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사기(史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사기 (史記)
기원전 1세기 초에 이루어진 중국의 역사책. 사마천이 상고의 황제(黃帝) 때부터 한나라 무제(武帝) 때까지의 2천 수백 년간의 사적을 기전체로 적은 통사(通史)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사기 강의 제215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5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사기(史記)
1. 作 - 갑골문, 원래는 칼로 도구를 만듦 ;《說文解字》「作,起也」; 만들다,《孟子》〈梁惠王上〉「庖有肥肉,廏有肥馬,民有飢色,野有餓莩,此率獸而食人也。獸相食,且人惡之,爲民父母,行政,不免於率獸而食人,惡在其爲民父母也? 仲尼曰:‘始作俑者,其無后乎! 爲其象人而用之也。如之何其使斯民飢而死也?」; 일하다,《莊子》〈讓王〉「日出而作,日入而息, 逍遙於天地之間而心意自得」; 하다,《論語》〈子路〉「子曰:南人有言曰: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善夫! 不恒其德,或承之羞。子曰:不占而已矣。」; 저술하다,《史記》〈屈原列傳〉「屈平疾王聽之不聰也,讒譭之蔽明也,邪曲之害公也,方正之不容也,故憂愁幽思而作《離騷》。《離騷》者,猶離憂也。夫天者,人之始也;父母者,人之本也。人窮則反本,故勞苦倦極,未嘗不呼天也;疾痛慘怛,未嘗不呼父母也。屈平正道直行,竭忠盡智,以事其君,讒人間之,可謂窮矣。信而見疑,忠而被謗,能無怨乎? 屈平之作《離騷》,蓋自怨生也」;《史記》〈報任安書〉“盖西伯拘而演《周易》;仲尼厄而作《春秋》;屈原放逐, 乃賦《離騷》;左丘失明, 厥有《國語》;孫子臏脚,《兵法》修列;不韋遷蜀, 世傳《呂覽》;韓非囚秦,《說難》、《孤憤》;《詩》三百篇, 大底聖賢發憤之所爲作也」; 王勃《滕王閣序》「臨別贈言,幸承恩於偉餞;登高作賦,是所望於群公。」; 제조하다,《後漢書》〈張衡傳〉「遂乃硏核陰陽,妙盡璇機之正,作渾天儀」; 생기다,《孟子》〈公孫丑下〉「由湯至於武丁,賢聖之君六七作」;《孟子》〈告子下〉「人恒過, 然后能改。困於心, 衡於慮, 而后作。征於色, 發於聲, 而后喩」
사기(史記)
【학습】사기 강의 제215회 보충 설명
(게재일: 2018.11.09. (최종: 2018.11.20. 15:51))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용어) 규석, 백토, 장석, 그 밖의 도토(陶土)를원료로 하여 구워서 만든 그릇을 통틀어 일컫는 말.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4사(四史)
사기
삼국지
17사
송서
남제서
양서
위서
북제서
주서
수서
21사
송사
요사
금사
원사
22사
명사
24사
25사
추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