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고려가요
2019년 6월
2019년 6월 8일
제위보가(濟危寶歌)
가시리
about 고려가요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고려 가요(高麗歌謠) # 제위보가
【학습】
(2019.06.08. 19:31) 
◈ 제위보가(濟危寶歌)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한역시와 작품이 지어진 경위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한다.
목   차
[숨기기]
浣紗溪上傍垂楊 완사계상방수양
執手論心白馬郞 집수론심백마랑
縱有連恕三月雨 종유연월삼월우
指頭何忍洗餘香 지두하인세여향
 
빨래하는 시냇가에 버들은 늘어졌는데,
풍신 좋은 사나이는 손목 잡고 속삭이
네, 석 달을 잇고 이어비가 내려도
손길에 묻은 흔적 씻지 못하리.
 

 
 

1. 요점정리

• 갈래 : 고려 가요
• 작가 : 미상
• 연대 : 미상
• 주제 : 여인의 정절과 부덕(제위보에서 일하던 여인이 손을 잡혀 원망스럽고 부끄러워 불렀다는 노래)
 
 
 

2. 이해와감상

어느 여인이 죄를 지어 제위보에서 노역(勞役)하다가 남자에게 손목을 잡혀 그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이 노래를 불렀다 한다.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이제현(李齊賢)의 한역가(漢譯歌)만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내용을 알 수 없지만 추론하자면정조 관념이 강했던 여성이었으리라는 짐작을 해 볼 수 있다.
 
 

3. 심화자료

• 제위보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한역시와 작품이 지어진 경위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한다.
이에 따르면, 한 부인이 죄로 인하여 제위보(고려시대에 빈민이나 행려자들을 구호하는 일을 맡은 관청)에서 일하다가 자기 손목이 외간 남자에게 잡혔는데, 그 치욕을 씻을 길이 없음을 한스럽게 여겨 이 노래를 지어 원망하였다 한다.
이로 보아 이 작품은 여인의 정절과 부덕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그런데 이제현의 한역시는 그 반대상황, 즉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의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그것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실버들 늘어진 시냇물 위에 비단 빨래를 하다가/백마를 타고 온 도련님과 마음을 속삭이며 잡았던 손목/추녀에 퍼붓는 석달 열흘 장마비라도/어찌 차마 이 손끝의 여향을 씻을 수 있겠는가(浣紗溪上傍垂楊 執手論心白馬郎 縱有連詹三月雨 指頭何忍洗餘香)!”
이와 같이, 한역시와 노래의 해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은 ≪고려사≫를 편찬한 조선 초기 유학자들이 유가적 이념에 맞게 고의적으로 왜곡하여 해설을 달아놓았든가, 아니면 원래 해설과 일치하는 노래를 이제현이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독창적으로 번안하였든가 둘 중의 하나일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高麗史.(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고려 가요(高麗歌謠) # 제위보가
【학습】 고려가요
• 처용가(處容歌)
• 제위보가(濟危寶歌)
• 정석가(鄭石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