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한양오백년가 (漢陽五百年歌) ◈
◇ 1 ◇
해설   목차 (총 : 13권)     처음◀ 1권 다음
1913년
사공수
1
슬프다 친구님네,
2
이 가사를 들어 보소.
3
어떤 사직 어떠한가?
4
漢陽歌를 지었어라.
5
이 가사를 자세히 보면
6
한양 사직 자세히 알아,
7
오백 년 지낸 史蹟
8
興亡盛衰 여기 있고,
9
이십팔 왕 치국하심
10
善 不善이 여기 있고.
 
11
장할씨고 우리 태조!
12
놀랍도다 우리 대왕!
13
將略도 장할씨고,
14
文筆도 유려하다.
15
아들이 팔 형제니,
16
福力도 더욱 좋다.
17
이십에 등과하여,
18
삼십이 못 되어서,
19
첫 벼슬 무엇인가?
20
총무대장 하시었다.
21
이 때가 어느 땐가?
22
恭讓王의 말년이라.
 
23
鄭圃隱은 政丞이요,ᅟᅟᅟ(鄭圃隱 : 圃隱 鄭夢周)
24
權陽村은 判書로다.ᅟᅟᅟ(權陽村 : 陽村 權近),
25
黃厖村은 輔國이요,ᅟᅟᅟ(黃厖村 : 厖村 黃喜),
26
吉冶隱은 注書로다.ᅟᅟᅟ(吉冶隱 : 冶隱 吉再)
27
조정은 씩씩하나
28
임금이 혼미하니,
29
그 나라를 보존하면
30
그 사직을 지킬쏘냐?
 
31
태조 대왕 거동 보소.
32
송악산에 높이 올라
33
신현사에 들어가서
34
글을 짓고 돌아올 제,
35
天機를 바라보고
36
국운을 요량하니,
37
왕건 태조 전한 史蹟
38
사백 칠십 오년이라.
 
39
퉁두란은 上將軍이요ᅟᅟᅟ(퉁두란 : 佟豆蘭. 李之蘭의 본명),
40
鄭三峰은 謀士 되어,ᅟᅟᅟ(鄭三峰 : 三峰 鄭道傳)
41
일조에 反正하여
42
壽昌宮에 등극하니,
43
그 때가 어느 땐가?
44
임신년(1392) 칠월 십육일이라.
 
45
등극하신 칠일 만에
46
太平科를 보이신들,
47
圃隱을 두려워하여
48
어느 누가 과거 보리.
 
49
칠십이인 충신들은
50
杜門洞에 들어가고,
51
冶隱 선생 어디 갔나?
52
金烏山城 찾아간다.
53
圃隱 선생 하나 있어
54
복위를 어이할까?
 
55
태조 대왕 거동 보소.
56
善竹橋 다리 위에
57
圃隱 선생 불러내어
58
국사를 다툴 적에,
59
들으면 벼슬 주고
60
안 들으면 죽이기로,
61
趙英珪는 철퇴 들려
62
좌편에 세워 두고,
63
동정을 보는 모양
64
朱亥 力士 철퇴 들고
65
晉鄙를 엿보는 듯.
66
博浪沙 중 滄海 力士
67
秦始皇을 맞힐 듯이.
 
68
이렇듯이 위급할 제
69
장할씨고 圃隱 선생!
70
태산같이 굳게 앉아
71
일월같이 굳은 충절,
72
송죽같이 굳은 절개,
73
죽는 것을 모르거든
74
철퇴 보고 두려워할까?
 
75
태조 대왕 거동 보소.
76
圃隱 보고 이른 말이,
77
성황당 저 궁전이
78
퇴락한지 오래오니
79
중수함이 어떠하오?
80
圃隱 선생 대답하되,
81
백번 죽고 또 죽어서
82
백골이 사라져서
83
진토가 될지언정
84
절개는 못 변할세.
85
趙英珪 거동 보소.
86
사십 근 쇠 방망이
87
소매 속에 얼른 내어,
88
눈 위에 번뜻 들어
89
圃隱 머리 한번 치니,
90
두골이 파쇄하고
91
유혈이 낭자하여,
92
善竹橋 다리 위에
93
혈흔이 點點하여,
94
風磨雨洗 오백년에
95
지금까지 흔적있어
96
충절을 전해 오니,
97
장할씨고 선생 충절!
98
천지도 동감하고
99
일월도 爭光하네.
 
100
태조 대왕 거동 보소.
101
鄭三峰 분부하고
102
無學을 불러다가
103
王都를 정할 적에
104
임진강을 얼른 지나
105
삼각산 일 지맥에
106
대궐 터를 잡아 놓고
107
대궐 좌향 어찌할까?
108
無學이는 亥坐巳向,
109
鄭三峰은 子坐午向.
110
둘이 서로 다툴 적에
111
鄭三峰 하는 말이,
112
네 모른다 이 중 녀석
113
亥坐巳向 놓지 마라.
114
儒道는 간 데 없고
115
佛道만 흥성한다.
116
無學이 하는 말이,
117
여보시오 서방님아
118
아는 체 너무 마오.
119
子坐午向 놓아 보소.
120
다섯 번 저 난리와
121
열두 번 놀랄 일을
122
무엇으로 막을쏜가?
123
잔말 말고 이리 놓세.
124
鄭三峰 하는 말이,
125
미련하다 이 無學아.
126
막는 법이 여기 있다.
127
辰方이 허하기로
128
그 두 가지 있을 줄은
129
모르잖아 나도 안다.
130
동대문 현판 쓸 때
131
갈지자(之字)로 놓아 쓰면,
132
아무 걱정 없을 거니
133
子坐午向 놓아 보자.
134
無學이 분을 내어
135
동대문 밖 썩 나서서,
136
왕십리를 찾아가서
137
대궐 터를 돌아보고,
138
한 자 길이 파고 보니
139
石函이 들었거늘,
140
깨뜨리고 자세히 보니
141
石函에 하였으되,
142
요망한 無學이가
143
그릇 찾아 예 왔도다.
144
無學이 자탄하고
145
그 길로 달아나서,
146
강원도 금강산에
147
土窟을 묻어 놓고,
148
佛道를 숭상하고
149
세월을 보내더라.
 
150
鄭三峰 거동 보소.
151
대궐을 지을 적에
152
남산잠두 朱雀 되고
153
무학재가 玄武로다.
154
광나루가 水口 되고
155
임진강이 咽喉로다.
156
남한산성 靑龍 되고
157
용산 삼개 白虎로다.ᅟᅟᅟ(삼개 : 麻浦)
158
이렇듯이 향배 놓아
159
東西南北 사 대문을
160
仁義禮智 네 글자로
161
서로 응해 지어 놓으니
162
동관 대궐 제일 좋다.
 
163
영덕궁 만수궁은
164
웅장하고 화려하다.
165
은정전 선정전은
166
웅장하고 사치하다.
167
완월궁 육상궁은
168
長遠하고 幽僻하다.
169
홍덕궁 덕수궁은
170
황홀하고 精灑하다.
171
흥전각 청천각은
172
능란하고 명랑하다.
173
수청궁 죽동궁은
174
청아하고 선명하다.
175
제일궁 경화궁은
176
놀랍고도 장하도다.
177
집춘문 월근문은
178
지형이 험고하다.
 
179
춘당대 경무대는
180
높고도 넓었으니
181
과거 보기 더욱 좋다.
182
남별궁은 좋건마는
183
음침하여 鬼闕 같다.
 
184
이렇듯이 좋은 궁궐
185
태조 대왕 등극하니,
186
그 왕비는 뉘시던가?
187
안변한씨 부인이오.
188
부원군은 누구던가?
189
곡산 사람 允成이라.ᅟᅟᅟ(允成 : 象山府院君 康允成)
190
임금이 어지시어
191
국정을 선치하니,
192
왕비들도 어지시고
193
부원군도 착하도다.
194
치국하신 칠 년 만에
195
창업공신 장할씨고.
196
堯之日月 밝아오고
197
舜之乾坤 이 아닌가?
198
도탄 중에 들던 백성
199
거리거리 춤을 춘다.
200
時和年豐 태평이요
201
國泰民安 치사로다.
202
恭讓王 모진 정사
203
어이 그리 모질던가?
204
桀紂만 못할쏜가?
205
요순 같은 우리 대왕
206
勞困하니 어이 하리.
 
207
재위하신 칠 년에
208
정종에게 전위하고,
209
上王位에 계시기를
210
십년을 지낸 후에,
211
萬壽宮에 전좌하시어
212
정사를 버리시니,
213
서리 춘풍 백발이라.
 
214
정종 대왕 등극하니
215
그 왕비는 누구던고?
216
경주김씨 부인이오.
217
부원군은 누구던가?
218
경주 사람 天이로다.ᅟᅟᅟ(天 : 月城府院君 金天瑞)
219
등극하신 십 년 만에
 
220
정종 대왕 거동 보소.
221
창업 공을 의논컨대
222
나의 공이 제일이라.
223
태종이 분을 내어
224
조회에 들어갈 제,
225
용상 앞에 엎드려서
226
눈길이 수상하니,
227
정종 왕비 눈치 알아
228
정종에게 권한 말씀,
229
그 위를 내어 주오
230
骨肉相爭 하오리다.
231
이 때에 태종 대왕
232
骨肉相爭 무엇인가?
233
芳蕃 芳碩 죽일 때라.ᅟᅟᅟ(芳蕃․芳碩 : 이태조의 7남과 8남)
 
234
정종 대왕 그 말 듣고
235
태종에게 전위하니,
236
태종 대왕 등극하니
237
그 왕비는 누구던가?
238
여주민씨 부인이오.
239
부원군은 누구던가?
240
여주 사람 閔霽로다.ᅟᅟᅟ(閔霽 : 驪興府院君)
 
241
태종 대왕 등극 후의
242
정종 대왕 거동보소.
243
완월궁에 피해 앉아
244
심신이 불평하여
245
아버님께 고한 말씀,
246
태종의 마음 보면
247
무슨 일을 못하리까?
 
248
태조대왕 분을 내어
249
옥새를 뺏어갈 제
250
함흥으로 내려가서
251
탁록궁에 혼자 앉아
252
한양 소식 永訣하니
253
태종 대왕 거동 보소.
254
등극은 하였으나
255
옥새가 간 곳 없다.
256
옥새 없는 이 임금이
257
무슨 재미 있으리오.
 
258
태종 대왕 거동 보소.
259
부원군이 들어가면
260
태종 대왕 하는 말씀,
261
옥새 없어 어이 하오.
262
부원군 하는 말이,
263
옥새 같이 중한 물건
264
사람마다 보내리까?
265
함흥을 누가 갈까?
266
조정 중의 이원태를
267
상소하고 보내소서.
268
상소를 누가 쓸까?
269
글 잘하는 조순태는
270
翰林學士 있을 때라.
271
조순태 상소 지어
272
이원태 찾아가서,
273
함흥을 얼른 가서
274
상소를 올리거늘,
275
태조 대왕 분을 내시어
276
不問曲直 덮어 놓고,
277
한양에서 왔다 하니
278
한양 사자 목 베어라.
 
279
태조 대왕 거동 보소.
280
옥새를 바라더니
281
옥새는 아니 오고
282
이원태만 죽었구나.
283
그 후에 또 보내나
284
오는대로 목을 베네.
285
함흥이 어디던가?
286
염라국이 여기로다.
287
한 번 가면 다시 올까?
288
이러므로 時俗 말이,
289
한번 가고 아니 오면
290
함흥 사자 이것이라.
291
태종 대왕 즉위한 지
292
삼 년을 지내도록
293
옥새 없이 정치하니,
294
국사도 창망하고
295
사직도 재미 없고,
296
부원군과 의논하되,
297
옥새를 받들자면
298
몇 사람이 죽을런지.
 
299
퉁두란을 찾아 들여ᅟᅟᅟ(퉁두란 : 佟豆蘭. 李之蘭의 본명)
300
태종 대왕 하신 말씀,
301
우리 부자 창업함은
302
선생님이 아는 바라.
303
옥새를 찾자 하면
304
선생님이 아니 가고
305
다른 사람 보낼진대,
306
無罪한 사자 목숨
307
수없이 죽을 거니,
308
선생은 생각하시어
309
한 번 행차 하여 보오.
 
310
퉁두란이 그 말 듣고
311
仰天大笑 하는 말이,
312
전하께서 미워하신 일을
313
소인 간들 주시오리까?
 
314
태종 대왕 하신 말씀,
315
선생님의 한 걸음에
316
옥새를 가져올 것이니,
317
사양 말고 가서 보오.
 
318
퉁두란의 거동 보소.
319
좋은 말 다 버리고
320
새끼 가진 피마 한 필,
321
안장 지어 타고 가네.
322
함흥을 얼른 가서
 
323
태조 대왕 거동 보소.
324
퉁두란을 얼른 보고
325
손길 잡고 들어가며,
326
선생 보기 의외로다
327
이번 행차 웬일이오?
328
風塵世界 마다하고
329
別有天地 찾아가서,
330
赤松子와 논다더니
331
天台山을 자네 봤나.
332
武陵桃源 어디 두고
333
父子不睦 나를 찾아,
334
어이 이리 오셨는가?
335
老退하여 볼 것 없는
336
이 사람을 찾아 왔나?
337
궁녀 불러 술 부어라
338
이 술 먹고 나와 노세.
339
서로 권해 먹자 하니
340
사오 배를 먹은 후에,
341
퉁두란 거동 보소.
342
태조 앞에 엎드려서
343
슬피 울며 하는 말이,
344
대왕님의 하신 일이
345
어이 그리 괴로우시며,
346
그 아니 장하신가?
 
347
恭讓王의 모진 정사
348
한 번 들어 掃滅하고,
349
億兆蒼生 건져내니
350
이 일을 비할진대,
351
夏 桀王의 모진 정사
352
湯 임금이 掃滅하고,
353
商 紂王의 악한 정사
354
武王이 滅之하고,
355
秦 始皇의 牛毛 苛政
356
漢 太祖가 掃滅하고,
357
王莽의 모진 정사
358
光武 皇帝 고치시고,
359
隋 煬帝 요망한 정사
360
唐 太宗이 평복하니,
361
대왕의 창업하심
362
이제 와서 생각하니
363
이보다 못 하리까?
364
몇 백 년 왕가 사업
365
一朝에 버리시고,
366
이 궁에 혼자 계셔
367
후세에 웃음 되니,
368
전하 하심 이를진대,
369
한심하지 아니하면
370
애달프지 아니할까?
371
父子不睦 고사하고
372
八道蒼生 불쌍치 않소?
373
슬피 퉁두란 일어나서
374
다시 하는 말씀 보소.
375
창업하신 생각하니
376
小臣과 함께 나서,
377
死生을 같이 하시어
378
天幸으로 성사하여,
379
君臣之義 맺어두고
380
創業功臣 다투더니,
381
원통할 사 대왕님은
382
이것이 웬일이오.
 
383
옛적의 堯 임금도
384
萬乘天子 좋은 位를
385
사위에게 전해 주고,
386
舜 임금의 착한 마음
387
장인에게 받은 位를
388
禹 임금을 주셨거든,
389
하물며 대왕님은
390
대왕께서 하신 位를
391
아들에게 전해 주고
392
이다지도 노하실까?
393
如此等說 말할 적에
394
문 밖에 매인 말이
395
슬픈 소리 우는구나.
396
태조 대왕 들으시고,
397
저 말이 무슨 일로
398
저렇듯이 슬피 우나?
399
퉁두란이 대답하되,
400
저 말 우는 그 연고를
401
아뢰거든 들으소서.
402
그 말이 새끼 뗀 지
403
석 달을 지났는데,
404
그 새끼를 생각하여
405
죽을 줘도 아니 먹고,
406
꼴을 줘도 아니 먹고,
407
밤낮으로 우는 말이
408
오늘까지 저리 우오.
409
저 말을 두고 보면,
410
아무리 짐승이나
411
母子間 그린 정이
412
사람에 못할쏜가?
 
413
漢나라 蘇中郞이
414
북해 상에 있을 적에,
415
胡妾을 하였더니
416
아들 둘을 낳아 두고,
417
십구 년을 고생타가
418
고국으로 돌아올 제,
419
어려서 못 데려와
420
어미께 두었더니,
421
칠 개(년)을 지낸 후에
422
胡妾의 거동 보소.
423
두 아들 앞세우고
424
한양교 저문 날에
425
이별할 때 우는 눈물,
426
점점이 떨어져서
427
아이 이마 다 젖는다.
428
그 어미 하는 말이,
429
母別子 子別母는
430
인간에 못 하리라.
431
母子間 인정이나
432
父子間 인정이나
433
天倫은 일반이라.
434
어찌하여 전하 마음,
435
부자간 중한 인정
436
삼 년을 頓絶하오.
 
437
태조 대왕 이 말 듣고
438
자연히 回心되어
439
흔연히 하신 말씀,
440
한양 갈 길 차려라.
441
治道 군사 분부 듣고
442
칠백칠십 먼먼 길에
443
곳곳이 닦아 놓으니
444
바르기가 터럭 같다.
445
평양을 얼른 지나
446
송도를 다다르니,
447
恭讓王이 살던 터가
448
蕭瑟寒風 가련하다.
449
파주를 다 지나고
450
임진강을 건너서니,
451
흥진원이 어디던가?
452
무학재가 여기로다.
453
경기 감영 들어서니
454
영추문이 반갑도다.
 
455
태종 대왕 거동 보소.
456
태조 오신 소문 듣고
457
무화관에 차일 치고
458
백관으로 영접하되,
 
459
태조 대왕 거동 보소.
460
무화관에 좌정하니
461
威儀도 장할씨고
462
國體가 자별하다.
463
오기는 오셨으나
464
태종이 했던 일을
465
좌정 후에 생각하니
466
가엾고도 절통하다.
467
아이 둘을 죽이고서
468
형의 位를 빼앗아 하니,
469
임금도 좋거니와
470
골육이 중하잖나?
471
骨肉相爭 이같이 하고
472
국가가 長遠할까?
473
그 일을 생각하니
474
餘憤이 尙存이라.
 
475
烏號弓에 살을 메겨
476
무릎 위에 얹어놓고
477
山岳같이 앉았으니,
478
이 때에 태종 대왕
479
태조 뵈러 오시다가,
480
활 메운 거동 보고
481
태종 같은 氣顔에도
482
용포 자락 떠는구나.
 
483
놀랍도다, 권태구여!
484
충신도 장할씨고!
485
간담이 늠름하고
486
태종을 모시고서
487
함께 가며 하는 말이,
488
추호도 전하 마음
489
두려워하지 마옵소서.
490
죽는대도 신이 죽고
491
살을 맞아 상한대도
492
신의 몸이 (상하여서),
493
옥체에는 안 갈 거니
494
天然하게 하옵소서.
 
495
태조 대왕 거동 보소.
496
깍짓손을 한 번 떼니,
497
流星같이 나온 살이
498
나는 듯이 나올 적에,
499
권태구의 충성 보소.
500
태종 앞에 썩 나서서
501
그 살을 맞고 죽네.
502
이것을 볼작시면
503
君義臣忠 이 아닌가?
 
504
태조 대왕 거동 보소.
505
용포 자락 펼치어서
506
옥새를 던질 적에
507
怒氣로 하신 말씀,
508
이것이 놀라우냐?
 
509
태종 대왕 거동 보소.
510
용포 자락 펼치어서
511
옥새를 주워 싸고
512
황공하여 하신 말씀,
513
옥새 전수 하옵신다.
514
영덕궁에 태종 있고
515
만수궁에 태조 계셔,
516
정사를 상의하니
517
父子有親 새롭도다.
 
518
세월이 如流하여
519
태조 춘추 칠십 세라.
520
乘彼白雲 구름 타고
521
무자년(1408)에 승하하니,
522
팔도의 창생들이
523
지성으로 애통한다.
 
524
양주 땅 삼십 리에
525
健元陵이 그 능이라.
526
개성 땅 이백 리에
527
왕비 능이 저 능이요,
528
양주 땅 십오 리에
529
둘째 왕비 저 능이라.
 
530
기해년(1419) 구월 달에
531
정종 대왕 승하하니,
532
춘추가 얼마신가?
533
육십삼이 분명하다.
534
개성 땅 이십 리의
535
厚陵이 그 능이오.
536
왕비 능이 어디던가?
537
厚陵과 한 능이라.
 
538
태종 대왕 옥새 들고
539
정치를 하실 적에,
540
태종 역시 성군이라
541
滿朝百官 和樂하고,
542
百官이 相約하여
543
임금을 도우시니,
544
백성은 노래하고
545
국사는 창연이라.
 
546
태종 대왕 후궁 처남
547
이마구가 혹독하여,
548
대신을 해하게 하고
549
충신을 살해하니,
550
장할씨고 孟思誠이 (그릇 알까)
551
태종에게 고달하고,
552
철퇴를 둘러메고
553
이마구를 박살하니,
554
滿朝百官 어느 누가
555
孟思誠을 그릇알까?
 
556
태종 대왕 즉위 후에
557
십팔 년을 정치하시어,
558
세종에게 전위하고
559
上王 位에 계시다가,
560
오십육에 승하하니
561
德澤도 장하시고,
562
福力도 장할씨고!
 
563
광주 땅 사십 리에
564
獻陵이 그 능이요,
565
왕비 능도 한 능이라.
【원문】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286
- 전체 순위 : 237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20 위 / 265 작품
지식지도 보기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한양오백년가 [제목]
 
  # 사공수 [저자]
 
  1913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한양가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가사 (한양가)
목록 참조
참조 :
【원문】한양태평가(漢陽太平歌) - 한산거사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목차 (총 : 13권)     처음◀ 1권 다음 한글(고어)  한글 
◈ 한양오백년가 (漢陽五百年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5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