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인천 광역시
자 료 실
마을 소식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2023년 8월
2023년 8월 2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10월
2020년 10월 23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6월
2020년 6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24일
환경부 보도자료
백령도 괭이갈매기 사계절 이동 현황 최초 확인
2020년 5월 4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4월
2020년 4월 29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4월 27일
환경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2020년 3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23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16일
환경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6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3월 2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2020년 2월 27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24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20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17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10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2월 6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9년 12월
2019년 12월 20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2019년 12월 19일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12월 18일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C) 인천의 마을

중구 (中區)
동구 (東區)
남구 (南區)
연수구 (延壽區)
남동구 (南洞區)
부평구 (富平區)
계양구 (桂陽區)
서구 (西區)
강화군 (江華郡)
옹진군 (甕津郡)
about 인천 광역시


내서재
추천 : 0
환경부(環境部) 백령도(白翎島) 옹진군(甕津郡) # 괭이갈매기 # 국립생물자원관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환경】
(게재일: 2020.05.24. (최종: 2020.05.25. 09:56)) 
◈ 백령도 괭이갈매기 사계절 이동 현황 최초 확인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이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이동을 사계절 추적한 결과, 이들 괭이갈매기가 번식 이후 우리나라, 중국 등을 포함한 서해 전역을 서식지로 폭넓게 이용한 것을 확인했다.【국립생물자원관 - 김동원 (032-836-8316)】
▷ 일 년간 백령도 번식 괭이갈매기 서식현황 위치추적으로 확인
▷ 서해 전역을 서식지로 폭넓게 이용, 최장 1만 7,502km 이동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이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이동을 사계절 추적한 결과, 이들 괭이갈매기가 번식 이후 우리나라, 중국 등을 포함한 서해 전역을 서식지로 폭넓게 이용한 것을 확인했다.
괭이갈매기의 사계절 이동 현황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한 괭이갈매기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하는 조류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람이 잘살지 않는 외딴섬이나 무인도에서 집단번식하는 흔한 조류로, 겨울에는 주로 해안가에서 보낸다.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서해5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이동경로 연구를 위해 백령도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내 어미새 10마리에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하고 경로를 추적했다.
추적 결과, 번식을 마치고 백령도를 떠난 괭이갈매기는 북한 해안에서부터 우리나라 서해안과 제주도는 물론 중국의 랴오닝성에서 푸젠성에 이르는 중국 해안까지 서해 전역을 이동하며 생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치추적발신기가 부착된 괭이갈매기 10마리는 지난해 6~7월에 번식지인 백령도를 떠나 이동을 시작했으며, 8마리는 북한 옹진군, 증산군, 철산군 등지의 해안에 체류했다. 나머지 2마리는 북한 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중국 랴오닝성 둥강시와 다롄시까지 이동하여 10월까지 머물렀다.
지난해 11월부터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올해 2월까지 우리나라 서해안의 전북 군산, 전남 영광군, 신안군, 진도, 완도를 비롯한 제주도를 서식지로 이용했다. 일부는 중국의 산둥반도에서부터 상하이, 푸젠성까지 날아갔다. 올해 3월부터는 북쪽으로 이동을 시작했으며, 올해 4월과 5월에 백령도로 7마리가 다시 돌아온 것을 확인했다.
가장 긴 거리를 이동했던 개체는 1만 7,502km,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했던 개체는 8,869km를 이동했다. 가장 먼 월동지는 백령도에서 남서쪽으로 1,409km 떨어진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백령도 괭이갈매기가 사계절 서해 전역을 폭넓게 서식지로 이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우리나라 철새의 이동 경로 규명을 위해 위치추적 발신기 등을 이용한 첨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백령도와 함께 연평도, 소연평도의 괭이갈매기에 관한 장기적인 생태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1. 괭이갈매기 사진.         2. 이동 경로 지도.         3. 질의/응답.         4. 전문용어 설명.  끝.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도시[광역시]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