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교육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교육부 보도자료
◈ 장애학생 취업의 문 넓힌다.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12월 12일(수) 국립특수교육원에서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및 2018년 취업지원 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한다.
[담당부서]교육부 장애학생진로평생교육팀 김길태 연구사(☎ 044-203-6564),
보건복지부 장애인자립기반과 임동민 사무관(☎ 044-202-3328),
고용노동부 장애인고용과 임선호 사무관(☎ 044-202-7483)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12월 12일(수) 국립특수교육원에서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및 2018년 취업지원 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한다.
 
○ 이번 설명회는 교육.복지.고용 연계를 강화하여 더욱 촘촘하게 장애학생 취업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개요        
 ◈ 일시/장소: 2018. 12. 12.(수) / 국립특수교육원
  - 참석대상: 교육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립특수교육원장,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시.도교육청 진로.직업교육 담당자(교원), 공단 및 직업재활기관 담당자 등 350여 명
 ◈ 주요내용: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및 2018년 취업지원 우수사례 발표, 특수학교 학교기업 생산품 전시회 등
□ 2019년 3개 부처는 정부의 포용사회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장애학생 취업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관련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 교육부는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18년 7개 교육청에서 ’19년 11개 교육청*으로 확대하여 장애학생의 사회진출 기회를 강화한다.
 
* (’18년) 대구, 인천, 광주, 울산, 충북, 경북, 경남 → (’19년)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경북, 제주
 
- 또한, 현장중심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학교 직업교육 중점학교*를 확대(’18년 21교 → ’19년 32교)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을 개선한다.
 
* 특수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시, 교과(군)별 50% 범위내에서 시수를 감축하여 ‘진로와 직업’ 교과를 중심으로 운영
 
- ’19년 8월에는 정책연구를 통해 학령이후 평생교육과 연계한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방안(‘19~‘22)’을 마련하여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는 ‘2019년 장애인일자리사업’ 보완*하여 청년장애인의 사회진출 기회를 돕는다.
 
* 특수학교(급) 졸업예정자에 대한 가산점 추가, 일자리사업 참여자 선발위원회 구성 범위에 특수교육 전문가를 포함하여 구성
 
- 전국 36개 직업재활센터를 중심으로 장애학생 대상 현장중심 직업훈련 프로그램*도 점차적으로 확대.적용하여 일자리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를 지원한다.
 
* 장애인의 채용이 필요한 사업체 현장에서 장애학생 3~5명당 1명의 전문 인력을 한 조로 구성하여 직업훈련 실시
 
○ 고용노동부는 맞춤취업을 강화하기 위해 ’19년 장애학생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 규모(’18년 3,000명 → ’19년 3,700명) 및 발달장애인훈련센터 설치를 대폭 확대(’18년 7개 → ’19년 13개)하여 체계적인 상담?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 진로설계컨설팅, 구직역량강화, 산업체 단기견학.체험, 일배움 프로그램 등
 
- 또한, 장애학생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위한 3개 부처의 직업교육 및 훈련 서비스 이력 통합관리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력관리시스템도 구축한다.
 
□ 3개 부처는 장애학생 일자리사업의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장애학생 취업지원 통합서비스 협약을 체결(‘18.4.25.)’하고, 상설협의체를 구성하여 시.도교육청 일자리 수요조사 후 지역사회 맞춤일자리 소개를 강화하고 있다.
 
□ 한편, 일자리사업 설명회에 이어 오후에는 대구시교육청 및 충북에너지고등학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개발원의 ’18년 장애학생 취업지원 우수사례를 공유하였으며,
 
○ 특수학교 학교기업(19교) 생산품 전시회 및 유관기관의 ’18년 개발 자료 안내 등을 통해 다양한 진로.직업교육 정보도 공유할 예정이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사업 설명회로 장애학생의 취업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을 감소시켜 실질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히며,
 
○ “앞으로도 효율이 높은 장애학생 일자리 지원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과 연계.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붙임】 1. 2019년 장애학생 맞춤형 일자리사업 설명회 개최(안)
2. 2018년 장애학생 취업지원 주요 사례
 
 
첨부 :
12-12(수)조간보도자료(장애학생 취업의 문 넓힌다, 관계부처 합동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개최).hwp
 

 
※ 원문보기
교육부 보도자료
• ‘위(Wee)닥터’(원격 화상 자문) 시스템 구축 나선다
• 장애학생 취업의 문 넓힌다.
• 우리 지역 유익한 진로체험처 180곳 인증
(2019.12.03. 19:2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