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사기(史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사기 (史記)
기원전 1세기 초에 이루어진 중국의 역사책. 사마천이 상고의 황제(黃帝) 때부터 한나라 무제(武帝) 때까지의 2천 수백 년간의 사적을 기전체로 적은 통사(通史)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사기 강의 제218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18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사기(史記)
1.伐 - 갑골문, 원래는 다른 사람의 머리를 베다 ; 人+戈=伐 ;《說文解字》「伐,擊也。從人持戈。一曰敗也」;《左傳》莊公29年條「凡師有鐘鼓曰伐,無曰侵」; 정벌하다,《史記》〈廉頗藺相如列傳》「其後秦伐趙」; 口誅筆伐(죄상폭로, 성토);伐叛(討伐叛逆);자랑하다,《史記》〈淮陰侯列傳〉「假令韓信學道謙讓, 不伐己功, 不矜其能, 則庶几哉, 於漢家勛可以比周、召、太公之徒, 后世血食矣」; 좌절시키다,《孫 子》〈謀攻〉「凡用兵之法,全國爲上,破國次之,全軍爲上,破軍次之......是故百戰百勝,非善之善者,不戰而屈人之兵,善之善者也。故上兵伐謀,其次伐交,再次伐兵,最下攻城」; 비평,《論衡》〈問孔》「伐孔子之說,何逆於禮」; 공적,《史記》〈魏公子列傳〉「北救趙而西却秦,此五霸之伐也」;《史記》〈項羽本紀〉「自矜功伐,奮其私智而不師古」;《大學》〈禮記〉「孟獻子曰..畜馬乘,不察於鷄豚。伐冰之家不畜牛羊。百乘之家不畜聚斂之臣,與其有聚斂之臣, 寧有盗臣。此謂國不以利爲利,以義爲利也。」(孟献子-鲁나라 大夫,성은 仲孫, 이름은 蔑 ; 畜-養 ; 乘-4필 말이 끄는 수레 畜馬乘은 士가 大夫의 대우를 받음 ; 察-관심을 두다 ; 伐-매개 ; 伐冰之家-장례지낼 때 시체를 얼음으로 보존하는 재력 있는 집, 고위직의 대우 ; 百乘之家-封地가 있는 제후 아래의 卿으로 실력자의 대우 ; 聚斂之臣-재물을 착취하는 가신 ; 利앞-재물, 뒤-이익)
 
2.誅 - 금문, 원래는 범죄자 등에 붉은 색으로 이름을 써서 걸어두고 사형을 집행함 ; 《說文解字》「誅,討也」;《論語》〈公冶長〉「於予與何誅?」;《呂氏春秋》〈愼行論〉「不誅之則爲亂」; 꾸짖다 ; 기록하다,《墨子》「吾以爲古之善者則誅之,今之善者則作之,欲善之益多也」
사기(史記)
【학습】사기 강의 제218회 보충 설명
(게재일: 2018.12.12. (최종: 2019.01.16. 15:43))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용어) 규석, 백토, 장석, 그 밖의 도토(陶土)를원료로 하여 구워서 만든 그릇을 통틀어 일컫는 말.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4사(四史)
사기
삼국지
17사
송서
남제서
양서
위서
북제서
주서
수서
21사
송사
요사
금사
원사
22사
명사
24사
25사
추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