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4.02. 16:35 | |
| | ⊙ 힐트만 교수, 운주사 계곡 불상과 탑은 미륵 강림 용화세계를 꿈꾸는 민중 염원 담겨 |
최초등록 2025.04.02. 16:31 | |
|
| |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 / 한국을 처음 방문한 독일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은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사진 1백여 장을 《미륵―한국의 성스러운 돌들(Miruk- Die heiligen Steine Koreas, 227쪽)》 이란 책에 수록하여 1987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간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4.01. 14:51 | |
| | ⊙ 들으면 심장이 뛰는 법고(法鼓) |
최초등록 2025.04.01. 14:36 | |
|
| | 사찰의 범종루(梵鐘樓)나 범종각(梵鐘閣)에 있는 법고(法鼓 : 법法 북鼓)는 북(어원은 "붚"이라 함)을 두드려 들짐승(畜生)들을 위해 불법(佛法)을 전하는 불구(佛具)로, 날짐승들을 위한 운판(雲版), 물짐승들을 위한 목어(木魚), 그리고 인간을 위한 범종(梵鐘)과 함께 불전 4물(佛殿四物) 중 하나입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4.01. 12:44 | |
| | ⊙ 담양 출신 송현숙 화가와 결혼...전남대 교환교수 근무 때 방문 매료돼 독일서 전시회 개최 |
최초등록 2025.04.01. 12:40 | |
|
| | 화순 운주사와 조각가 요헨 힐트만 / 전남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을 독일에 처음 알린 사람은 독일인 조각가 요헨 힐트만(Jochen Hiltmann, 1935~ )이다. 그는 1986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운주사 사진 전시회에서 “화순은 땅의 에너지가 왕성하게 넘치고 평화롭고 바람이 잔잔하게 부는 신비롭고 평화로운 곳이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4.01. 12:16 | |
| | ⊙ 사마천 사기 379강 강의자료 요약 (2025.3.27) |
최초등록 2025.03.29. 01:31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遺愛寺〉와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弄, 臨溪, 繞行, 鳥語 등......)설명 ; (2) 고문헌에 나오는 四瀆에 대하여 설명 ; (3) 泉,沼,泊,潭,淵,湖,川,水,河,江,海,洋의 개념과 河와 江의 비교설명 및 揚子江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 ; (4) 중국의 행정구획(省,市,縣,鄕,鎭,村) 설명 ; (5) 淮의 《說文解字》와 기타 문자학적 설명 및 다양한 용례에 대하여 설명 ; (6) 중국근대사(1840-1949년)의 주요 변천과정과 淮軍, 湘軍 및 中體西用, 東道西器, 和魂洋材 등에 대하여 설명 ; (7) 한국 근현대사 변천과정을 nationalism에 입각하여 정리하고, 3개 주요 연원(開化思想, 東學思想, 衛正斥邪)과 파생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좋은 정보 수집 |
【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4. 23:50 | |
| | ⊙ 『육가잡영(六家雜詠)』 序文 |
최초등록 2025.03.24. 23:50 | |
|
| | 육가(六家)'는 여섯 사람이고, '잡영(雜詠)'은 혹은 절구(絶句)고, 혹은 고시(古詩)며, 혹은 율의 장단으로 그 형식이 하나가 아님을 이른다. 남응침 군(君)은 곧 나의 어릴 적 옛날 교우이다. 중년에는 오랫동안 소원하였다가 내가 줄곧 내의원 제조로 일할 때에 미쳐서는 서로 자주 만났는데, 일찍이 그처럼 뜻이 잘 통하는 사람은 없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4. 21:37 | |
| | ⊙ 17~18세기 천연두 창궐, 전국 110개 아미산 지명 생겨...'신성한 성지' 상징 |
최초등록 2025.03.24. 21:37 | |
|
| | 조선왕조의 아미산 - 1 / 조선왕조에서는 왕자들의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 왕비가 생활하는 거처인 경복궁 교태전 뒤에 가산(假山)을 만들어 화초를 심고 아미산이라고 불렀다. 고종 3년(1866)에 만들어진 아미산 굴뚝에는 십장생과 화마와 악귀를 물리치는 상서로운 짐승이 조화롭게 표현되어 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4. 10:34 | |
| | ⊙ 스촨성 아미산에 '표류 장승' 시비 세워...설악산 아미산 장승 태풍 유실, 일본 표착 밝혀 반전 |
최초등록 2025.03.24. 10:34 | |
|
| | 동해 바다를 건너간 장승 2 / 일본 제국(日本帝國, 日帝, 1868.1.3~1947.5.2)은 1867년 메이지유신 이후 부국강병과 식산흥업(殖産興業)을 목표로 기치를 내걸고 천황제에 근거한 근대국가를 확립하고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을 공포하였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3. 14:30 | |
| | ⊙ 무진전쟁 때 승리한 번주, 정관원 당주에 하사...백과사전에 등장할 만큼 유명 |
최초등록 2025.03.23. 14:21 | |
|
| | 동해 바다를 건너간 장승 1 / 1825년(文政 8, 仁孝天皇) 음력 12월 아침 니가타현(新鴻) 가시와자키시(柏崎市) 미야가와하마 해변에 2.6m나 되는 나무가 표착(漂着)했다. 새벽에 한 어민이 해변에 널려있는 나무를 주우러 왔다가 이상한 형태의 나무를 보고 무척 놀랐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9. 00:58 | |
| | ⊙ 사마천 사기 378강 강의자료 요약 (2025.3.20) |
최초등록 2025.03.22. 13:33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池上〉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小娃, 撑,篙,楫 비교, 一道 등......)에 대하여 설명 ; (2)《論語》〈里仁〉「唯仁者能好人, 能惡人」을 《四書集註》와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내용과 비교 설명 ; (3) 大中至正(大道之中, 至正之道)의 바른 의미를 《中庸》「大中至正其介如石」, 「允執厥中」 등과 비교설명 및 蔣中正(介石)의 이름 유래 및 기타 雅號와 字를 짓는 원칙 등에 대하여 설명 ; (4)《禮記》〈禮運〉의 「大同」과 《詩經》〈民勞〉의 「小康」을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방면과 비교하여 설명 ; (5) 天下爲公과 天下爲私(家)의 비교와 禪讓과 世襲 및 許由(許由洗耳)와 巢父(巢父飮牛)의 사례 설명 ; (6 )고대 人才登用(選賢與能)과 曹操,〈短歌行〉「周公吐哺, 天下歸心」과 《史記》〈魯周公世家〉「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 起以待士, 猶恐失天下之賢人」의 禮賢下士의 태도 설명 ; (8)周公(禮樂)과 召公(仁義)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7. 14:53 | |
| | ⊙ 1827년 울산 상인-어부 12명 시마네현 표착...마쓰에역사관, 초상화 전시회 개최 |
최초등록 2025.03.17. 14:52 | |
|
| | 조선 표류민 초상화 전시회 / 17~18세기에 한반도를 횡단하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면서 금강산과 설악산을 비롯하여 동해안의 여러 사찰과 마을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태풍이 지나가면서 엄청난 폭우를 동반하여 계곡에 홍수가 발생해 하류 쪽 마을들은 모두 사라졌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7. 14:50 | |
| | ⊙ 오페르트 선단, 남연군 묘 도굴 실패 일파만파 ...삽교천 방조제 완공으로 뱃길 끊겨 |
최초등록 2025.03.17. 13:40 | |
|
| | 역사에서 사라진 예산군 구만포 / 흥선대원군의 부친 남연군(南延君, 1788~1836) 묘를 도굴하기로 계획한 상인 오페르트와 페롱 신부 일행은 청나라 상하이 무역항을 출항해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모든 도구를 챙겼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7. 13:13 | |
| | ⊙ 풍경(風磬, 풍탁 風鐸)은 작은 종(鐘) |
최초등록 2025.03.17. 12:23 | |
|
| | 사찰에 가면 바람에 흔들리는 "댕그랑 댕그랑~"하는 풍경 소리를 듣고 사찰다움을 느낀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29. 01:29 | |
| | ⊙ 사마천 사기 377강 강의자료 요약 (2025.3.13) |
최초등록 2025.03.17. 11:24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夜雪〉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代 3대시인, 詩魔, 詩王, 元白, 劉白, 訝(驚訝) 등......)에 대하여 설명 ; (2) 襲의 金文과 원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한자의 획수 많은 글자(172획, 참고로 龍, 龍+龍(두마리 용 답, 삽), 龍+龍+龍(용이 가는 모양 답), 龍+龍+龍+龍(수다스러울 절)과 biáng biáng麵(面) 글자모양, 유래(秦始皇), 글자풀이 ; 招財進寶 조합자 등 사례를 설명 ; (4) 중국 고대 服飾(襲, 裼, 袍, 襗, 裘...등) 설명 ; (5) 중국 고대 5종 문학형식(漢賦-唐詩-宋詞-元曲(雜劇+散曲)-明淸小說), 현대는? 설명 ; (6) 王實甫(元), 《崔鶯鶯待月西厢記》의 별칭, 참고문헌, 주요내용과 宮調(說唱)와 諸宮調(長篇) 및 판소리의 원형을 유추하여 설명 ; (8) 封建의 개념(a.時代區分, b.封建制度(유럽, 중국, 일본), c.前近代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고대 점치는 종류와 원칙(先筮而後卜, 卜筮不相襲...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7. 12:40 | |
| | ⊙ 대표적인 한국의 종(鐘) |
최초등록 2025.03.17. 12:23 | |
|
| | 얼른 보면 비슷한 한국의 종이지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대산 상원사 동종을 보면서 수많은 범종들이 만들어져 남아 있거나 사라졌는데 그중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범종을 찾아 정리합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3. 19:22 | |
| | ⊙ 독일로 간 문화재 1만여점... 상인, 선교사에 의해 헐값에 대량 반출 |
최초등록 2025.03.13. 19:22 | |
|
| | 독일 베를린민족학박물관의 조선 장승 / 독일 ‘베를린민족학박물관 훔볼트 포룸’에는 조선 인천부(仁川府) 조동면(鳥洞面) 담방리(淡方里) 별리고개(別離峴, 星峴) 장승백이(長僧店)에 있던 장승 대후(大堠)가 전시되어 있다. 훔볼트 포럼은 인류 역사, 예술, 문화에 전념한 프로이센 학자 빌헬름과 알렉산더 폰 훔볼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곳이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3. 19:22 | |
| | ⊙ 바닷가에 100여 일본 병사들의 시신, 수습해 倭德山, 야산 묻고 넋 달래줘 |
최초등록 2025.03.13. 19:21 | |
|
|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세상은 우연의 연속이다. 전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에 있는 수령 600년으로 추정되는 높이 25m, 둘레 6m의 우람한 비자나무를 만났다. 2021년 7월 22일 범선 코리아나호는 대천해수욕장에서 개최하는 머드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여수 소호요트경기장에서 승객 20여 명을 태우고 새벽 4시 30분에 출항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0. 10:49 | |
| | ⊙ 最古 VS 最高 & 最大 범종(이야기 포함) |
최초등록 2025.03.10. 10:16 | |
|
| | 오늘은 한국의 범종(梵鐘)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종은 1,300년 된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이고, 많이 알려지고 가장 크며 모양과 종소리가 빼어난 한국 최고(最高)의 종은 경주 박물관에 있는 봉덕사(奉德寺) 성덕대왕 신종(일명 에밀레 종)인데 비교해 봅니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7. 11:24 | |
| | ⊙ 사마천 사기 376강 강의자료 요약 (2025.3.6) |
최초등록 2025.03.09. 11:32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風引〉과 작자 劉禹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引, 詩仙(李白), 詩聖(杜甫), 詩豪(劉禹錫), 樂府詩體, 雁群, 孤客 등......)에 대하여 설명 ; (2) 從親, 相親, 和親(漢+匈奴,9회)의 차이 설명 ; (3) 鬼谷子와 戰國時代 제자들(蘇秦-合縱, 張儀-連橫) 및 范雎-瓦解合縱, 遠交近攻 설명 ; (4) 兵家와 戰國時代 4대 名將(白起, 廉頗, 李牧, 王翦)과 白起와 王翦 비교(尺有所短, 寸有所長) 설명 ; (5) 董仲舒의 사상, 근거, 확대, 주요내용(天人感應과 大一統「罷黜百家, 獨尊儒術」) 및 儒家-儒學(經學, 漢學)-新儒學으로의 변화 설명 ; (6) 《論語》〈里仁〉4-2 주석과 설명 ; (7) 中醫學, 韓醫學, 東醫學 명칭 설명 ; (8) 《孟子》〈滕文公下〉「惡用~爲哉」의 번역과 동일한 패턴 6가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是尚爲能充其類也乎? 若仲子者,蚓而後充其操者也」에서 類, 蚓, 操의 주석과 올바른 번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0. 10:16 | |
| | ⊙ 통일 신라 vs 고려 vs 조선시대 종(鐘) 비교 |
최초등록 2025.03.10. 10:16 | |
|
| |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의 범음구(梵音具,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리는 도구) 강좌를 듣고 천안(天安)에 있었던 성거산(聖居山) 천흥사(天興寺) 범종(梵鐘, 이하 종이라 칭함)을 보았다. 종(鐘) 하면 가장 길고 높고 낮은 울림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특유의 맥놀이 현상이 있는 경주 박물관의 통일 신라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이 먼저 떠올랐다. 현존하는 통일신라 종과 불교의 고려시대와 숭유 억불의 조선으로 넘어가면서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종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고 싶어 자료를 찾아 정리해보았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04. 15:06 | |
| | ⊙ 청해진 장도 원목렬, 비자나무 확인...사시사철 푸르고 잘 자라며 약효 많아 |
최초등록 2025.03.04. 14:35 | |
|
| | 전남 나주 덕룡산 불회사를 처음 방문한 친구는 불회사의 비자(榧子)나무 숲이 정말 아름다워 놀랐다고 말했다. 불회사 계곡에는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등산객은 불회사 석장승을 보고 편백숲을 지나 절에 도착하여 부처님께 참배하고는 덕룡산 정상으로 걸어간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04. 14:58 | |
| | ⊙ 도교 신봉 목적, 선인이 되어 선계에 승려도 속인도 아닌 삶 추구 |
최초등록 2025.03.04. 14:34 | |
|
| | 영락궁은 원(元)나라 때 전진교(全眞敎)가 번성하던 시기에 중국 산시성 융지현(永济县) 융러진(永乐镇)에 세워진 건물로 대순양만수궁(大純陽萬壽宮)이라 하며 영락궁은 약칭이다. 여동빈은 당(唐)나라 덕종(德宗) 정원(貞元) 년간(785~805)에 태어났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04. 14:34 | |
| | ⊙ 설훈과 경천, 의겸 등 화승, 독창적인 화풍으로 전수... 추사, 초의 스승 해붕과 교류 |
최초등록 2025.03.04. 14:34 | |
|
| | 서울대 조인희 선생은 2014년 《미술사학연구》에 〈조선 후기의 여동빈에 대한 회화 표현〉이란 논문을 발표하였다. 여동빈(呂洞賓)은 조선왕조 후기 유불선(儒佛仙) 회화에 모두 포용되는 독특한 위상을 가졌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0. 11:20 | |
| | ⊙ 한국 최초 시한폭탄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
최초등록 2025.03.10. 10:16 | |
|
| |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 ▣ 궁인창의 논문모음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23. 15:42 | |
| | ⊙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 -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최초등록 2025.02.23. 14:42 | |
|
| |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전라남도. 2024.1.31 발간) 중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3.1 전남의 역사 / 3.2 전남의 국제교류사 / 3.3. 미래, 창의적인 발전 / 3.4. 장보고 인문학 정립 / 3.5. 결론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22. 11:58 | |
| | ⊙ 도사 여동빈을 그린 신중도... 사원에는 관운장 부장 주창과 관평 신격화 |
최초등록 2025.02.22. 11:58 | |
|
| | 도교의 팔선과 삼원 명절
중국 도교(道敎)의 3대 명절은 상원, 중원, 하원으로 위진남북조시대부터 시작되어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필자는 도교가 우리나라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사찰 벽화나 신중도에 도사 여동빈이 그려져 있었지만, 관심을 가지지 않아 그동안 잘 몰랐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22. 11:57 | |
| | ⊙ 흉노족 침입 물리치기 위해 수호신 모심...몽골 훈촐로는 제주 돌하루방 상관 없어 |
최초등록 2025.02.22. 11:57 | |
|
| | 옹중석, 장승의 기원?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사였던 정승모(1953~ ) 선생은 우리나라 장승의 기원을 진나라 장수 옹중석(翁仲石, 石翁仲)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19. 17:53 | |
| | ⊙ 북송 시기 도교의 신격으로 출현 ...망자의 영혼을 관장하는 위상이 높아져 |
최초등록 2025.02.18. 15:10 | |
|
| | 나주 불회사 석장승의 안내판을 보면서 장승에 적혀있는 명문(銘文)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을 생각했지만, 누구를 칭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페이스북에 적어둔 메모장을 펼쳐보았다.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이승수 교수는 2016년 12월 전남대 호남문화연구 60권에 기고한 〈주장군(周將軍) 당장군(唐將軍) 석장승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기능(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이란 발표 논문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주장군은 17세기말 사찰 건축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고 보았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16. 16:42 | |
| | ⊙ 1798년 만들어진 대법당 상량문에 신통력 지닌 마라난타 존자 창건 알려져 |
최초등록 2025.02.16. 16:21 | |
|
| | 남도 기행, 나주 덕룡산 불회사 탐방
새해 들어 첫 여행지로 전라도를 방문했다. 이번 여행은 무등산(1,187m) 자락 광주에 사는 친구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운주사, 순천만 습지, 여수 밤바다를 함께 방문하고 싶다고 작년 여름에 전화를 걸어와 시작되었다. 그래서 친구에게 “무슨 사연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국문과 친구들과 대학생 때는 같이 여행도 가고 그랬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40여 년이 지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한 번도 여행 간 적이 없어 죽기 전에 소원이다.”라고 말을 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0. 10:24 | |
| | ⊙ 뱀(蛇) 이야기(3) |
최초등록 2025.03.10. 10:16 | |
|
| | 뱀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1. 은혜 갚은 뱀 / 어떤 사람이 강가에 있다가 홍수로 떠내려오는 노루 · 뱀 등의 짐승과 함께 사람을 건져 주었다. 짐승들은 땅에 내리자 그에게 감사를 표시하고는 모두 자기의 길로 갔지만 사람만은 갈 곳이 없었으므로 자기 곁에 살게 하고 돌보아 주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3.10. 10:41 | |
| | ⊙ 뱀(蛇) 이야기(2) |
최초등록 2025.03.10. 10:16 | |
|
| | 뱀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아 계속 적어봅니다.
1. 김수로왕 묘 /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신라 통일 후 문무왕 때 전(前) 가야국 김수로왕(金首露王)의 묘에 금과 옥이 많이 있다는 소문이 돌아 도굴꾼이 많았는데 이때 30척(약 10m)이나 되는 커다란 뱀이 눈을 번뜩이며 사당 옆에서 나와 도적 8~9명을 물어 죽였다. -삼국유사-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06. 14:49 | |
| | ⊙ 【남극 탐험 ⑫】아델리안 펭귄 명명 후 기차 화재로 사망...라페루즈 제독, 울릉도 발견해 ‘다줄레’ 이름 붙여 서양지도 기록 |
최초등록 2025.02.06. 14:49 | |
|
| |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Ⅱ
뒤몽은 항해를 마치고 돌아와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1826년 4월 22일부터 Astrolabe 호를 타고 남태평양 탐험을 35개월 동안 하기로 해군성에 보고하였다. 그는 항해를 통해 현재 파푸아뉴기니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16,000km 이상의 해안선과 작은 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중 약 60개는 아직도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06. 14:47 | |
| | ⊙ 【남극 탐험 ⑪】‘밀로의 비너스’를 루이 18세 헌납해 기사 칭호 얻음...미케네 및 티린스 놀라운 유물 발굴 앞장 |
최초등록 2025.02.06. 14:47 | |
|
| |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Ⅰ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Jules-Sébastien-César Dumont d’Urville, 1790~1842)은 1790년 5월 23일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지역 칼바도스 주의 자치도시인 콘데 쉬르 누아로(Condé-sur-Noireau)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역은 15세기에는 영국인들이 점령했고 전쟁이 잦은 지역이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2.01. 16:07 | |
| | ⊙ 【남극 탐험 ⑩】금 캐는 사람 또는 극지탐험가 다양하게 불러...원양어선 타고 북극 정착한 조선여인 유모 고용도 |
최초등록 2025.02.01. 16:07 | |
|
| | 체코 모험가 ‘얀 벨츨’의 여행기
체코 모험가 얀 벨츨(Jan Welzl, 1868~1948)의 여행기는 정말 놀랍고 신기한 북극 지방 에스키모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송파도서관에 빌려온 책에는 130여 년 전에 정어리 어장을 따라 원양어선을 타고 왔다가 섬에 남은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28. 19:43 | |
| | ⊙ 【남극 탐험 ⑨】공동 브랜드로 여행 일정 판매...나스닥 상장, 육상 생태 관광회사 매입 등 사세 확장 |
최초등록 2025.01.28. 19:43 | |
|
| | 내셔널 지오그래픽-린드블라드 탐험대
남극 여행을 처음 개발한 린드블라드의 아들 스벤 올로프 린드블라드(Sven Olof Lindblad)는 가족의 유산을 이어받아 린드블라드 탐험대(Lindblad Expeditions)를 설립하고 아버지가 구상한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확장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28. 19:59 | |
| | ⊙ 【남극 탐험 ⑧】 여행과 모험, 즐거움과 학습 결합한 ‘탐험 여행’ 창시한 역대 최고 탐험가 20인 선정 |
최초등록 2025.01.28. 19:42 | |
|
| |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28. 18:20 | |
| | ⊙ 사마천 사기 375강 강의자료 요약 (2025.1.23) |
최초등록 2025.01.28. 17:57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20. 15:32 | |
| | ⊙ 겨울철에만 잡힌 심해성 어류에 콩나물과 고춧가루 넣어 요리... 국물 맛 환상 |
최초등록 2025.01.20. 15:32 | |
|
| | 매년 1월이면 동해안을 방문하는데 올해는 화순 운주사, 여수 오동도, 순천만 습지공원 등을 다녀왔다. 아침에 일어나 핸드폰을 열어보니 페이스북에 예전 방문했던 고성군 거진항이 등장했다. 친구 부부와 30년이 넘게 함께 여행하면서 삼척에서 1박 하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거진항에 사는 친구와 통화했는데, 거진항의 단골 맛집을 소개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08 | |
| | ⊙ 【남극 탐험 ⑦】 극지 ‘66° 탐험크루즈’, 작년 9월 9일 출범...중노년층에서 가족 단위 및 젊은층 주도 |
최초등록 2025.01.19. 15:08 | |
|
| | 중국의 66° Expedition Cruise가 2024년 9월 9일 광저우에서 극지 크루즈 상품 ‘66° 탐험 크루즈(66度探险部轮, 66° Expedition Cruises)’를 출범시켰다. 이는 중국 극지탐험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중국 문화관광 기업들이 세계의 끝이라 불리는 극지 탐험에 맞춤형 경험을 통해 극지방 관광에 진출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55 | |
| | ⊙ 뱀 관련 풍습(風習), 금기(禁忌), 해몽(解夢) |
최초등록 2025.01.19. 15:26 | |
|
| | 오늘은 뱀과 관련한 풍습(속설)과 해몽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01 | |
| | ⊙ 【남극 탐험 ⑥】 황제펭귄, 해빙 녹으면서 서식지 30% 파괴...금세기 90% 멸종 위기 직면 |
최초등록 2025.01.19. 15:01 | |
|
| | 남극의 신사로 불리는 황제펭귄 서식지인 남극 해빙(바다 얼음)이 급격히 녹아 사라지면서 황제펭귄의 번식이 실패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2:26 | |
| | ⊙ 사마천 사기 374강 강의자료 요약 (2025.1.16) |
최초등록 2025.01.19. 12:16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4:51 | |
| | ⊙ 【남극 탐험 ⑤】남극 횡단의 중요 통로...제1 미국 남극탐험대 발견한 빙하 지질학자 플랭크 레버렛 명명 |
최초등록 2025.01.19. 14:51 | |
|
| | 탐험가 김영미는 영하 30도 강추위 속에서도 목적지인 레버렛 빙하(Leverett Glacier)를 향해 쉬지 않고 걸어가고 있다. 그녀는 1,141km가 넘는 광활한 설원을 49일 3시간 동안 걸어서 지난 2024년 12월 27일 오후 6시 44분에 남극 횡단의 반환점인 남위 90° 남극점(남위 90°, 날씨 영하 25도, 표고 2,835m)에 도달해 보급품 식량 25kg을 처음 지원받았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42 | |
| | ⊙ 뱀 관련 고사성어 |
최초등록 2025.01.19. 15:26 | |
|
| | 2025년 뱀의 해에 뱀과 관련된 고사 성어에 대하여 알아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많고 모른 것은 배웁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4:26 | |
| | ⊙ 【남극 탐험 ④】러시아 등 천연자원 및 영유권 보장 목적 북극해 항로 개발 적극... 각국, 첨단 쇄빙선으로 |
최초등록 2025.01.19. 14:25 | |
|
| | 북극해 연구를 위해 독일, 일본, 영국, 중국, 캐나다, 러시아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 중에 몇 나라는 첨단 쇄빙선을 건조하며 경쟁한다. 이것은 북극해에 있는 불타는 얼음 ‘메탄하이트레이트’ 등 천연 자원과 영유권, 수송을 위한 북극해 항로 개발, 제해권 보장, 통행료 등 때문이다. |
|
|
|
| ▣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 |
【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2. 17:41 | |
| | ⊙ 사마천 사기 373강 강의자료 요약 (2025.1.9) |
최초등록 2025.01.12. 17:25 | |
|
| |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游子吟〉과 작자 孟郊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臨, 密密, 意恐, 迟迟, 誰言, 寸草, 報得, 三春 등......) 및 吟,謠,曲에 대한 姜夔, 《白石詩話》「悲如蛩螀曰吟,通乎俚俗曰謠,委曲盡情曰曲」 설명 ; (2) 《論語》〈八佾〉「子曰..居上不寬,爲禮不敬,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의 분석과 《大學或問》을 통한 敬의 의미와 「尊德性而道問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3) 旣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4) 《論語》〈鄕黨〉「不可勝食旣(氣)」에서 食旣(氣)의 발음과 의미., 壺子와 列子., 至焉과 焉者., 韓愈, 〈進學解〉의 풀이(增進,學問,論析)와 의미 등 설명 ; (5) 諸子, 百家, 百家書의 개념, 6家, 9流, 10家, 12家 및 대표 학자와 저서 등을 설명., 《13經》의 형성과 《13經注疏》本의 확정과 주요 내용을 설명 ; (6) 《論語》와 《大學》을 사례로 고전 번역에서 주의할 점 설명 ; (7) 恐妻家와 惧內(兩情相悅, 時間久而久之, 由愛成畏)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4:15 | |
| | ⊙ 【남극 탐험 ③】남극 K-루트탐사대, 46일만에 1,512km 개척...세계 6번째 내륙기지 건설 추진 |
최초등록 2025.01.19. 14:15 | |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기관 극지연구소(KOPRI, 신형철 소장)는 2024년 4월 연구소 개소 20주년을 맞아 “극지가 미래”라는 표어를 선정하고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33 | |
| | ⊙ 뱀(蛇) 관련된 지명 |
최초등록 2025.01.19. 15:26 | |
|
| | 2025년 을사년을 맞이하여 뱀 이름이 들어간 지명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4:06 | |
| | ⊙ 【남극 탐험 ②】한반도 면적 60배 크기 남극 대륙...7세기 뉴질랜드 원주민, 고래 사냥하다가 처음 발견 |
최초등록 2025.01.19. 13:59 | |
|
| | 뉴질랜드 민족생물학자이며 환경생물학자인 프리실라 웨히(Priscilla M. Wehi) 박사는 “남극 대륙은 한반도 면적의 60배 크기로 7세기에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이 처음 발견했다.”라고 2021년 뉴질랜드 왕립학회 저널 논문에서 주장했다. |
|
|
|
| ▣ 궁인창의 독서여행 |
【 궁인창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3:57 | |
| | ⊙ 【남극 탐험 ①】“고향의 개구리 울음소리 들으며 100kg 썰매 끌고 남극 1,700km 걷다” |
최초등록 2025.01.19. 13:56 | |
|
| | "한 여인이 100kg의 무거운 썰매를 끌고 남극에서 홀로 걸어가고 있습니다."
2014년 11월 14일 SRT기차에서 본 SRT잡지 첫장을 펼쳐보다가 발견한 〈영하 30도의 남극, 100kg의 썰매 1,700km를 횡단하다〉의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광고 문안이다. |
|
|
|
| ▣ 문화재·역사·전 |
【 고재완의 지식창고 】 |
최종변경 2025.01.19. 15:27 | |
| | ⊙ 2025년 띠별 토정비결 |
최초등록 2025.01.19. 15:26 | |
|
| | 2025년은 뱀의 해 을사년(乙巳年)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