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강원도
자 료 실
마을 소식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2024년 4월
2024년 4월 3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4년 2월
2024년 2월 2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2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2월 14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4년 1월
2024년 1월 29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4년 1월 10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12월
2023년 12월 2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2월 2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2월 2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2월 13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12월 5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11월
2023년 11월 16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11월 1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1월 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금병산 실레 이야기길 (둘레길)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0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7월
2023년 7월 3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7월 9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1년 6월
2021년 6월 7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1년 6월 1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1월
2020년 11월 4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0월
2020년 10월 28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7월
2020년 7월 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6월
2020년 6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6월 24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6월 23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6월 22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6월 9일
환경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31일
환경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2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0일
환경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18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4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20년 5월 13일
환경부 보도자료
(C) 강원도의 마을

춘천시 (春川市)
원주시 (原州市)
강릉시 (江陵市)
동해시 (東海市)
태백시 (太白市)
속초시 (束草市)
삼척시 (三陟市)
홍천군 (洪川郡)
횡성군 (橫城郡)
영월군 (寧越郡)
평창군 (平昌郡)
정선군 (旌善郡)
철원군 (鐵原郡)
화천군 (華川群)
양구군 (楊口郡)
인제군 (麟蹄郡)
고성군 (高城郡)
양양군 (襄陽郡)
about 강원도


내서재
추천 : 0
김유정(金裕貞) 김유정 문학촌 춘천시(春川市) # 금병산 # 김유정 역
최근 3개월 조회수 : 13 (3 등급)
【관광】
(게재일: 2023.11.09. (최종: 2023.11.09. 09:24)) 
◈ 금병산 실레 이야기길 (둘레길)
강원도 춘천의 김유정 역에서 김유정 문학촌을 둘러보고 김유정이 태어난 금병산(金甁山, 652m) 아래 증리(시루 甑 + 마을里, 실레 마을의 실레는 "시루"의 사투리)의 실레 이야기 길을 다녀와 글을 올린다.
강원도 춘천의 김유정 역에서 김유정 문학촌을 둘러보고 김유정이 태어난 금병산(金甁山, 652m) 아래 증리(시루 甑 + 마을里, 실레 마을의 실레는 "시루"의 사투리)의 실레 이야기 길을 다녀와 글을 올린다.
김유정(1908~1937)의 대표 소설은 누가 뭐래도 "봄·봄"과 "동백꽃"이다. 김유정 생가의 봄·봄과 동백꽃의 조형물이 잘 묘사되어 있고 문학촌 야외에 있는 솥의 조형물도 마찬가지다.
 
결혼하고 싶으면 장인어른의 수염을 잡아 뜯던 뭘 하든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말라 하던 평소 점순의 말과 달리 결정적인 순간에 내 편이 아닌 장인 편을 드는 점순이의 밀당하는 연애실력이 나온다. -봄봄-
 
▣ 실레 이야기 길(16개)
김유정의 고향은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증리다. 뒤의 금병산에 묻힌 마을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실레라 부른다.
실레 이야기 길은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웃음길, 금병산 아기장수전설길, 산국농장금병도원길, 점순이가 ‘나’를 꼬시던 동백숲길, 덕돌이가 장가가던 신바람길, 복만이가 계약서 쓰고 아내 팔아먹던 고갯길, 춘호처가 맨발로 더덕 캐던 비탈길 등 총 16개의 길로 되어있다.
실레 이야기 길을 걸으려면 휴대폰 지도에 "실레 이야기길"이라 치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 맵 지도는 약간 다른 부분이 있는데 산신령이 살던 산신각(山神閣)에 가면 네이버 지도(춘천시 안내)이고, 산신각에 안 가면 카카오 맵(김유정 문학촌 안내도와 같음)이다. 산신각을 지나는 코스로 다녀왔다.
 
 
▼야외무대를 지나 실레 이야기길 안내판(A)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았다.
 
▼ 음식점 "시루"
 
▼책과 인쇄 박물관(입장료 6,000원/대인)은 통과하였다. 홈피 https://mobapkorea.com/
 
▼도로 옆에 커다란 팽나무가 서있다.
 
▼단풍나무가 붉게 물들고 가을이 점점 깊어 간다.
 
​※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 웃음길(표지판)
- 관련 작품은 산골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아내, 소낙비, 솥
- 들병이(병에다 술을 가지고 다니면서 파는 사람)들이 먹고살기 위해 인제나 홍천으로 이 산길을 통해 마을로 들어와 잠시 머물다 떠난 이야기가 쌓인다. 낙엽이 쌓이듯 ...
 
 
 
 
​※금병산 아기 장수 전설길
 
- 두포전(소년, 1939년에 발표 )이 관련 작품
- 두포전 줄거리 : 강원도 장수골에 사는 착한 노부부는 자식이 없어 외로워한다. 부인이 용꿈을 꾼 후, 그때 한 노승이 찾아와 시주를 부탁한다. 그 중은 3일 동안 매일 노부부를 찾아오더니, 사내아기를 맡기고 사라진다. 노부부는 아기를 두포라 이름 짓고 정성을 다해 기른다. 두포는 성장하면서 외모와 힘, 성품 등 모든 면에서 비범한 면모를 보인다. 동네 사람들은 모두 그를 칭송하지만, 단 한 사람 칠태만은 두포를 시기하고 미워한다. 칠태는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두포를 해하려 하지만, 그때마다 두포는 술법을 부려 칠태의 손아귀를 벗어난다.
칠태는 두포가 영험한 바위를 통해 겨드랑이에 날개를 달고 용마를 타는 장수임을 알아내고, 그 바위에 구멍을 내 끓는 납을 붓는 순간 칠태는 천벌을 받아 죽는다. 마을 사람들은 두포를 잡을 생각으로 두포네 집에 몰려가는데 그때 화려한 행렬이 나타나고, 옛날 노부부를 찾아와 두포를 맡겼던 노승이 나타나 본래 두포는 이 나라의 태자이고 노승 자신은 정승인데, 15 년 전 반역을 일으킨 무리가 있어 태자를 피신시켜 노부부에게 맡겼다는 것이다. 칠태의 방해만 아니었다면 두포는 도술에 통달한 군주가 될 수 있었겠으나, 아쉽게도 더 이상 술법은 부릴 수 없다. 그러나 두포는 도술을 잃은 대신 한없이 착한 마음과 덕을 갖춘 성군이 되었고 그 영험한 바위를 장수 바위라 합니다.
☞ 안내판 내용(겨드랑이에 날개 달린 아이가 장수되는 것을 두려워해 마을 사람들이 날개를 자르자 죽었다) 과 소설 두포전 내용이 다르다. 여기 안내판에 적힌 내용과 같은 서울 중랑구 용마봉에 아기장수 전설이 있다.
 
​※산국농장 금병도원길
- 관련 작품은 동백꽃
 
 
​※점순이가 나를 꼬시던 동백숲길
- 동백꽃, 산골
-봄에 산수유가 필 때, 나무에 잎이 나기도 전에 노랗게 피는 생강나무 꽃이 소설 속의 동백꽃이다. 알싸하고 향긋한 냄새가 난다고 묘사돼 있다. 생강 냄새를 잘 표현하였다.
 
 
​※덕돌이가 장가가던 신바람길
- 산골나그네가 관련 작품으로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 산골나그네(여인)가 병든 남편을 물레방앗간에 숨겨놓고 노총각 덕돌이와 위장결혼했다가 도망간 이야기가 담겨 있는 길이다.
 
 
▼전망대(출입을 못 하게 테이프로 감겨져있다)
 
 
​※복만이가 계약서 쓰고 아내 팔아먹던 고갯길
- 작품 배경은 가을
- 복만이가 소장수 황거풍한테 매매 계약서를 쓰고 아내를 오십 원에 팔아먹은 뒤 아내와 함께 도망치던 고갯길이다.
 
 
 
 
​※춘호처가 맨발로 더덕 캐던 비탈길
- 관련 작품은 소낙비
- 춘호 처가 도라지 더덕을 찾아 맨발에 짚신짝을 끌며 가파른 산등 칡덩굴에 매달리기도 하며 남편이 원하는 돈 이원 구할 궁리를 하던 그 산길이다.
- 줄거리 : 흉작과 빚쟁이의 위협 때문에 야간도주를 한 춘호는 아무리 떠돌아다녀도 살길을 찾을 수 없게 되자, 노름판에 뛰어들 생각을 한다. 그러나 밑천 2원이 없어 울화가 치민 춘호는 아내를 때리며 돈을 구해오라고 한다. 매를 맞고 뛰쳐나온 춘호의 처는 돈을 구할 방도를 생각하다가 마침 마을 부자인 이주사의 눈에 들어 팔자를 고친 쇠돌 어멈네 집으로 향한다.
가다가 소낙비를 만나 밤나무 밑에서 피하던 중 문득 아무도 없는 쇠돌 어멈집에 이주사가 들어가는 것을 보고, 따라 들어가 몸을 맡기고는 다음날 2원을 받기로 한다. 다음날, 춘호는 2원을 얻어서 빚도 갚고 서울로 가서 아내와 함께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에 아내를 곱게 치장시켜 이주사에게로 보낸다는 이야기이다.
 
 
​※도련님이 이쁜이와 만나던 수작골길
-관련 작품은 산골
-"너 데련님하구 그랬대지?" 먼 하늘만 쳐다보며 도련님 생각만 하고 있는 이쁜이한테 석숭이가 투정 섞어 사랑고백을 하던 곳이다.
 
 
 
​※산신각 가는 산신령길
-산골나그네, 만무방이 관련 작품
-금병산(진병산) 산신을 모신 전각으로 가는 길로 새로 지은 산신각에서 마을 안녕을 비는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각 가는 길의 쓰러진 고목
 
▼송전탑
 
▼진병산(陳兵山, 금병산을 말함) 산신각
송전탑 1개가 원래 있던 산신각 옆에 세워져 산신령의 노여움이 계실까 염려되어 노후된 산신각을 1999년 한국전력공사의 지원으로 아래쪽에 신축하였다고 이전 사유가 적혀있다.
 
▼산신각 안내석
진병산(陳兵山)은 금병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助防將)을 지낸 원호(元豪, 1533~1592) 장군의 군사들이 진(陳)을 쳤던 곳이라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구한말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될 때 항일 의병들이 이 일대에서 진을 구축하고 전투를 치렀다고 적혀있다.
☞ 안내석에 한자를 잘못 표기했는데 제삿날(祭日)은 매년(每年) 3월 중을 해년(海年) 3월 중이라 새겼다.
 
▼잣나무 산림욕장
 
 
 
▼고소한 들깨 향이 코로 밀려온다.
 
​※맹꽁이 우는 덕만이길
-총각과 맹꽁이가 관련 작품
-저는 강원도 춘천군 신남면 증리 아랫말에 사는 김덕만입니다, 저는 서른 넷인데두 총각입니다." 덕만이가 들병이한테 자기소개하는 장면이다.
- 줄거리 : 농촌에 살고 있는 총각 덕만은 지주에게 속아 소작하고 농사를 짓지만 항상 가난한 생활을 한다. 덕만은 들병이와 결혼하여 생계를 이어갈 생각에 건달 뭉태에게 술과 고기를 대접한다. 하지만 덕만의 바람과는 달리 뭉태는 들병이를 덕만에게 소개해 결혼시켜줄 생각이 없었으며 결국 덕만의 기대는 수포로 돌아가고 절망한 덕만의 귀에 맹꽁이 우는소리가 들려온다.
 
 
▼김유정 문학촌
 
마무리하며
김유정 소설을 미리 읽어보고 실레 이야기 길을 걸으면 무슨 이야기인 줄 이해가 쉽다.
산신각에서 산림욕장 구간의 잣나무 숲은 참 좋았다.
실레 이야기 길은 16길(산신각 가는 길 불 포함)이라 되어 있는데, 네이버 지도나 현지 안내판은 산신각을 지나는 코스로 되어 헷갈리므로 정리가 필요하다.
실레 이야기 길을 스탬프 투어(스탬프 북, 스탬프, 기념 마그넷 )로 진행하면 지금보다 방문객 수가 늘고 참여도도 높아질 것 같다.
전망대는 출입 금지 테이프로 감겨져 있는 데 왜 막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코로나도 끝났는데...
산신각에 가는 길은 풀이 자라 뱀이 금방이라도 나올 것 같은데 정리해 주면 좋겠고, 또한 1999년 세운 산신각 안내석의 잘못 표기된 한자(매년 每年을 해년海年으로)는 수정할지...
실레 이야기 길을 관리하는 곳이 어딘지 모르지만 정기적인 순찰을 실시하여 안내판과 둘레길의 시설 점검·유지(청소, 도색, 파손, 고장) 등 관리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시설을 설치하고 유지 · 관리를 제대로 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춘천시는 잘 할 것이라 생각한다.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대한 민국의 행정 구역[도(道)]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대한민국의 마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