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왕심(枉尋) ◈
카탈로그   본문  
1954년
김동인
1
왕심(枉尋)
 
 
2
무학(無學)이 이태조(李太祖)를 위하여 한양(漢陽)에 도읍의 지상(地相)을 보는데 산줄기〔山麓〕가 많고 골짜기가 좁아서 마땅한 곳이 없는지라 이에 삼각산(三角山)에 올라 용세(龍勢)를 쫓아 남(南)으로 향하여 목멱산(木覓山) 마지막 줄기에 이르니 벌〔原野〕이 광활하고 안계(眼界)가 명창(明暢)하여 짐짓 왕도(王都)의 곳이라 심중에 흔회하여 이제 왕의 터 〔王基〕를 찾았다 하고 길 곁에 앉아 쉬었다. 마침 한 노옹이 소를 타고 지나가다가 채찍질하며 꾸짖기를
 
3
"어리석도다 이 소여. 무학(無學)과 같도다. 정처(正處)를 버리고 딴 곳에서 왕심(枉尋 ― 잘못 찾는다는 뜻) 하는도다"
 
4
한다. 무학이 이인(里人)임을 알고 엎드려 절하고 가르쳐 주기를 청하였다. 노인이 채찍으로 가르키며 일로 쫓아서 10리를 가라 하고 인하여 문득 보이지 않는다. 무학이 드디어 백악산(白岳山) 아래에 도읍의 터를 정하였다. 지금 서울 동남 10리 허에 왕심이라 이르는 동리가 있으니 즉 무학의 최초 그릇 찾은 곳이므로 인하여 지명을 삼은 것이다.
【원문】왕심(枉尋)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야담〕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왕심 [제목]
 
  김동인(金東仁) [저자]
 
  1954년 [발표]
 
  수필(隨筆) [분류]
 
  야담(野談)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왕심(枉尋)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3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