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당시 유학생세대의 작가들은 부유층의 자녀들이었으며,과거 조선시대 사회 제도의 모순과 부당한 인권유린과,조혼제도로 인한 개인 행복의 박탈을 직접 적으로 체험한이들은 그것을 논문이나 소설로 일깨우고 싶은 충동이 컸었다.
․1910년대 단편소설의 형성배경에는『
청춘』매호 2300자내외(원고지10장내외)의 단편소설 현상문예 모집규정과 이를 심사하는
이광수의 영향이 많았을 것
․작가들 대부분은 체험부족으로 장편을 쓸 수 없었다.
․『창조』(1919.순수문예지)-김동인.주요한.전영택.김환-순수문예활동만 할 것을 선언.
우리나라
• 1910 – 일제의 국권 침탈, 조선 총독부 설치
- 덕수궁 석조전 완공
- 회사령 공포
- 토지 조사 사업(~1918년)
- 홍범도 등 연해주 의병 국내 진격 작전
• 1911 – 105인 사건
- 제1차 조선 교육령, 삼림령 발표
• 1912 – 조선 총독부, 토지 조사령 공포
- 조선 태형령 시행
- 임병찬, 독립 의군부 조직
• 1914 – 박용만,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 군단 조직
- 이상설,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 호남선·경원선 철도 개통
• 1915 대한 광복회 조직
• 1918 – 이동휘 등, 한인사회당 결성(사회주의 정당)
- 여운형 등, 신한청년당 결성(항일 독립운동 단체)
• 1919 – 2·8 독립 선언
- 3·1 운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상하이)
- 의열단 조직
- 한국인이 처음으로 영화 제작
세계
• 1911 - 청, 신해혁명
• 1912 - 중화 민국 성립, 쑨원이 임시 대총통에 취임
• 1914 - 사라예보 사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1918년)
• 1915 - 일본,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중국에 21개조 요구
• 1917 - - 러시아 혁명
- 인도네시아, 이슬람 정당 ‘사레카트 이슬람’이 민족 운동 전개
• 1918 - 제1차 세계 대전 종식
- 미국의 윌슨 대통령, 14개조 평화 원칙 발표
- 영국, 30세 이상 여성들에게 투표권 인정
• 1919 - 파리 강화 회의
- 베르사유 조약,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 인도, 간디의 비폭력·무저항 운동
- 중국, 5·4 운동
-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창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