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사기(史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사기 (史記)
기원전 1세기 초에 이루어진 중국의 역사책. 사마천이 상고의 황제(黃帝) 때부터 한나라 무제(武帝) 때까지의 2천 수백 년간의 사적을 기전체로 적은 통사(通史)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사기 강의 제229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29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사기(史記)
1. 武 - 갑골문, 원래는 무기를 들고 작전하러 나감 ; 《說文解字》「武,楚莊王曰..夫武,定功戢兵。故止戈爲武(전쟁을 그치게 하는 것, 인의와 평화를 보호하는 실력)」; 止戈와 動戈 ; 무력,《左傳》宣公十二年「夫武,禁暴、戢兵、保大、定功、安民、和衆、豊財者也......臣聞克敵,必示子孫,以無忘武功。楚莊王回答..非爾所知也,夫文,止戈爲武(夫文止戈爲武)」;《韓非子》〈五蠹〉「古者文王處豊、鎬之間,地方百里,行仁義而懷西戎,遂王天下。徐偃王處漢東,地方五百里,行仁義,割地而朝者三十有六國。荊文王恐其害己也,擧兵伐徐,遂滅之。故文王行仁義而王天下,偃王行仁義而喪其國,是仁義用於古不用于今也。故曰:世異則事異。當舜之時,有苗不服,禹將伐之。舜曰:不可。上德不厚而行武,非道也。乃修敎三年,執干戚舞,有苗乃服」; 반보(상호간 안전거리),《國語》〈周語下〉「夫目之察度也, 不過步武尺寸之間(古以六尺爲步, 半步爲武)」; 3尺-六尺爲步,半步爲武
 

* 文化와 武化
文,精神文明, 文化,精神文明의 追求 ; 武,物質文明, 武化,物質文明의 追求
 
* 武經七書
1. 周나라 呂望의《六韜》;
2. 齊나라 孫武의《孫子》;
3. 齊나라 司馬穰苴(사마양저)의《司馬法》;
4. 楚나라 吳起의《吳子》;
5. 秦나라 尉繚(위료,울요)의 《尉繚子》;
6. 漢나라 黃石公의《三略》;
7. 唐나라 李靖의《李衛公問對》를 아울러 일컫는 말로, 나중에 宋나라 元豊 연간에 이들 兵書를 武學으로 지정하면서 ‘七書’라고 호칭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 武術과 功夫 ;
武術 -- 武,止戈爲武;術,行爲 ; 上武得道,平天下;中武入哲,安身心;下武精技,防侵害 ;
무술종류 - 長拳、太極拳、南拳、劍術、刀術、槍術、棍術...... ;
 
功夫 - 청나라 말기 출현, 무술의 별칭, 개인의 무술 造詣 및 응용을 말함 ;
北宗少林,南崇武當 ; 北拳(少林...), 南拳(太極...), 현대(詠春...) ; 內功과 外功... ;
 
5大門派 (武當,少林,蛾眉,華山,崆峒+崑崙)
사기(史記)
【학습】사기 강의 제229회 보충 설명
(게재일: 2019.04.12. (최종: 2019.05.10. 13:53))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용어) 규석, 백토, 장석, 그 밖의 도토(陶土)를원료로 하여 구워서 만든 그릇을 통틀어 일컫는 말.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4사(四史)
사기
삼국지
17사
송서
남제서
양서
위서
북제서
주서
수서
21사
송사
요사
금사
원사
22사
명사
24사
25사
추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