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서울 특별시 (----特別市)
대한 민국의 수도.
우리 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국내 도시 가운데서 인구가 가장 많이 몰려 사는 대도시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서울균형발전」 공론화 1차 숙의에 436명 참여...7대 유형 과제 제안 - 갈등조정담당관 (2018-10-10)
- 주거안정 및 환경개선, 안정적 재원마련 등 7대 유형 균형발전 과제 제안
- 온라인시민참여단(1천 명) 88.6% 지역불균형 심각, 83.5% 균형발전추진 필요
- 10월13일(토) 최종 2차 숙의 진행, 균형발전 과제 우선순위, 재원 마련 쟁점 토의 예정
서울 특별시(----特別市)
- 주거안정 및 환경개선, 안정적 재원마련 등 7대 유형 균형발전 과제 제안
- 온라인시민참여단(1천 명) 88.6% 지역불균형 심각, 83.5% 균형발전추진 필요
- 10월13일(토) 최종 2차 숙의 진행, 균형발전 과제 우선순위, 재원 마련 쟁점 토의 예정
 
 
□ 서울시가 서울형 공론화 1호 안건으로 추진한 ‘서울균형발전’의 해법찾기 1차숙의(권역별토론회)에 전체 450명 시민참여단 중 96.8%인 25개 자치구 436명의 시민참여단이 참여했다.
○ 서울균형발전 공론화 1차숙의 권역별토론회는 지난 9월 29일(토) 코엑스 그랜드 볼룸에서 용산구, 성동구 등 14개 자치구 전체 252명 시민참여단 중 246명이 참석했다. 또한 10월 6일(토) 스페이스쉐어 시청한화센터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권역별토론회에는 종로구, 중구 등 11개 자치구의 전체 198명 시민참여단 중 190명이 참석하는 등 96.8%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 서울균형발전 1차숙의는 ‘서울의 균형발전 방향과 과제’ 도출을 목적
으로 ‘서울균형발전에 대한 사전 설문 조사’, ‘균형발전 일반론’ 및
‘재원’에 대한 변창흠 교수(세종대), 안태훈 박사(국회예산정책처), 박준 교수(서울시립대)의 발표와 질의 응답, 3차례의 분임토의 등 총 6시간의 밀도있는 숙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 서울균형발전 1차숙의 결과, 시민참여단이 생각하는 서울균형
발전 방향은 빅데이터 분석결과 “교육”,“집값”,“교통”,“문화”,“인프라”,“주거”, “복지”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으며,
 
□ 서울 균형 발전의 주요 과제로 ▲주거안정 및 환경개선, ▲교육기회 및 인프라 개선 ▲안정적 재원 마련과 낙후지역 재정 지원, ▲주요 기관 이전 및 지역 특성화 개발, ▲접근성 및 교통인프라 개선, ▲복지·문화·안전시설 확충 ▲시민들 연대의식 회복과 인식개선 등 7개 유형을제시했다.
 
【서울 균형발전 과제별 시민 주요 의견(1차숙의)】
○ 주거안정 및 환경개선 :
- 삶의 기본인 의식주 중 주거 환경 불평등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과제
- 실패해도 낙오하지 않는 서울 만들기
- 주거 안정을 위한 임대주택이나 행복주택을 늘리되 세금이 누수 되지 않도록 공정하고 명확한 선정 기준 마련
 
○ 교육기회 및 인프라개선 :
- 바람직한 서울 균형발전을 위해 좋은 학군이 따로 구분되지 않기를 희망함.
- 구립 어린이집부터 낙후된 지역에 집중투자하여 유치원, 초·중·고 연계된다면 교육인프라의 차별성이 완화될 것
 
○ 안정적재원마련과 낙후지역재정지원 :
- 적극적인 정부 개입이 필요
- 불로소득에 대한 세율을 높이고 세금으로 재정을 확보하여 낙후 지역을 발전시킴으로써 집값을 안정화시켜야 함.
- 부자증센, 개발이익환수 등을 균형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 낙후된 자치구에 우선 지원해야 함.
 
○ 주요기관이전 및 지역특성개발 :
- 명문 대학교 및 고등학교, 병원의 이전 추진과 이전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 지역별 특색을 찾고 맞춤형 인프라와 전략을 구축
 
○ 접근성 및 교통인프라개선 :
- 서울 전 지역에서 걸어서 5분내 전철을 이용할 수 있다면 지금보다 훨씬 골고루 발전할 것임
- 낙후지역 교통망 확충을 위한 타당성조사는 배제하고 기획된 균형 발전 방안에 근거하여 정부정책으로 건설
 
○ 복지·문화·안전시설 확충 :
- 도서관, 공원 녹지 등 여유시설을 늘려야 삶의 질도 향상 가능
- 문화체육시설 확충 필요
- 신혼부부, 대학생, 사회초년생을 위한 임대주택을 늘리는 것도 좋지 만, 치안유지, 복지, 인식개선 등도 같이 병행해야 함.
 
○ 시민들연대의식회복 및 인식개선 :
- 공론화장의 확충을 통한 시민 연대의식 회복 필요
- 시민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문제인식 적극적 해결책 모색 및 실천)과 함께 행복하게 사는 평등사회 만들기
- 이 모든 내용의 실현은 우리 시민의 책임
 
 
□ 또한 이번 2018 서울균형발전 공론화에 참여한 시민참여단의 토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천명의 온라인 참여단을 별도로 구성, 지난 9월 서울균형발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의 88.6%가 서울시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하며, 응답자의 83.5%는 균형발전 정책추진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강남3구 응답자의 81.2%는 지역간 불균형을 심각하게 인식하며, 응답자의 75.2%가 균형발전 정책추진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서울균형발전 정책추진에 대한 서울시민의 넓은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시민참여단은 균형발전 정책수단으로 경제·일자리활성화 책과 예산·재원마련정책을 선호했다.
 
○ 조사기간 : 2018년 9월13일~9월15일 (3일)
○ 조사대상 : 만19세성인 자치구별/성별/연령별 인구성비 할당표집
○ 조사방법 : 엠브레인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웹서베이
 
□ 서울균형발전 공론화 2차숙의(시민대토론회)는 10월13일 세종홀에서 열리며, 1차숙의(권역별토론회)에 참가한 시민참여단 중 자치구별 10명을 선별하여 25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250명 시민참여단은 1차 숙의에서 제안된 균형발전 주요 과제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하고, 균형발전 재원 관련 대안 및 찬반 쟁점 사안에 대한 최종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 서울시는 공론화 결과를 11월 초까지 정리해 서울의 균형 발전 후속 조치 방안 마련과 서울 균형발전 기본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붙임 : 1. 2018 서울균형발전 공론화 사업 개요 1부.
2. 1차 온라인 시민참여단 설문 조사 결과 1부.
3. 1·2차 권역별토론회 시민참여단 구성 현황 1부.
4. 사진 자료(권역별 토론회) 4매
서울 특별시(----特別市)
「서울균형발전」 공론화 1차 숙의에 436명 참여...7대 유형 과제 제안 - 갈등조정담당관 (2018-10-10)
(게재일: 2018.10.10. (최종: 2018.10.10. 09:04))  서울시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수도[특별시]
서울 특별시의 행정 구역.
종로구 (鍾路區)
중구 (中區)
용산구 (龍山區)
성동구 (城東區)
광진구 (廣津區)
동대문구 (東大門區)
중랑구 (中浪區)
성북구 (城北區)
강북구 (江北區)
도봉구 (道峰區)
노원구 (蘆原區)
은평구 (恩平區)
서대문구 (西大門區)
마포구 (麻浦區)
양천구 (陽川區)
강서구 (江西區)
구로구 (九老區)
금천구 (衿川區)
영등포구 (永登浦區)
동작구 (銅雀區)
관악구 (冠岳區)
서초구 (瑞草區)
강남구 (江南區)
송파구 (松坡區)
강동구 (江東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