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신채호(申采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신채호 (申采浩)
[1880 ~ 1936] 독립 운동가이며 사학자, 언론인. 호는 단재(丹齋) 또는 단생(丹生)이다.
신채호 (申采浩) [1880 ~ 1936] 독립 운동가이며 사학자, 언론인. 호는 단재(丹齋) 또는 단생(丹生)이다. 충북 청주 생 1910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 상하이와 베이징에 가서 독립 운동 옛 고구려 땅을 답사하여 국사 연구와 저술에도 힘썼다. 1926년에 ‘동방 무정부주의자 연맹’에 가입하였다가 체포 10년 징역형을 언도받고 복역 중 감옥에서 세상을 떠났다. 저서에 『조선 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 『조선사론』 등 역사소설 • 1908. 을지문덕(乙支文德) • 1908. 5.~ 이순신전(李舜臣傳) • 1909. 12.~ 최도통전(崔都統傳)
◈ 지식지도 관계
신채호 (申采浩) 1880 건국 공로 훈장 1923 조선혁명선언 신문 (新聞) 건국훈장 상훈법 (賞勳法) 블라디보스토크 1905년 1907년 1908년 1910년 1923년 1898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316 최영 (崔瑩) 1545 이순신 (李舜臣)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59 박은식 (朴殷植) 1860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 1861 나수연 (羅壽淵) 1863 남궁억 (南宮檍) 1864 장지연 (張志淵) 1864 이재극 (李載克)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71 양기탁 (梁起鐸) 1872 베셀 1880 한규설 (韓圭卨) 1891 안재홍 (安在鴻) 6세기말 을지문덕 (乙支文德) 1898 황성 신문 1905 대한 매일 신보 광학서포 1905 통감부 (統監府) 1910 매일 신보 (每日申報) 1919 의열단 (義烈團) 1908 이순신전 (李舜臣傳) 1908 을지문덕전 1909 최도통전 1931 조선 상고사 1931 조선상고문화사 1946 조선사론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 주요 정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58 작품) [모두보기]
조선상고사 朝鮮上古史 한국역사 신채호 (235) 조선혁명선언 朝鮮革命宣言 개인기록물 신채호 (61) 이순신전 李舜臣傳 근/현대 소설 신채호 (60) 독사신론 讀史新論 한국역사 신채호 (42) 조선사연구초 朝鮮史硏究草 한국역사 신채호 (29) 조선상고문화사 朝鮮上古文化史 한국역사 신채호 (27) 꿈하늘 근/현대 소설 신채호 (17) 을지문덕 乙支文德 근/현대 소설 신채호 (14) 용과 용의 대격전 근/현대 소설 신채호 (12) 낭객의 신년만필 근/현대 수필 신채호 (12) 예언가가 본 무진 근/현대 수필 신채호 (11) 천희당시화 天喜堂詩話 근/현대 수필 신채호 (10)
◈ 조회순
2021.04.1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최근 한국고대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학회에서 발간한 책에서 조인성은 자신들은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항변하면서 이미 조선시대 실학파 학자들이 평양 중심의 낙랑군설을 주장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2020.06.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여순 감옥에서 순국한 항일투쟁가를 만나다
2020.04.0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나통산성 실체를 모르고 무모하게 도전한 초행길
2020.02.20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위대한 역사를 되찾아 낸 민족주의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 순국 84주기 추모식’이 오는 21일(금) 오전 11시, 청주시 상당구 단재 묘소에서 (사)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회장 유인태)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1)】
2019.08.1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조선학 국제학술회의에서의 토론…우리민족, 분단 이후 이질화가 심화
2019.08.12
【문화】 【문화유산과】
2019.05.01
【정치】 우당 이회영, 심산 김창숙, 단재 신채호 3人특별전 【이종걸 (국회의원)】
2019.02.20
【--】 단재 신채호선생 순국 83주기 추모식【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1)】
 
◈ 최근등록순
2021.04.1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최근 한국고대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학회에서 발간한 책에서 조인성은 자신들은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항변하면서 이미 조선시대 실학파 학자들이 평양 중심의 낙랑군설을 주장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2020.06.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여순 감옥에서 순국한 항일투쟁가를 만나다
2020.04.0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나통산성 실체를 모르고 무모하게 도전한 초행길
2020.02.20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위대한 역사를 되찾아 낸 민족주의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 순국 84주기 추모식’이 오는 21일(금) 오전 11시, 청주시 상당구 단재 묘소에서 (사)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회장 유인태)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1)】
2019.08.1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조선학 국제학술회의에서의 토론…우리민족, 분단 이후 이질화가 심화
2019.08.12
【문화】 【문화유산과】
2019.05.01
【정치】 우당 이회영, 심산 김창숙, 단재 신채호 3人특별전 【이종걸 (국회의원)】
2019.02.20
【--】 단재 신채호선생 순국 83주기 추모식【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1)】
2019.01.31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대한독립선언선포 제100주년 기념식 및 학술강연회가 1일(금) 오전 11시 서울시청 대강당에서 대한독립선언선포100주년위원회(회장 이종걸)가 주최 및 삼균학회(이사장 조만제)와 (사)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회장 조형래)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지숙 (044-202-5531)】
2018.02.20
【--】 □ 대일 항쟁기 언론인, 사학자로서 민족의식 고취에 힘쓴 독립운동가 신채호 선생을 기리는 「단재 신채호 선생 순국 82주기 추모기념행사」가 21일(수) 오전 10시 30분, 단재 신채호 선생 사당 및 묘정(청주시 낭성면 귀래리 소재)에서 열린다.【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2017.02.20
【--】 단재 신채호 선생 순국 81주기 추모기념행사【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평론 (23) 백과 대한 매일 신보 (18) 백과 1908년 (15) 백과 (13) 백과 역사평론 (10) 1909년 (7) 백과 논평 (6) 박은식 (6) 백과 국가 보훈처 (5) 백과 조선 상고사 (5) 백과 1910년 (4) 백과 문학평론 (4) 1923년 (3) 백과 1924년 (3) 백과 1925년 (3) 백과 논설문 (3) 백과 대종교 (3) 백과 소설 (3) 백과 수필 (3) 백과 역사소설 (3) 백과 전기소설 (3) 조선상고문화사 (3) 백과 홍범도 (3) 백과 1921년 (2) 백과 1928년 (2) 백과 1931년 (2) 백과 김구 (2) 백과 김철 (2) 백과 나철 (2) 백과 독사신론 (2) 동제사 (2) 백과 매일 신보 (2) 백과 베셀 (2) 백과 신규식 (2) 백과 양기탁 (2) 백과 여운형 (2) 백과 의열단 (2) 백과 이회영 (2) 백과 최재형 (2) 백과 한국역사 (2)
◈ 참조 키워드
고구려 (4) 백과 고조선 (3) 백과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3) 박은식 (3) 백과 청주시 (3) 백과 국채 보상 운동 (2) 백과 묘청 (2) 백과 백두산 (2) 백과 안중근 (2) 백과 연개소문 (2) 백과 이회영 (2) 백과 조소앙 (2) 백과 한국역사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원문】의열단 선언 (1923년 1월)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