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어리고 우활(迂闊)산 이 우 더니 업다.
3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하날긔 부쳐 두고,
4
누항(陋巷) 깁푼 곳의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5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
6
셔 홉 밥 닷 홉 죽(粥)에 연기(煙氣)도 하도 할샤.
7
설 데인 숙냉(熟冷)애 뷘 배 쇡일 이로다.
8
생애 이러다 장부(丈夫) 을 옴길넌가.
9
안빈 일념(安貧一念)을 젹을망정 품고 이셔,
10
수의(隨宜)로 살려 니 날로 조차 저어(齟齬)다.
11
히 부족(不足)거든 봄이라 유여(有餘)며,
13
빈곤(貧困) 인생(人生)이 천지간(天地間)의 나이라.
14
기한(飢寒)이 절신(切身)다 일단심(一丹心)을 이질가.
15
분의 망신(奮義忘身)야 죽어야 말녀 너겨,
16
우탁 우랑(于槖于囊)의 줌줌이 모아 녀코,
17
병과(兵戈) 오재(五載)예 감사심(敢死心)을 가져 이셔,
18
이시섭혈(履尸涉血)야 몃 백전(百戰)을 지연고.
19
일신(一身)이 여가(餘暇) 잇사 일가(一家)를 도라보랴.
20
일노장수(一奴長鬚) 노주분(奴主分)을 이졋거든,
21
고여춘급(告余春及)을 어 사이 각리.
22
경당문노(耕當問奴)인 눌려 물고.
23
궁경가색(躬耕稼穡)이 분(分)인 줄 알리로다.
24
신야경수(莘野耕叟)와 농상경옹(瓏上耕翁)을 천(賤)타 리 업것마,
26
한기태심(旱旣太甚)야 시절(時節)이 다 느즌 졔,
28
도상(道上) 무원수(無源水)를 반만 혀두고,
30
친절(親切)호라 너긴 집의 업슨 황혼(黃昏)의 허위허위 다라 가셔,
31
구디 다 문(門) 밧긔 어득히 혼자 서셔
32
큰 기 아함이를 양구(良久)토록 온 후(後)에,
33
어와 긔 뉘신고 염치(廉恥) 업산 옵노라.
34
초경(初更)도 거읜 긔 엇지 와 겨신고.
35
연년(年年)에 이러기 구차(苟且) 줄 알건마
36
쇼 업 궁가(窮家)애 혜염 만하 왓삽노라.
39
목 불근 수기치(雉)을 옥지읍(玉脂泣)게 어 고,
40
간 이근 삼해주(三亥酒)을 취(醉)토록 권(勸)거든,
41
이러한 은혜(恩惠)을 어이 아니 갑흘넌고.
42
내일(來日)로 주마 고 큰 언약(言約) 야거든,
43
실약(失約)이 미편(未便)니 사셜이 어려왜라.
45
헌 먼덕 수기 스고 측 업슨 집신에 설피설피 물너 오니,
46
풍채(風採) 저근 형용(形容)애 즈칠 이로다.
47
와실(蝸室)에 드러간 잠이 와사 누어시랴.
48
북창(北牕)을 비겨 안자 배 기다리니,
49
무정(無情)한 대승(戴勝)은 이 한(恨)을 도우다.
50
종조(終朝) 추창(惆悵)야 먼 들흘 바라보니,
51
즐기 농가(農歌)도 흥(興) 업서 들리다.
52
세정(世情) 모 한숨은 그칠 줄을 모다.
54
가시 엉긘 묵은 밧도 용이(容易)케 갈련마,
55
허당 반벽(虛堂半壁)에 슬업시 걸려고야.
56
춘경(春耕)도 거의거다 후리쳐 더뎌 두쟈.
57
강호(江湖) 을 언지도 오러니,
58
구복(口腹)이 위루(爲累)야 어지버 이져다.
59
첨피기욱(瞻彼淇燠)혼 녹죽(綠竹)도 하도 할샤.
60
유비군자(有斐君子)들아 낙 나 빌려라.
61
노화(蘆花) 깁픈 곳애 명월 청풍(明月淸風) 벗이 되야,
62
님 업 풍월강산(風月江山)애 절로절로 늘그리라.
63
무심(無心)한 백구(白鷗)야 오라 며 말라 랴.
65
무상(無狀)한 이 몸애 무 지취(志趣) 이스리마,
68
남의 집 남의 거슨 전혀 부러 말렷스라.
69
빈천(貧賤) 슬히 너겨 손을 헤다 물너가며,
70
남의 부귀(富貴) 불리 너겨 손을 치다 나아오랴.
71
인간(人間) 어 일이 명(命) 밧긔 삼겨시리.
73
생애(生涯) 이러호 설온 은 업노왜라.
74
단사표음(簞食瓢飮)을 이도 족(足)히 너기로라.
75
평생(平生) 이 온포(溫飽)애 업노왜라.
76
태평천하(太平天下)애 충효(忠孝)를 일을 삼아
77
화형제(和兄弟) 신붕우(信朋友) 외다 리 뉘 이시리.
78
그 밧긔 남은 일이야 삼긴 로 살렷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