子車仲行이로다
340
뉘 穆公을 從고 子車仲行이로다
341
維此仲行이여 百夫之防이로다
342
仲行이여 百夫의 防이로다
343
臨其穴야 惴惴其慄이로다
344
그 穴을 臨야 惴惴히 그 慄놋다
345
彼蒼者天이여 殲我良人이로다
346
뎌 蒼 天이여 우리 良人을 殲놋다
347
如可贖兮ᄂ댄 人百其身이로다
348
만일 可히 贖댄 人이 그 身을 百고져 리로다
349
交交黃鳥ᅵ여 止于楚ᅵ로다
350
交交 黃鳥ᅵ여 楚애 止얏두다
351
誰從穆公고 子車金咸虎ᅵ로다
352
뉘 穆公을 從고 子車鍼虎ᅵ로다
353
維此金咸虎ᅵ여 百夫之禦ᅵ로다
354
이 鍼虎ᅵ여 百夫의 禦ᅵ로다
355
臨其穴야 惴惴其慄이로다
356
그 穴을 臨야 惴惴히 그 慄놋다
357
彼蒼者天이여 殲我良人이로다
358
뎌 蒼 天이여 우리 良人을 殲놋다 (주석 : 良^人)
359
如可贖兮ᄂ댄 人百其身이로다
360
만일 可히 贖댄 人이 그 身을 百고져 리로다
361
黃鳥 三章
 

 
362
鴥彼晨風이여 鬱彼北林이로다
363
鴥 뎌 晨風이여 鬱 뎌 北林의 놋다
364
未見君子ᅵ라 憂心欽欽호라
365
君子를 見티 몯디라 心애 憂홈을 欽欽히 호라
366
如何如何로 忘我實多오
367
엇디엇디모로 나 忘호믈 진실로 해 뇨 (주석 : ‘엇디엇디모로’에 대한 띄어쓰기 재검토 필요)
368
山有苞櫟이며 隰有六駁이로다
369
山애 苞 櫟기 이시며 隰애 六駁이 잇도다 (주석 : ‘櫟기’의 ‘기’의 자형이 다소 특이함. 영인본에 나타난 대로 입력함)
370
未見君子ᅵ라 憂心靡樂호라
371
君子를 見티 몯디라 心애 憂야 樂디 몯호라
372
如何如何로 忘我實多오
373
엇디엇디모로 나 忘호믈 진실로 해 뇨 (주석 : ‘엇디엇디모로’에 대한 띄어쓰기 재검토 필요)
374
山有苞棣며 隰有樹檖ᅵ로다
375
山애 苞 梯 이시며 隰애 樹 檖ᅵ 잇도다
376
未見君子ᅵ라 憂心如醉호라
377
君子를 見티 몯디라 心애 憂호믈 醉  호라
378
如何如何로 忘我實多오
379
엇디엇디모로 나 忘호믈 진실로 해 뇨 (주석 : ‘엇디엇디모로’에 대한 띄어쓰기 재검토 필요)
380
晨風 三章
 

 
381
豈曰無衣라 與子同袍ᅵ리오
382
엇디 衣 업디라 子로려 袍를 同챠 리오
383
王于興師ᅵ어시든
384
王으로 師를 興커시든
385
修我戈矛야 與子同仇호리라
386
우리 戈와 矛를 脩야 子로 려 仇를 同호리라 (주석 : 리 ^ 戈)
387
豈曰無衣라 與子同澤이리오
388
엇디 衣 업디라 子로려 澤을 同챠 리오
389
王于興師ᅵ어시든
390
王으로 師를 興커시든
391
修我矛戟야 與子偕作호리라
392
우리 矛와 戟을 修야 子로 려  作호리라
393
豈曰無衣라 與子同裳이리오
394
엇디 衣 업디라 子로려 裳을 同챠 리오
395
王于興師ᅵ어시든
396
王으로 師를 興 거시든
397
修我甲兵야 與子偕行호리라
398
우리 甲兵을 修야 子로 려  行호리라
399
無衣 三章
 

 
400
我送舅氏야 曰至渭陽호라
401
내 舅氏를 送야 渭陽애 至호라 (주석 : 호^라)
402
何以贈之오 路車乘黃이로다
403
므어스로  贈료 路車와 乘黃이로다
404
我送舅氏호니 悠悠我思ᅵ로다
405
내 舅氏 送호니 내 思ᅵ 悠悠두다
406
何以贈之오 瓊瑰玉佩로다
407
므어스로  贈료 瓊瑰와 玉佩로다
408
渭陽 二章
 

 
409
於我乎애 夏屋渠渠ᅵ러니
410
내게 夏屋이 渠渠더니
411
今也앤 每食無餘ᅵ로다
412
이젠  食홈애 餘ᅵ 업도다
413
于嗟乎ᅵ라 不承權輿ᅵ여
414
嗟홉다 權輿를 承티 못홈이여
415
於我乎애 每食四簋러니
416
내게 양 食홀 제 四蓋러니
417
今也앤 每食不飽ᅵ로다
418
이젠 양 食홈애 飽티 아닛놋다
419
于嗟乎ᅵ라 不承權輿ᅵ여
420
嗟홉다 權與를 承티 못홈이여 (주석 : 영인본에 ‘못홈이여’는 ‘못홉이여’로 나타나지만 오자로 판단하여 수정하여 입력함)
421
權輿 二章
 

 
 

2. 詩經諺解 卷之六 物名

 

2.1. 唐風

424
蟋蟀
425
• 蟋蟀 귓도람이 / 뵙이
426
山有樞
427
• 樞 스믜나무
428
• 楡 느릅
429
• 馬
430
• 栲 나무
431
• 杻 대리
432
• 漆 옷나무
433
• 栗
434
椒聊
435
• 椒 션쵸
436
綢繆
437
• 薪 섭나무
438
• 楚 가나무
439
杕杜
440
• 杜 아가외
441
羔裘
442
• 羔 염쇼
443
• 豹 바독범
444
鴇羽
445
• 鴇 너시
446
• 栩 덥갈
447
• 稷
448
• 黍 기
449
• 棘 싄대쵸
450
• 桑 나무
451
• 稻
452
• 粱 기
453
葛生
454
• 葛
455
• 蘝 뜻풀이 없음
456
采苓
457
• 苓 감초
458
• 苦 바곳
459
• 葑 만이니 쉰무우 (주석 : ‘쉰’ 자형 불확실)
 
 

2.2. 秦風

461
車鄰
462
• 楊 버들
463
駟驖
464
• 獫 사개
465
• 歇驕 사개 (주석 : ‘ᅌ’이 아닌 ‘ᄋ’으로 나타나 있으나 오자로 판단하여 ‘ᅌ’으로 입력함)
466
小戎
467
• 騏 텰이
468
• 馵 자녁 발 흰
469
• 駵 월라
470
• 騧 공골
471
• 驪 가라
472
• 龍
473
• 虎
474
• 蒹
475
• 竹
476
終南
477
• 葭
478
• 條 래나무
479
• 梅 화
480
• 狐 여어 (주석 : 자형 불확실함)
481
黃鳥
482
• 黃鳥 굇고리
483
• 棘 싄대쵸
484
• 楚 가나무
485
• 虎
486
晨風
487
• 晨風 새매
488
• 櫟 덥갈
489
• 駁 잡
490
• 棣 블근 아가외 산
491
• 檖 묏
【원문】詩經諺解 卷之六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언해〕
▪ 최근 3개월 조회수 : 351
- 전체 순위 : 225 위 (1 등급)
- 분류 순위 : 15 위 / 21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시경언해 [제목]
 
  1613년 [발표]
 
  언해(諺解)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어문/학습/예술 카탈로그   목차 (총 : 20권)     이전 6권 다음 한글(고어) 
◈ 詩經諺解(시경언해)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2년 0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