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선조(宣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선조 (宣祖)
[1552 ~ 1608] 조선의 제14대왕 (재위 1567~1608년). 이름은 균(鈞) 또는 공(--)이고, 시호는 소경(昭敬)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선조 (宣祖) [1552 ~ 1608] 조선의 제14대왕 (재위 1567~1608년). 이름은 균(鈞) 또는 공(--)이고, 시호는 소경(昭敬)이다. 1567년에 명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이황, 이이 등 훌륭한 인재를 뽑아 써서 어진 정치 치열한 당파 싸움이 벌어져 나라의 정치 기강은 날로 어지러워져 갔다. 야인(만주족)의 침입과 임진왜란을 당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중 의주까지 피난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명나라의 군사 원조와 으로 왜적을 물리쳤다. 왜란 후에 다시 당쟁이 계속되어 시달림을 받다가 왕위를 광해군에게 물려주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에 있는 목릉이다.
◈ 지식지도
선조 (宣祖) 가사 문학 기호 학파 남인 대동법 문묘 북인 서인 선무 공신 영남 학파 주자학 한국 문학 호성 공신 대북파 소북파 오성과 한음 이기이원론 통영 충렬사 현충사 1637년 1617년 1618년 1602년 1590년 1591년 1589년 1553년 1555년 광해군 노수신 명종 민기 류성룡 이덕형 이산해 이순신 이원익 이이 이항복 이황 인목 왕후 정언신 정유길 정지연 정철 의인왕후 덕흥 대원군 권철 정탁 유영경 공빈 김씨 안빈 김씨 윤두수 이준경 심수경 김명원 홍섬 이양원 한응인 최흥원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곽재우 구로다 나가마사 권율 기대승 김덕령 김성일 김시민 김안로 김인후 김장생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문정 왕후 민몽룡 박인로 성세창 성혼 송순 송익필 신 사임당 신립 신입 심정 어숙권 영창 대군 원균 윤선도 윤원형 윤휴 이귀 이언적 이여송 이일 이지함 인조 조선 인종 임해군 정순붕 정양 정여립 정인홍 정창연 조광조 조식 조헌 조선 중종 허목 황윤길 휴정 인순왕후 이연경 김제남 김희철 권필 이우 유희춘 이억기 황준량 이명준 윤근수 봉암사 팔봉서원 격몽요결 경연일기 계축일기 난중일기 난후잡록 도산십이곡 동의보감 사미인곡 사서율곡언해 서애집 성산별곡 성학집요 속미인곡 송강가사 송강집 율곡전서 이순신전 징비록 훈민가 퇴계전서 고공답주인가 임진왜란 경주 전투 기묘사화 명량 해전 을묘왜변 을사사화 인조 반정 정유재란 종계 변무 진주성 전투 한산도 대첩 행주 대첩 기축옥사 계축옥사 인목대비 폐비 사건 도산 서원 목릉 세종로 이순신 동상 거북선
▣ 백과사전
[1552 ~ 1608] 조선의 제14대왕 (재위 1567~1608년). 이름은 균(鈞) 또는 공(--)이고, 시호는 소경(昭敬)이다.
 
1567년에 명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이황, 이이 등 훌륭한 인재를 뽑아 써서 어진 정치를 펴기에 힘썼다. 한편 《유선록》 《근사록》 《심경》 《삼강행실》 등을 펴내어 유학을 장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선조의 그러한 노력과는 달리 신하들 사이에는 치열한 당파 싸움이 벌어져 나라의 정치 기강은 날로 어지러워져 갔다. 국정이 어지러워 뚜렷한 국방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마침내는 야인(만주족)의 침입과 임진왜란을 당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중 의주까지 피난해야 하는 등 고통을 겪었으나, 명나라의 군사 원조와 이순신 장군의 활약으로 왜적을 물리쳤다.
 
왜군과의 7년 동안에 걸친 전쟁으로 인하여 국가 재정은 극도로 어려움에 빠지고, 왜란 후에 다시 당쟁이 계속되어 시달림을 받다가 왕위를 광해군에게 물려주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에 있는 목릉이다.
 

 
■ 즉위 이전
→ 1552 덕흥대원군(명종의 이복동생)과 하동부대부인 정씨 사이에서 출생
→ 1565 문정왕후 사후, 척신계 인물들을 제거
→ 1567 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
 
■ 즉위 이후
→ 1567 즉위
- 이황을 중심으로 사림 인사를 대거 기용하고, 천거를 통해 조식·성혼 등을 기용
- 근사록·소학·삼강행실 등 서적을 간행하여 성리학적 질서가 사회 전반으로 퍼짐
→ 1575 사림의 정계 주도권 장악 → 붕당 정치 시작, 동인(신진 사림)과 서인(기성 사림)으로 양분
→ 1583 여진족 나탕개의 난을 토벌하며 신립과 이순신 등이 공을 세워 신임을 얻음
→ 1589 기축옥사(정여립 모반사건) - 동인들이 처형되며, 동인은 서인에 대해 온건한 남인과 강경한 북인으로 분열
→ 1592.4 임진왜란 발발 - 선조는 의주로 피난하여 명에 원병을 요청, 광해군은 조선 각지에서 의병을 모집
→ 전라도에서 이순신이 활약했고, 명의 지원군이 합류하여 일본을 경상도 해안 일대로 몰아냄
→ 1953.3 권율의 행주대첩 승리
→ 1593.4 선조는 서울로 돌아옴 - 궁궐이 모두 불에 타서 선조는 정릉동 행궁에서 생활
→ 1594 훈련도감 설치
→ 1597 정유재란 발발 - 명에 파병을 요청하여 함께 일본의 북진을 차단
→ 이항복, 정곤수, 이순신, 원균, 권율 등 공신 책봉 - 선조를 호송하고 명의 참전을 성사시킨 인물들을 높이 평가
→ 1608 정릉동 행궁에서 승하
 

 

3정승

이준경 (영의정), 이명 (좌의정), 권철 (우의정)
이준경 (영의정), 권철 (좌의정), 민기 (우의정)
이준경 (영의정), 권철 (좌의정), 홍섬 (우의정)
권철 (영의정), 홍섬 (좌의정), 박순 (우의정)
권철 (영의정), 박순 (좌의정), 이탁 (우의정)
이탁 (영의정), 박순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홍섬 (영의정), 이탁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홍섬 (영의정), 박순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권철 (영의정), 박순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홍섬 (영의정), 박순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권철 (영의정), 박순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권철 (영의정), 홍섬 (좌의정), 노수신 (우의정)
홍섬 (영의정), 노수신 (좌의정), 강사상 (우의정)
박순 (영의정), 노수신 (좌의정), 강사상 (우의정)
박순 (영의정), 노수신 (좌의정), 정지연 (우의정)
박순 (영의정), 김귀영 (좌의정), 정지연 (우의정)
박순 (영의정), 김귀영 (좌의정), 정지연 (우의정)
박순 (영의정), 정유길 (좌의정), 정지연 (우의정)
박순 (영의정), 노수신 (좌의정), 정유길 (우의정)
노수신 (영의정), 정유길 (좌의정), 류전 (우의정)
노수신 (영의정), 류전 (좌의정), 이산해 (우의정)
류전 (영의정), 이산해 (좌의정), 정언신 (우의정)
류전 (영의정), 이산해 (좌의정), 정철 (우의정)
•   -   (영의정), 이산해 (좌의정), 정철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정철 (좌의정), 심수경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정철 (좌의정), 류성룡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류성룡 (좌의정), 이양원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이양원 (좌의정), 최흥원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최흥원 (좌의정), 윤두수 (우의정)
이양원 (영의정), 최흥원 (좌의정), 윤두수 (우의정)
최흥원 (영의정), 윤두수 (좌의정), 유홍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윤두수 (좌의정), 유홍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유홍 (좌의정), 김응남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김응남 (좌의정), 정탁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윤두수 (좌의정), 이원익 (우의정)
류성룡 (영의정), 이원익 (좌의정), 이덕형 (우의정)
이원익 (영의정), 이덕형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이원익 (영의정), 심수경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이원익 (영의정), 이덕형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윤두수 (영의정), 이덕형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윤두수 (영의정), 이항복 (좌의정), 이헌국 (우의정)
이원익 (영의정), 이헌국 (좌의정), 김명원 (우의정)
이원익 (영의정), 이항복 (좌의정), 김명원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이항복 (좌의정), 김명원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정탁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이원익 (좌의정), 이항복 (우의정)
이산해 (영의정), 이항복 (좌의정), 김명원 (우의정)
이항복 (영의정), 이헌국 (좌의정), 김명원 (우의정)
이항복 (영의정), 김명원 (좌의정), 윤승훈 (우의정)
이덕형 (영의정), 김명원 (좌의정), 윤승훈 (우의정)
이덕형 (영의정), 윤승훈 (좌의정), 류영경 (우의정)
이항복 (영의정), 윤승훈 (좌의정), 류영경 (우의정)
윤승훈 (영의정), 류영경 (좌의정), 기자헌 (우의정)
류영경 (영의정), 기자헌 (좌의정), 심희수 (우의정)
류영경 (영의정), 심희수 (좌의정), 허욱 (우의정)
류영경 (영의정), 허욱 (좌의정), 한응인 (우의정)
▣ 주요 정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총 19 작품) [모두보기]
무진육조소 戊辰六條疏 개인기록물 이황 (35) 보은단 유래 報恩緞由來 근/현대 소설 윤백남 (30) 강호연군가 江湖戀君歌 시조 장경세(1547-1615) (28) 이근은 고기 한 덩이 근/현대 수필 김동인 (7) 효녀 막덕 근/현대 수필 김동인 (6) 갑진만필 2절 甲辰漫筆 2節 총서 윤국형(尹國馨) (4) 토정의 검소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명의와 사신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첩을 버린 한음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계모와 조헌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명의 양예수 名醫 楊禮壽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김택룡의 수염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야담 (15) 백과 김동인 (14) 백과 수필 (14) 백과 1954년 (13) 백과 갑진만필 (2) 백과
◈ 참조 키워드
광해군 (16) 백과 영창 대군 (12) 백과 임진왜란 (12) 백과 인목 왕후 (10) 백과 인조 반정 (9) 백과 김제남 (6) 백과 임해군 (6) 백과 대북파 (5) 백과 정유재란 (5) 백과 서인 (4) 백과 이순신 (4) 백과 이항복 (4) 백과 인조 (4) 백과 계축옥사 (3) 백과 북인 (3) 백과 원균 (3) 백과 의원 (3) 인현 왕후전 (3) 백과 정여립 (3) 백과 한중록 (3) 백과 효종 (3) 백과 1560년대 (2) 백과 1589년 (2) 백과 16세기 (2) 백과 가토 기요마사 (2) 백과 거북선 (2) 백과 계축일기 (2) 백과 권율 (2) 백과 권철 (2) 백과 김성일 (2) 백과 김시민 (2) 백과 김육 (2) 백과 난중일기 (2) 백과 동의보감 (2) 백과 동인 (2) 류성룡 (2) 백과 명량 해전 (2) 백과 명종,조선 (2) 문정 왕후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성혼 (2) 백과 심강 (2) 백과 심의겸 (2) 백과 심충겸 (2) 백과 양예수 (2) 이귀 (2) 백과 이덕형 (2) 백과 이원익 (2) 백과 이이첨 (2) 백과 이정구 (2) 백과 인빈 김씨 (2) 백과 인순왕후 (2) 백과 정묘호란 (2) 백과 정인홍 (2) 백과 정창연 (2) 백과 정철 (2) 백과 조선 (2) 조선 원종 (2) 백과 조선 중종 (2) 백과 행주 대첩 (2) 백과 허균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