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A) 목 차
|
인물담(유명인물)
|
1. 효(孝)와 열(烈)
|
|
|
|
|
|
|
|
|
|
|
|
2. 왕(王)
|
|
|
|
3. 대신(大臣)
|
|
|
|
4. 장군(將軍)
|
|
|
|
5. 기타
|
|
|
인물담(무명인물)
|
1. 효(孝)와 열(烈)
|
|
|
|
|
|
|
|
2. 착한 마음씨
|
|
|
|
|
|
3. 지혜와 꾀
|
|
|
|
|
|
|
4. 바보(어리석음)
|
|
|
|
|
|
5. 힘과 용기
|
|
|
|
|
|
6. 기타
|
|
|
|
|
사건담
|
1. 풍수담(風水譚)
|
|
|
|
|
|
|
|
|
|
|
|
|
|
2. 시집살이
|
|
|
|
|
|
3. 변신담(變身譚)
|
|
|
|
|
|
|
|
|
|
4. 신이담(神異譚)
|
|
|
|
|
|
|
5. 결혼담
|
|
|
|
|
6. 기타
|
|
|
|
|
|
|
|
동물담(動物譚)
|
1. 호랑이 이야기
|
|
|
|
|
|
|
|
|
|
|
|
|
|
|
2. 여우이야기
|
|
|
|
|
3. 구렁이 이야기
|
|
|
|
|
|
4. 기타
|
|
|
|
|
|
|
|
|
|
|
귀신담(鬼神譚)
|
1. 귀신과 신령
|
|
|
|
|
|
|
|
|
|
2. 도깨비
|
|
|
|
|
|
|
|
|
|
|
|
|
|
|
|
|
|
소화(笑話)
|
1. 방귀 이야기
|
|
|
|
2. 거짓말
|
|
|
|
|
3. 기타
|
|
|
|
|
|
지명 유래담(地名由來譚)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회순
|
|
2024.10.20
|
|
【문화】
옛날 백남수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아들을 열 둘, 딸을 하나 낳았는데, 자식들을 다 키워서 재산을 분배해 주기에 이르렀다. 아들, 딸 모두에게 재산을 똑같이 나누어주고, 모든 식구들을 집안에 모이게 한 후에 그는 말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3
|
|
【문화】
어느 마을에 술에 취하면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돈을 한 뭉텅이씩 가져다주곤 하는 도깨비가 있었다. 하지만 그 돈을 그대로 두면, 다음 날 도깨비는 술이 깨어서 준 돈을 도로 빼앗아 갔다. 사람들은 도깨비의 그런 행동 때문에 도깨비가 준 돈으로 땅을 사두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0
|
|
【문화】
옛날에 진묵 대사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머니, 누이와 살았다. 그에 얽힌 몇 가지 일화가 있다. 일곱 살에 절로 들어간 진묵 대사를 보고, 어느 절에서 온 노승이 부처님이라며 엎드려서 불공을 드렸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3
|
|
【문화】
옛날 서울에 소장터가 있었다. 소며, 돼지며, 개를 잡는 곳이었는데, 사람들에게 저녁이면 귀신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몇 사람들이 모여 술을 먹다가 그 귀신 이야기가 나왔다. 그 중에 한 사람이, “그게 말이 되느냐? 귀신이 어디 있느냐? 말도 안된다.” 고 하자, 다른 사람이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2
|
|
【문화】
산정리에 여우고개라는 고개가 있다. 그곳에서 여우가 사람으로 변신을 했다가 다시 여우로 되었기 때문에 여우고개라 하는데, 옛날에는 그 근방에 집이 별로 없었다. 한 번은 이동리의 마당바위 쪽에 사는 60살 쯤 되는 노인이, 철원에 사는 딸의 외손주가 장가를 가게 되어서 그 고개를 넘게 되었다. 그 사람이 나무가 우거진 소로길을 올라가는데, 마루터기에서 하얀 옷을 입고 갓을 쓴 남자를 만났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0
|
|
【문화】
양문대신 이서구 대감이 만세교에서 낚시를 하고 있었다. 그 때 어느 양반 집 아들 하나가 지나가다가, 촌사람이 낚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자기를 건너편까지 월천(越川)을 해달라고 했다. 신을 벗고 건너가기가 귀찮아서 업어 건너달라고 한 것이다. 그러자 양문대신이 선선히 그 사람을 월천해 주고는, ‘누가 지나가는 사람이 있어 물으면 자기가 월천해 줬다는 말을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0
|
|
【문화】
궁예가 가평 현등산에 천연의 요새를 친 뒤 왕건의 공격을 막아내다 이 산에서 죽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그러나 실제 궁예의 무덤은 철원에서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곳에 있다고 한다. 삼방역이라는 곳인데 궁예가 나무에 기댄 채 미동도 않자, 왕건의 수하들이 확인한 결과 이미 숨을 거둔 후였다고 한다. 죽음조차 서서 맞이한 그의 주검 위에 돌을 쌓아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는 일화가 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0
|
|
【문화】
포천에 효자로 유명한 오백주 선생님이 있었다. 그 분은 평소 지극한 효성으로 소문이 자자한 분이었다. 하루는 선생의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집으로 오는데, 거의 저녁 무렵에서야 축석고개에 닿았다. 날은 어두워졌으나 더는 머무를 수가 없어서 고개길을 넘어오는데, 커다란 바위에 호랑이 한 마리가 길을 막고 앉아 있었다. 깜짝 놀란 선생은 두려움을 무릅쓰고 큰소리로 호령하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최근등록순
|
|
2024.10.24
|
|
【문화】
경기도 포천군 이동에 가면, 강원도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 고개를 ‘흰구름이 머물다 가는 고개’라고 부르기도 하고 ‘맑은 물 계곡’이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지금으로부터 근 100년 전, 이 고개에는 맑은 물이 청아한 소리를 내면서 흐르고, 하늘에 닿을 듯 깎아지른 고개는 험하고 구불구불하여 웬만한 사람은 찾는 이 조차 없었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경기도 포천 송우리에는 태봉이라는 작고 아담한 산봉우리 하나가 마을을 싸 안을 듯이 다정하게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이 태봉은 고려 왕녀의 태를 묻은 곳으로, 포천 고을 여러 곳에 있는 태봉 중에서도 그 이름이 나있으며, 아름답고 정겨운 이야기를 전하고 있어 더욱더 유명합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 호랑이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뿌리고 다니던 시절에, 시골 사람들은 늘 가난 속에서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에 대해 효도하는 마음은 따스한 정으로 우리 선조들의 마음 속에 전해지고 이어져 내려오기도 하였습니다. 경기도 포천 기피울에는 매우 사납고 몸집이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아서, 마을 사람들에게 무서움과 두려움의 영물로서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경기도 북부 지방에 자리한 포천에 가면 기피울이라는 마을이 있습니다. 이 곳은 산세가 매우 험하고 골이 깊어서 ‘기피울’이라고 불렀습니다. 왕방산의 주봉인 국수봉은 그 높이가 해발 754미터나 되는 아주 높은 산이었는데, 매우 험하여 사람들이 오르지 못하였습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화현읍 지현리에 ‘육송정’이라고 있다. 여섯 육 자, 소나무 송 자, 육송정. 이 집에는 오래된 정자가 하나 있는데 판서가 하나 나면 소나무 한 그루를 심고, 판서가 또 하나 나면 또 하나 심고, 이내 여섯 그루가 되어 ‘육송정’이다. 육판서가 이 댁에서 났다는 얘기가 된다. 예산 송씨네 ‘육송정’에서 선비들이 모여서 글을 지었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관광】
옛날 운악산 밑에 ‘아들바위’와 ‘딸바위’가 있었다. 하나는 집채만한 큰 바위이고, 다른 하나는 조그만 바위였다. 동네 아낙네들이 나무를 하고 오다가, 돌 하나를 던져서 ‘아들바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고, 딸바위에 앉으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금주산’이 여기서는 제일 크다. 왜정 때 일본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광산을 개발하였다. 그래서 ‘금주리’가 되었다. ‘금주산’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다. 옛날부터 ‘금주산’에는 ‘금이 아홉 덩이가 묻혀 있다’는 말이 전해진다. 그런데 ‘아들을 아홉을 둔 사람이라야 그 금을 캘 수 있다’고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에는 이 곳을 ‘만금담’이라고 했는데, ‘만금이 들락날락 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장사꾼들이 금강산에서 물건을 해 가지고는 거기 와서 물물교환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막은대미’라고도 한다. ‘더 이상 갈 데가 없는 막힌 곳’이라는 말이다. 서울 사람들이 거기 와도, 차가 못 다니는 막힌 장소여서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화현에 ‘솔치고개’가 있는데, 지도에는 ‘송재’라고 나와 있다. 옛날 거기에 솔치주막이 있었다. 장에 갔다 오거나 술을 마시거나, ‘솔치고개’를 넘을 사람들은 이 주막에서 묵었다. 다리가 아프거나 해가 지면 거기서 쉬면서 놀음들을 했다. 그게 포천에서 화현으로 넘어가는 길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궁예가 왕건과 최후의 전투를 할 때, 현등산에 천연의 요새를 짓고 대전하였다. 왕건이 반년간이나 치열하게 공격을 해서 결국 궁예가 현등산에서 죽었다고 한다. 그런데 철원에 궁예의 무덤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철원에서 금강산 들어가는 철도 옆에 ‘삼방역’이라는 조그마한 역이 있다. 그런데 그 역 앞에는 돌담이 하나 있고, 그것이 바로 궁예의 무덤이라고도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한 마을에 장사가 태어났는데, 낳은 지 삼일 만에 절구통을 들었다. 그것을 본 부모는 나라에서 아기 장사를 죽이는지라 ‘장사가 되면 안된다’는 생각에 장사가 못되게 아이의 어깨를 뺏다. 그래서 아이는 장사가 못되었는데 하늘에서 내려온 말이 주인을 태우러 왔다가 주인이 장사가 못되니 혼자 내리 뛰고 치 뛰고 하다가 헛다리를 짚어서 말이 굴렀다. 그리하여 그곳을 말구리라 부르게 되었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에 길이 없고 나무만 무성해서 숲 속에 사람이 잘 다니지 않던 고개가 있었다. 어떤 사람이 소를 하나 가지고 가서 팔았는데 여든 냥을 받았다. 도둑이 고개를 지키고 섰다가 그 사람이 지나갈 때 그 여든 냥을 빼앗았다. 그 일이 있은 후 ‘여든냥 고개’로 불려졌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500여 년 전 이 마을에 부락이 형성되기 전에는 각종 야생동물들이 모여 살았다. 그래서 전국에서 내노라하는 유명한 포수들이 사냥을 왔다. 사냥꾼들이 올 때는 혼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몰이꾼들로 소몰이 하는 사람들을 함께 데리고 왔다. 사냥꾼들은 길목을 잡고 있다가 소몰이꾼들이 짐승을 몰아오면 총을 쏘아 잡았다. 특히 이곳에는 노루가 많아서 노루 사냥을 많이 왔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 사람들이 멱을 감다가 해마다 하나씩 빠져죽는 연못이 있었다. 전에 죽은 귀신이 자기가 빠져 나가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 하나를 죽여야만 했기 때문이라 해마다 하나씩 꼭 사람이 죽었다. 그런데 한 번은 무당이 굿을 하다가 넋을 건지기 위해 연못 속으로 들어갔는데 무당마저 빠져 죽어 그 이후로 그곳을 ‘무당소’라 불렀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한 사람이 약물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목이 말라 그 약물을 먹었더니 팔, 다리 쑤시는 것 등 모든 병이 다 나았다. 그래서 아플 때에 또 와서 물을 마시니 이번에도 병이 싹 낳는 듯했다. 그 소문이 한 사람 두 사람에게 퍼져 사람들이 병을 고쳐 보고자 수없이 밀려들었다. 그렇게 사람이 하나둘 자꾸 몰려드니, 그것이 싫은 몇몇 노인이 사람들이 오지 못하도록 그 약물터에서 개를 잡아 먹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 부왕제 때의 일이다. 그 당시 오랑캐가 조선에 쳐들어 왔는데, 한 오랑캐가 여염집 규수를 범하려고 따라오니 그 규수가 허겁지겁 피해 달아나다 절벽에 이르렀다. 규수는 오랑캐를 피하기 위해 그 절벽에서 치마를 뒤집어쓰고 뛰어내렸다. 그 이후 처녀가 뛰어내려 죽은 그 바위를 ‘낭자바위’ 혹은 ‘낭바위’라고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포천 방향으로 약 2킬로미터 나가면 고개 하나가 있는데 예전에 그곳에 어머니가 아들 하나를 데리고 살고 있었다. 이 어머니가 딸 하나 달린 돈 많은 홀아비한테 시집을 가게 되었다. 그런데 이 아들이 보니 새아버지 재산이 많은지라 하루는 그 딸에게 양장을 해준다고 꾀어내서는 고갯길에 데리고 나가 돌로 찍어 죽이고는 몰래 묻어버렸다. 그 이후 밤이면 그곳에 귀신이 나타난다고 하여 사람들이 오가지를 못했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옛날에 궁예 왕이 왕건한테 쫓기게 되었을 때의 일이다. 그 당시에 궁예 왕의 첫 도읍지가 철원이었는데 왕건에게 쫓겨나서 관인면 ‘고남산’이라는 곳으로 도망을 쳤다. 왕건이 그 곳에까지 쳐들어오자 울음산으로 도망을 갔다. 도망을 가다가 배가 고파서 그 산에서 국수를 먹고 갔는데, 그 때문에 그 산봉우리에 ‘국수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망봉산’이라는 곳이 있는데, 그 곳은 예전에 궁예가 왕건을 피해 도망한 곳이다. 예전부터 내려오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에이, 미련한 놈! 소를 앞에서 몰면 되느냐 응? 뒤에서 몰아야지.” 이 말은 황희 정승이 맨 먼저 한 말이었다. 황희 정승이 길을 가다 보니 어느 미련한 사람이 소를 자꾸만 앞에서 몰고 있었다. 그래서 황희 정승이 그 미련한 사람에게 그렇게 말을 했다고 한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
2024.10.24
|
|
【문화】
큰집에서 새벽 조반을 했다. 작은집은 그 옆에 살았는데, 큰집에서 함께 밥을 먹었다. 호랑이가 나타나서 밥을 먹으려고 큰집에 가는 사람을 잡아갔다. 사람을 잡아서 반은 먹고 반은 남겨 두었다. 가족들이 남은 반을 그 곳에 묻으니 호랑이가 자꾸 나타나서 파는 것이었다. 화가 난 식구들은 다른 호랑이를 잡아서 그 곳에 묻었다. 그 이후, 호랑이가 그 곳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 곳이 ‘호랑봉’이라 불려졌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다큐먼트 작업
▶ 지식지도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