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24년
2024년 4월
2024년 4월 25일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1일
2024년 4월 4일
2024년 3월
2024년 3월 28일
2024년 3월 21일
2024년 3월 14일
2024년 3월 7일
2024년 1월
2024년 1월 25일
사마천 사기 340강 강의내용 요약 (24.1.25)
2024년 1월 18일
2024년 1월 11일
2024년 1월 4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 사기 주본기
【학습】
(2024.02.01. 22:16) 
◈ 사마천 사기 340강 강의내용 요약 (24.1.25)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王昌齡, 〈送郭司倉〉 唐詩의 상세한 注釋과 感想 ; (2)死亡의 다른 표현을 사례별로 열거하여 설명 ; (3)《北齊書》〈神武帝紀〉「王在,吾不敢有異.,王無我不能與鮮卑小兒共事」 번역의 전제조건으로 魏晉南北朝, 隋, 唐의 역사와 문화, 6鎭설치와 6鎭의 반란, 北魏의 멸망, 高歡(東魏,北齊)과 宇文泰(西魏,北周), 府兵制(8柱國大將軍, 12大將軍), 鮮卑族王朝와 鮮卑族+漢族의 混血王朝(隋,唐)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戰國時代 4公子(平原,春信,孟嘗,信陵君)를 비교하여 설명 ; 5)皇帝와 王(諸侯)의 名稱 유래, 自稱 및 기타 다양한 차이 등을 비교하여 설명 ; 6)《論語》〈雍也〉,《孟子》〈梁惠王上〉,《日知錄》卷13 등에 나타난 「焉爾乎(焉耳矣)」에 대하여 文法과 單語 의미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2024년 1월 25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송곽사창 왕창령 작
2) 중국어 발음
Ying4men2huai2shui3lyu4
Liu2qi2zu3ren2xin1
Ming2yue4sui2liang2yuan4
Chun1chao2ye4ye4shen1
 
왕창령(王昌齡, 698년 ∼ 756년)은 당(唐)나라 경조(京兆) 장안[長安, 지금의 산시성(陝西省) 시안시(西安市)] 사람이다. 자(字)가 소백(少伯)이다. 현종(玄宗) 개원(開元) 15년(727)에 진사(進士)에 급제해 비서성교서랑(秘書省校書郞)에 제수되었다가, 개원 22년(734)에 박학굉사과(博學宏辭科)에 합격해 수위(汜水尉, 사수는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싱양시(滎陽市) 서북쪽]에 제수되었다. 개원25년(737)에 죄를 얻어 영남(嶺南)으로 폄적되었다가 사면되어 개원 28년(740)에 장안(長安)으로 돌아왔으며, 이듬해 강녕승[江寧丞, 강녕은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난징시(南京市)]으로 임명되었다. 천보(天寶) 6년(747)에 다시 죄를 얻어 용표위[龍標尉, 용표는 지금의 후난성(湖南省) 화이화 지구(懷化地區)]로 좌천되었으며, 천보 14년(755)에 안사(安史)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피해 장강 (長江)과 회수(淮水) 일대에 머물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호주자사(濠州刺史) 여구효(閭丘曉)에게 피살되었다. 왕지환(王之渙), 고적(高適), 잠삼(岑參), 왕유 (王維), 이백(李白) 등과 교유했으며 개원(開元)·천보(天寶) 연간에 시로 명성이 높았다. ‘변새(邊塞)’, ‘궁원(宮怨)’, ‘규원(閨怨)’, ‘송별(送別)’을 노래한 작품들의 성취가 매우 높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에 뛰어나 후인들에게 ‘칠절성수 (七絶聖手)’라고 불린다. 저서로 ≪왕창령집(王昌齡集)≫ 4권이 있다 (위키백과)
 
* 官 ~ 5급이상, ~ 6급이하
* 4瀆 ~ 黃河, 濟水, 淮水(중국 이등분 기준이 되는 강), 長江
 
 
* 사념조선후외 김영환 작
 
 
2) 중국어 발음
Hou4dai4wei2ru2zhe3
Zu3xian1yi4lie4xin1
Tu1chu1yu2si4hai3
Bu4wang4ri4duo1shen1
 
* 교수님 조상 중 임진왜란때 이순신 장군하고 같이 전투할 때 일본 조총에 살해된 분이 계셔 그 분을 생각하며 지은 시라고 합니다
 
 

 
* 강의 교안 :김영환 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6강(2023,03,30)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 註釋
 
1. 無 - 甲骨文 [▣], 원래는 도구를 들고 춤추는 모양으로 舞의 처음 형태이고, 祭祀, 祈雨와 관계가 깊다.
 
1) 없다.
2) 아니다
 
3) 사망의 다른 표현
 
 
 
《北齊書》〈神武帝紀下〉「王在, 吾不敢有異 王無, 吾不能與鮮卑小兒共事」
* 5호 16국과 위진 남북조 수 당의 역사를 알면 해석이 아래와 같이 된다.
동위를 세운 고환이 살아 있을 때는 나는 감히 다른 마음을 갖지 못했으나,
나 후경(세력가)은 선비의 아들 고징이 황제가 되면 나는 반란을 일어킨다.
(그래서 나중에 패하여 양나라로 투항했다.)
 
 
 
 
 
 
 
 
* 중국의 역사
 
 
(1) 삼국시대후 위나라의 조위가 통일을 한다.
 
(2) 다시 사마의에게 빼앗겨 사마의의 손자가 서진을 세운다
 
(3) 북방의 오랑케 침입으로 서진이 멸망하고
 
(4) 사마씨 중의 한 명이 東晉(장강 이남을 차지)을 세운다
* 장강 이북은 5호 16국(실제 21국임)을 세운다
* 5호(오랑케) ~ 흉노와 갈(羯)·저(氐)·강(羌)·선비(鮮卑)의 다섯 종족(五胡)
 
(5) 5호16국(五胡十六國時代 304년~439년)을 통일한 민족이 선비족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조(前涼: 304~318)가 건국된 304년부터 선비족 탁발씨 북위(北魏: 386~534)가 화북을 정복 통일한 439년까지를 가리킨다.
 
(6) 북위의 멸망 원인
가. 6진 설치
나. 6진의 반란을 거처 서위(우문태)와 동위(고환)로 분열된다
다. 서위가 부병제를 창설{8명의 주국대장군과 그 밑에 12명의 대장군을 두었다}
라. 우문태의 아들 우문각이 새로운 나라 북주를 만들자, 동위도 북제를 만들었다
마. 12대장군인 양충의 아들 양견이 수나라를 건국
바. 이호의 손자 이연이 당나를 건국한다
사. 독고성의3딸이 북주와 수와 당나라 3황제의 3황후가 된다.
아. 북주 수, 당은 모두 선비족과 한족의 혼혈이다
자. 고환의 부인 누소군(잔인하고 똑똑함)의 4 아들은 모두 북위 북제의 황제이다.
차. 서위에서 북제를 거처 외척인 양견이 수를 건국 천하통일 한다.
 
(7)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386~589)는 동북방에서 중국으로 정복활동을 벌이며 침입한 이민족들이 세운 북조와 한족이 세운 남조와 대립하다가 선비족의 우문태가 건국한 왕조 북주가 수나라로 계승되었고 마지막 남은 한족 국가 중국(진나라)을 정복하고 통일시킨 시대까지를 말한다.
 
이민족들이 화북을 점령하고 건국한 북위, 북제, 북주, 수나라를 북조(北朝)라고 부르며 이 시기 한족들은 이민족들의 북조에 밀려 장강 쪽으로 이동하여 송나라(宋), 제나라(齊), 양나라(梁), 진나라(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 한족들 국가를 남조(南朝)라고 불렀다. 이민족들이 건국한 북조는 한족들이 건국한 남조에 군사적 위협을 가했고 남조는 거짓 평화를 얻기 위해 북조와 여러 협정을 맺고 이민족 북조에 조공하였다. 적국인 북조의 명을 한족 남조(南朝)는 그대로 따르며 남조의 충신들을 죽여 한족 남조(南朝)국력이 약해졌고 결국 차례로 흥망하다가 마지막 남조 진나라에 이르러 완전히 멸망한다. 이것은 이후에 송나라 또한 거짓 평화협정을 맺고 충신 악비를 죽여 이민족에 의해 멸망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 볼 수 있다.
 
이 시대 이민족에 의한 학살을 피해 한족들이 화남으로 대이동하여 화남이 크게 개발되어, 양쯔강 이남을 가르키는 강남은 중국 전체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남조는 정치적 혼란과는 대조적으로 문화와 불교 등이 융성하여 육조 문화라 불리는 귀족 문화가 번영하여 도연명, 왕희지 등이 활약했다.
 
화북에서는 선비족 탁발부가 건국한 북위(北魏)가 오호십육국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이민족 부족제를 해체하고 중앙의 황제가 통치하는 국가로 탈피했다.
 
북위는 육진의 난(六鎭之亂)을 거치면서, 534년에 동위(東魏), 서위(西魏)로 분열하였다. 동위는 550년 북제(北齊)로 정권이 바뀌고, 서위는 556년에 북주(北周)가 대신했다. 577년 북주는 북제를 멸망시켜 한족의 마지막 정권인 진나라를 정복하였다.
 
그 후 581년 수나라의 양견이 북주의 양위를 받아 제위에 오른다. 589년 수나라는 진나라에서 도망친 후주를 잡고 중국을 재통일하였다. 화북의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 수나라 6개 왕조를 가리켜 북조(北朝)라고 불렀다. (위키백과)
(위키백과)
 
 
 
 
 
4) 無論, 《史記》〈孟嘗君列傳〉「孟嘗君舍業厚遇之, 以故傾天下之士。食客數千人, 無貴賤一與文等。孟嘗君待客坐語, 而屏風後常有侍史, 主記君所與客語, 問親戚居處」
맹사군이 자기가 하던 본업을 버리고 선비들을 후하게 예우했다. 이런 까닭에
천하의 선비들이 마음을 기울여 식객이 수 천명이고 귀천을 구분함 없이 일율적으로 맹상군(田文)과 동일하게 대우했다. 맹상군이 식객과 마주하며 앉아서 애기하면 병풍 뒤에 항상 문서 담당자(侍史)가 양상군이 식객과 나눈 대화와 친척이 거처하는 곳을 물어서 그것을 기록하였다.
(客去 孟嘗君已使使存問,獻遺其親戚 손님이 떠나면 사람을 보내 안부를 묻고 그 친척에게 선물을 바쳤다)
 
5) 비록~일지라도(even if)
《左傳》僖公二十二年「国無小, 不可易也。無備, 雖衆, 不可恃也」
나라가 비록 작을지라도 가볍게 여기는 것이 불가하고 경계함이 없으면 비록 군사가 많아도 의지할 수가 없다.
 
6) 아니다(不)
《尙書》〈洪範〉「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
친척에게 치우치지 않고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에게도 치우 치지 않으면 왕도정치는 덕치를 널리 베풀고 거리낌 없이 골고루 퍼진다.
 
7) 未 沒
《荀子》〈正名〉「外危而不内恐者, 無之有也」
밖으로 위험을 느끼면서도 속으로 두려워하지 않는 이런 사람은 있지 않다.
 
8) 毋, 금지 표시, 不可, 不要와 비슷하다,
韓愈, 《元和聖德詩》「皇帝曰嘻, 無汝煩苦」
황제가 즐거워서 너는 번뇌와 고통이 없을 것이다.
 
9) 없다, 沒有(none, nothing, 無可奈何)
《孟子》〈梁惠王上〉「梁惠王曰 寡人之于国也, 盡心焉耳矣。河内凶, 則移其民于河東, 移其粟于河内, 河東凶亦然。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鄰國之民不加少, 寡人之民不加多, 何也?」
양혜왕이 말하기를 나는 국가에 대하여 진심을 다했을 뿐이다. 황하 내부에 흉년이 들면 즉 그 백성을 황하 동쪽으로 옮기고 그 곡식을 황하 안쪽으로 옮긴다.
 
황하 동쪽에 흉년이 생기면 또한 그렇게 하고 있다. 이웃나라의 정치를 살펴 보건데 과인의 마음 씀과 같은 게 없는데도, 이웃 나라의 백성은 감소되지 않고, 과인의 백성이 증가되지도 않음은 어찌된 것입니까?
 
 
 
 
 
 
1) 子游爲武城宰 子曰 女得人焉耳乎 (曰 有澹臺滅明者 行不由徑 非公事未嘗至於偃之室也)
자유가 무성읍의 읍재가 됐다. 공자가 말하기를 너는 무성(此地)에서 사람을 얻었느냐?
(대답하기를 담대명멸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지름길로 가지 않습니다. 공적 일이 아니면 저의 집에 온 적이 없습니다)
 
3) 保天下者,匹夫之賤與有責焉耳矣
천하를 보호하는데 필부 같은 천한 사람도 여기(於此)에 책임이 있다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 사기 주본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사마천 사기 341강 강의내용 요약 (2024.3.7)
• 사마천 사기 340강 강의내용 요약 (24.1.25)
• 사마천 사기 339강 강의내용 요약 (24.1.1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