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등록순
|
◈ 조회순
|
|
2025.07.29 |
|
|
【--】
고려 8대 현종 때 거란의 2차 침략으로 피난 가는 현종에게 공주(公州) 절도사였던 김은부(金殷傅)는 다른 호족과 관리의 조롱이나 무시와 다르게 에를 갖춰 극진하게 모시었다. 나중에 김은부 세 딸 모두 현종의 왕후가 되었다고 이미 알아보았다. 김은부 부인은 경원 이씨 집안의 이허겸(李許謙)의 딸로 외척의 시작이었다.
|
5 | |
|
|
2021.03.15 |
|
|
【역사】
신분사회에서는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신분 상징물(의복, 모자 등)을 소지하거나 장식하였다. 조선시대 왕, 왕비, 왕족, 왕세자, 문관, 무관 등은 신분(身分)과 품계(品階)에 맞는 문양(文樣)을 의복의 가슴과 등(흉배, 胸背)에 붙였다.
|
|
|
|
2025.07.25 |
|
|
【--】
고려의 역사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세 딸 친자매가 한 임금의 왕비로 되었기에 알아봅니다. 친자매 세 딸을 왕비로 맞이한 왕은 고려 8대 현종(顯宗, 38세로 사망)입니다. 태조 왕건의 아들인 삼촌(안종 왕욱)과 손녀(대종 왕욱의 딸) 사이의 사생아로 태어나 천추태후(헌애왕후, 목종의 모친으로 김치양과 사통)의 살해 위협을 받았지만 강조의 정변(康兆의 政變)으로 8대 현종으로 즉위합니다. 2차 거란 침입 때 호족과 관리들의 위협· 조롱과 다르게 겨울 피난길에 정성껏 도움을 준 공주(公州) 절도사 김은부(金殷傅)의 세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습니다. 김은부의 딸들이 왕후(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가 되면서 외척의 파워가 시작됩니다. 그 이전은 왕족 간의 근친혼이라 외척에 대하여 근심·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
7 (+1) | |
|
|
2020.05.26 |
|
|
【여행】
세검정 삼거리의 석파랑(서예가 손재형 옛 가옥)에서 세검정로를 따라 올라가면 세검정(洗劍亭)이 나온다.
|
|
|
|
2025.07.18 |
|
|
【--】
지금은 남녀평등의 시대라 말합니다.
|
4 | |
|
|
2018.08.27 |
|
|
【--】
광복절을 맞이하여 서울 용산의 국립 중앙박물관(무료)에 다녀와 포스팅합니다. 국립 중앙박물관 전시실에 들어서면 긴 중앙홀 안쪽 끝에 우뚝 서 있는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敬天寺址) 10층 석탑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경천사 터 10층 석탑이 왜 박물관 건물 안에 있는 걸까? 탑은 원래 사찰의 법당 앞에 있어야 하는데...
|
|
|
|
2025.07.15 |
|
|
【--】
조선시대 개인 화기인 승자총통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승자총통은 기존의 우자(宇字)~측자(昃字)총통으로 이어지는 기존 소형 개인 화기들과 비교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발전하였습니다. 우선 총신이 거의 배나 길어지면서 사거리도 늘어나고 정확성도 높아지며, 격목 대신 진흙을 채우는 토격을 사용하여 탄환을 발사함에 따라 장전 시간이 빨라졌습니다. 특히 화살에 비해 소형인 탄환을 많이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되어 총통 운용의 효율성도 높아졌습니다.
|
7 (+1) | |
|
|
2014.09.25 |
|
|
【문화탐방】
2014년 9/26일~10/5일까지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과 관련하여 하회탈을 알아봅니다
|
|
|
|
2025.07.11 |
|
|
【--】
총통(銃筒)은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약 무기로, 화포(火砲)의 일종입니다.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화살이나 탄환을 발사하는 무기이며, 크기와 사용되는 화약의 양, 탄환의 종류, 사정거리 등에 따라 천(天)자총통, 지(地)자총통, 현(玄)자총통, 황(黃)자총통 등으로 나눕니다.
|
14 (+3) | |
|
|
2015.08.17 |
|
|
【문화】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열린 조선의 백자란 주제로 전승창(아모레 퍼시픽 미술관장)이 강연자료를 포스팅합니다. 백자(白瓷)하면 그냥 하얀 도자기라 생각했는데 백자는 고려 때부터 시작됐다는유래부터 청자와 백자 차이, 백자의 안료와 시대 상황 등에 따라 이렇게 다양한 줄 몰랐다.
|
|
|
|
2025.06.20 |
|
|
【문화】
요즘 날씨가 더워졌다. 마포대교 위에서 한강과 유람선, 밤섬과 북한산 그리고 여의도의 애드벌룬이 보였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한강바람을 품으면 어떨까?
|
|
|
|
2018.06.25 |
|
|
【--】
2018년 6월 26일은 탕, 탕, 탕 흉탄에 돌아가신 백범 김구 선생의 69주기입니다. 조국 독립을 위해 평생을 보낸 김구 선생을 추도하고자 사진을 모아 올립니다.
|
|
|
|
2025.05.30 |
|
|
【문화】
석탑 속의 유물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번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나온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 이어 오늘은 익산 미륵사지 서탑(석탑)의 해체 ·복원 과정에서 나온 유물에 대하여 자료를 통해 알아봅니다.
|
|
|
|
2016.06.09 |
|
|
【여행】
서울 북촌(종로구 계동)에는 인촌 김성수(仁村 金性洙,1891~1955, 65세) 선생이 살았던 고택이 있습니다. 개방을 하지 않아 안을 볼 수 없으며 오직 안내판이 있을 뿐입니다.
|
|
|
|
2025.05.27 |
|
|
【문화】
석탑을 이전, 또는 개 · 보수할 때 사리(舍利)와 사리 장엄구, 불상, 불경, 공양물, 기록물 등이 발견되는데 오늘은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유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2014.10.29 |
|
|
【--】
조선시대에 정말로 과학수사가 있었냐하면 우선 수사에 관한 한 조선이 동시대 어느 나라보다 앞선 과학수사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면 놀랄 것이다. 조선시대의 강력사건을 살펴보면 당시에 이미 과학적인 수사기법을 적용하여 사건의 전후를 판별했다는 것을 여러 면에서 알 수 있습니다.
|
32 (+1) | |
|
|
2025.04.08 |
|
|
【문화】
지난 4월 5일 식목일에 나무들이 잘 자랄 수 있게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비 내리는 휴일, 경기도 양주에 있는 기산 저수지 수변 산책로를 걸어보았다. 벚꽃은 아직 피지 않았지만 주변에 카페(찻집)들도 많고 산과 저수지가 만들어 내는 운무(雲霧)로 산책하기 좋았다.
|
|
|
|
2023.07.28 |
|
|
【문화탐방】
최근 영등포구의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서울의 작은 구(區)이며 주거 환경이 여의도를 제외하면 별로 좋은 편이 아닙니다. 영등포 지역은 경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교통 요지로 산이 없으며 샛강이 옆으로 흐르는 평평한 지역입니다. 여의도 공원이나 선유도 공원처럼 공원이 크고 많지 않으며 일제 강점기 후 방직공장, 맥주공장, 군수 공장 등의 공장지대로 발달하여 노동 운동의 한 면을 장식하였다. 또한 서울 부도심이지만 자연적으로 생긴 쪽방촌 및 집창촌이 있어 낙후된 이미지가 강해 개발 욕구는 크지만 속도는 더디다고 합니다.
|
|
|
|
2025.04.04 |
|
|
【문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에 대하여 적어봅니다. 이불상은 금동여래 입상(金銅如來立像)으로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입니다.
|
|
|
|
2024.01.19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스투파(탑)의 숲 이야기 (인도의 신비 이야기)가 열리고 있어 관람하였다. 스투파는 막연하게 부처님의 사리를 넣은 커다란 부도탑(浮屠塔, 僧塔)으로 생각하였기에 좀 더 알아보고 싶어 관련 자료를 찾아보았다.
|
|
|
|
2025.04.01 |
|
|
【문화】
사찰의 범종루(梵鐘樓)나 범종각(梵鐘閣)에 있는 법고(法鼓 : 법法 북鼓)는 북(어원은 "붚"이라 함)을 두드려 들짐승(畜生)들을 위해 불법(佛法)을 전하는 불구(佛具)로, 날짐승들을 위한 운판(雲版), 물짐승들을 위한 목어(木魚), 그리고 인간을 위한 범종(梵鐘)과 함께 불전 4물(佛殿四物) 중 하나입니다.
|
|
|
|
2014.10.06 |
|
|
【--】
●금관은 왕의 상징물일까?
|
27 | |
|
|
2025.03.14 |
|
|
【문화】
사찰에 가면 바람에 흔들리는 "댕그랑 댕그랑~"하는 풍경 소리를 듣고 사찰다움을 느낀다.
|
|
|
|
2015.09.18 |
|
|
【여행】
인왕산(仁王山) 호랑이란 말을 들어 보셨지요? 조선시대 호랑이가 궁궐로 내려와 잡았다고 할만큼 인왕산의 산수가 좋았다는 것이지요. 먼저 겸재정선의 그림을 보고 그곳이 어딘지 찾는다.
|
|
|
|
2025.03.11 |
|
|
【문화】
얼른 보면 비슷한 한국의 종이지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대산 상원사 동종을 보면서 수많은 범종들이 만들어져 남아 있거나 사라졌는데 그중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범종을 찾아 정리합니다.
|
|
|
|
2025.03.14 |
|
|
【문화】
사찰에 가면 바람에 흔들리는 "댕그랑 댕그랑~"하는 풍경 소리를 듣고 사찰다움을 느낀다.
|
|
|
|
2025.03.07 |
|
【문화】
오늘은 한국의 범종(梵鐘)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종은 1,300년 된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이고, 많이 알려지고 가장 크며 모양과 종소리가 빼어난 한국 최고(最高)의 종은 경주 박물관에 있는 봉덕사(奉德寺) 성덕대왕 신종(일명 에밀레 종)인데 비교해 봅니다.
|
|
|
|
2022.07.04 |
|
|
【문화탐방】
맛있는 복숭아는 중국이 원산지로 복숭아나무(복사나무)는 악귀(惡鬼)와 질병을 쫓을 뿐만 아니라 열매는 신선이 먹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선과(仙果)라 하여 고대 중국에서 주술 나무로 신성시했습니다. 신선들이 산다는 무릉 도원(武陵桃源)과 삼국지속 3형제가 맺은 곳도 복숭아 꽃이 만발한 곳에서 도원결의(桃園結義)를 했고, 여도담군(餘桃啗君) 등 많은 고사 성어들이 많은 과일입니다.
|
|
|
|
2025.03.04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의 범음구(梵音具,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리는 도구) 강좌를 듣고 천안(天安)에 있었던 성거산(聖居山) 천흥사(天興寺) 범종(梵鐘, 이하 종이라 칭함)을 보았다. 종(鐘) 하면 가장 길고 높고 낮은 울림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특유의 맥놀이 현상이 있는 경주 박물관의 통일 신라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이 먼저 떠올랐다. 현존하는 통일신라 종과 불교의 고려시대와 숭유 억불의 조선으로 넘어가면서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종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고 싶어 자료를 찾아 정리해보았다.
|
6 (+2) | |
|
|
2020.08.24 |
|
|
【여행】
휴일 서울 중랑구 용마 폭포 공원에 가보니 코로나 사태로 폭포는 가동 중단이다. 채석장을 공원으로 바꾼 용마폭포 공원을 한 바퀴 돌아보고 중랑 둘레길을 통해 몇 번 갔던 용마산 용마봉에 오르니 코로나19에 밀접, 밀폐, 밀집된 곳을 피해 건강을 유지하고저 산에 오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
|
|
|
2025.02.25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비격진천뢰" 강좌를 듣고 자료를 정리해 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놀라서 조선군이 혼비백산했다고 배웠다. 조선은 한양이 함락되는 등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히 개발한 각종 화약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반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
|
|
|
2019.08.08 |
|
|
【--】
8월 15일은 일제 강점에서 해방된 광복절이다. 요즘 일본과 경제 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국기(國旗)인 태극기에 알아보고 사진을 모아봅니다. 지금의 태극기는 최초의 태극기와 다르게 보이지만 크게 변한 것은 없다. 단지 괘의 순서, 색깔과 태극의 문양이 변했을 뿐이다.
|
|
|
|
2025.02.11 |
|
|
【문화】
뱀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1. 은혜 갚은 뱀 / 어떤 사람이 강가에 있다가 홍수로 떠내려오는 노루 · 뱀 등의 짐승과 함께 사람을 건져 주었다. 짐승들은 땅에 내리자 그에게 감사를 표시하고는 모두 자기의 길로 갔지만 사람만은 갈 곳이 없었으므로 자기 곁에 살게 하고 돌보아 주었다.
|
|
|
|
2014.10.03 |
|
|
【문화】
구한말 고종이 커피를 마시던 장소로 알려진 덕수궁 정관헌입니다.
|
|
|
|
2025.02.07 |
|
|
【문화】
뱀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아 계속 적어봅니다.
1. 김수로왕 묘 /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신라 통일 후 문무왕 때 전(前) 가야국 김수로왕(金首露王)의 묘에 금과 옥이 많이 있다는 소문이 돌아 도굴꾼이 많았는데 이때 30척(약 10m)이나 되는 커다란 뱀이 눈을 번뜩이며 사당 옆에서 나와 도적 8~9명을 물어 죽였다. -삼국유사-
|
|
|
|
2023.09.04 |
|
|
【문화】
매년 9월이면 정기 국회가 열린다. 민의(民意)에 전당(殿堂)인 국회는 법률을 개정 및 제정하고, 정부에 대한 국정 감사 · 조사를 진행하며 다음 해 예산을 심의한다. 여의도 국회에 들어가기 참 어려운 때가 있었지만, 지금은 누구나 신분증 검사 없이, 어디 무슨일로 들어가냐고 물어보지도 않는다. 참으로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강산만이 아니라 세상도 많이 바뀌었다.
|
|
|
|
2025.01.17 |
|
|
【문화】
오늘은 뱀과 관련한 풍습(속설)과 해몽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19.11.13 |
|
|
【여행】
올 11월 17일은 을사늑약(乙巳勒約, 1905년 대한 제국과 일본 사이에 강제로 맺은 무효 조약으로 학창시절 을사보호조약이라 배움)이 체결된 지 114년 되는 날로 이날을 잊지말자고제정한 순국선열의 날이기도 하다.
|
|
|
|
2025.01.10 |
|
|
【문화】
2025년 뱀의 해에 뱀과 관련된 고사 성어에 대하여 알아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많고 모른 것은 배웁니다.
|
|
|
|
2019.07.08 |
|
|
【여행】
구름이 낀 휴일 근처의 서울 강서구 봉제산 둘레길을 걸었다. 나지막한 산인 봉제산(鳳啼山,117m)은 등촌동과 화곡동에 걸쳐 있다. 따라서 봉제산 둘레길(총 7km)은 여러 곳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중간에 노점과 배드민턴장, 쉼터, 체력 단련장 등으로 인근 주민들의 장소다..
|
|
|
|
2025.01.07 |
|
|
【문화】
2025년 을사년을 맞이하여 뱀 이름이 들어간 지명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2024.11.15 |
|
|
【--】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측정을 시험으로 분별하여 그 실력을 판가름하는데, 수능 시험일은 출근시간을 늦추고 듣기 평가 시간에 학교 근처에서는 차량을 통제하고 비행기도 뜨지 못하게 할 정도로 온 국민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전에는 어떻게 시험을 보았을까? 현재의 국가고시에 해당하는 고려 시대에 이어 조선시대의 과거제도를 살펴봅니다.
|
|
|
|
2024.12.31 |
|
|
【문화】
2025년은 뱀의 해 을사년(乙巳年)
|
|
|
|
2021.11.22 |
|
|
【역사】
경복궁 향원정과 건청궁을 둘러보고 나오다 고궁박물관 옆에 있는 복제된 북관대첩비(유명 조선국 함경도 임진 의병 대첩비. 有明 朝鮮國 咸鏡道 壬辰義兵大捷碑)를 보았고 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
|
|
2024.12.06 |
|
|
【문화】
조선시대 관리로 임명(신래 新來)되면 신참례, 허참례, 그리고 면신례의 과정을 거친다. 옛 그림인 선전관 계회도(宣傳官契會圖)를 찾아 알아본다. 실제 신참례 행위를 사실대로 그리지 못한 것은 여러 사람이 같은 그림을 소장하므로 후손들에게 선조의 못된 행적을 알려주는 기록화로 남기때문이었다.
|
|
|
|
2018.08.30 |
|
|
【--】
경기 북부지역과 서울 북부에 집중호우가 쏟아져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해 안타깝다.
|
|
|
|
2024.11.29 |
|
|
【문화】
과거시험장에서 부정행위 수법에 대해 이미 알아보았고, 오늘은 단원 김홍도가 그린 6인조 과거시험 비리단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15.08.24 |
|
|
【--】
조선의 3대 화가중 정조임금이 가장 총애한 화가는 단원 김홍도(金弘道,1745~ ?)입니다. 시민의 삶에 대한 그림뿐만 아니라 1795년 정조의 수원화성 행차를 그린 8폭 화성능행도(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에 행차한 모습을 그린 병풍그림)는 매우 사실적이며 꼼꼼하지요.그래서 화성능행도는 당대 촤고의 궁중화가인 김홍도(1745~ ?)가 주도하여 그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여 김홍도 풍속화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24.11.26 |
|
|
【문화】
조선시대 관리들의 등용문(登龍門)인 과거시험에는 상상 이상으로 부정과 비리가 많았는데, 특히 왕과 권력층에 의한 특혜와 권력형 부정행위가 만연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과거의 폐단이 날로 갈수록 심해져 까막눈이어도 뒤를 봐줄 사람이 있다면 장원(壯元)을 차지하는 일이 심해졌으며, 특히 세도정치 때는 과거제도의 폐해가 더 심해졌다.
|
|
|
|
2024.11.26 |
|
|
【문화】
조선시대 관리들의 등용문(登龍門)인 과거시험에는 상상 이상으로 부정과 비리가 많았는데, 특히 왕과 권력층에 의한 특혜와 권력형 부정행위가 만연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과거의 폐단이 날로 갈수록 심해져 까막눈이어도 뒤를 봐줄 사람이 있다면 장원(壯元)을 차지하는 일이 심해졌으며, 특히 세도정치 때는 과거제도의 폐해가 더 심해졌다.
|
|
|
|
2024.11.22 |
|
|
【문화】
오늘은 과거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
|
|
|
2022.01.07 |
|
|
【문화】
2022년은 검은 호랑이해 임인년(壬寅年)입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이미 포스팅한 호랑이 그림에서 강한 기운을 받으시고, 오늘은 두려움과 숭배의 대상이자 영물(靈物)인 호랑이에 관련된 설화와 속담입니다. 호랑이는 효를 실천하거나 은혜를 갚는 동물, 인간과 사랑 이야기, 양반을 꾸짖기도 하며 때로는 어리석은 행동으로 곤경에 처하기도 하는 동물입니다. 호랑이 설화에서 삶의 지혜를 배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
|
|
2024.11.15 |
|
|
【--】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측정을 시험으로 분별하여 그 실력을 판가름하는데, 수능 시험일은 출근시간을 늦추고 듣기 평가 시간에 학교 근처에서는 차량을 통제하고 비행기도 뜨지 못하게 할 정도로 온 국민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전에는 어떻게 시험을 보았을까? 현재의 국가고시에 해당하는 고려 시대에 이어 조선시대의 과거제도를 살펴봅니다.
|
|
|
|
2016.05.26 |
|
|
【--】
볼일이 있어 종로구 삼청동에 갔다가 한국 금융연수원내 중국식 벽돌로 만든 건물이 보여 알아보니 조선 말의 건물인 번사창(飜沙廠)이란다. 번사창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5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먼저 번사(飜沙)란 뜻은 흙으로 만든 거푸집에 쇳물을 부어 주조(鑄造)하는 것을 의미하고 창(廠)은 공장을 말합니다. 이 건물은 1884년(고종 21)에 신축된 기기국(機器局)의 무기 제조창으로, 승정원 일기(왕의 비서실 일기)에 "기기창(機器廠), 번사창(飜沙廠), 나무를 다루던 목양창(木樣廠), 용광로를 두었던 숙철창(熟鐵廠) 등의 역사가 지금 이미 준공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
|
|
2024.11.08 |
|
|
【문화】
오늘은 대성전 구역에 이어 조선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명륜당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16.05.02 |
|
|
【문화탐방】
종묘대제때 종묘제례악을 보고 들으면서 어떤 국악기가 사용되는지 궁금해 정리해 보았다. 이름과 실물이 매치가 안되는 악기도 있었다. 10시의 영녕전과 14시의 정전에서 종묘대제 행사가 각각 진행되었디. 보태평과 정대업의 연주와 음악에 맞춰 일무가 어우러졌고 가을의 사직대제보다 훨신 웅장하고 장엄하엿으며 수많은 내국인과 외국인이 한국의 전통문화을 관람하였다.
|
|
|
|
2024.11.05 |
|
|
【문화】
오늘 조선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성균관(성균은 널리 인재를 고루 양성한다는 뜻)을 알아보기 전에 삼국시대부터 교육기관에 대하여 먼저 알아봅니다.
|
|
|
|
2016.02.20 |
|
|
【--】
저포놀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저포놀이는 한마다로 복잡한 윷놀이라 생각하면 된다. 백제시대때부터 유행한 놀이로 조선시대에는 왕조실록과 소설에 나올 정도로 인기였다. 놀이판(말판)에는 사각형 324개의 칸이 그려져 있다. 놀이판의 규정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른데 현대는 오방색(황,청,백,적,흑)판이 보급되고 있다. 5개의 윷가락과 6개의 말을 가지고 하는 놀이로 6개의 말을 모두 빼내는 편이 이긴다.
|
|
|
|
2024.11.01 |
|
|
【문화】
조선 시대 교육기관 중 서당(書堂), 학당(學堂), 향교(鄕校)에 이어 서원(書院)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2014.10.07 |
|
|
【--】
●고백告白으로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광고
|
20 (+1) | |
|
|
2024.10.28 |
|
|
【문화】
오늘은 지난번 서당에 이어 4부 학당과 향교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사부 학당(4部學堂) - 나라에서 서울의 동쪽·서쪽·남쪽·중앙에 설치한 학교로, 현재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향교(鄕校) - 지방의 관립 교육 기관이다.
|
|
|
|
2025.04.04 |
|
|
【문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에 대하여 적어봅니다. 이불상은 금동여래 입상(金銅如來立像)으로 서울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입니다.
|
|
|
|
2024.10.25 |
|
|
【문화】
현대의 우리 사회는 배움의 열정이 가득 차 있다. 공교육과 학원 등의 사교육을 통해서도 엄청나게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
|
|
|
2024.10.28 |
|
|
【문화】
오늘은 지난번 서당에 이어 4부 학당과 향교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사부 학당(4部學堂) - 나라에서 서울의 동쪽·서쪽·남쪽·중앙에 설치한 학교로, 현재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향교(鄕校) - 지방의 관립 교육 기관이다.
|
|
|
|
2024.10.22 |
|
|
【문화】
마무리하며
한양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관청과 그 위치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조선 초기와 달리 대한 제국까지 오면서 조직이 통·폐합과 신설 및 명칭이 달라지는 것은 지금과 마찬가지다. 시대의 흐름과 업무의 필요성 및 효율성을 위해 변하는 것이다.
|
|
|
|
2022.09.18 |
|
|
【여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대한 제국의 황제릉인 홍·유릉과 주변의 묘에 다녀와 적습니다.
|
|
|
|
2024.10.18 |
|
|
【문화】
조선 한성의 관청 위치를 계속 알아봅니다.
61.훈련원 / 62. 양화진 / 63. 장악원 / 64. 양향청 / 65. 하도감 / 66.선혜청 / 67. 태평관 / 68.한양 5부(서부) / 69. 동활인서 / 광흥창
|
|
|
|
2021.12.06 |
|
|
【여행】
11월의 마지막 휴일에 몇 번 다녀온 안양의 삼성산(三聖山) 삼막사(三幕寺)에 또 다녀왔습니다. 갔었던 등산로를 이용하지 않고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 걸어 삼막사에 가보았습니다. 허가된 차량만 다니는 도로라 자전거 라이딩하시는 분들이 보입니다. 자전거로 힘들게 올라가시는 분들과 씽씽 신나게 내려가시는 분들이 보여 걸을 때 주의가 필요했지요. 그렇지만 도로 옆에 좋은 글귀와 위치를 표시한 안내판이 중간중간에 있어 좋았습니다.
|
|
|
|
2024.10.15 |
|
|
【문화】
해당 관청에 대해 알아봅니다.
51.준천사 / 52.중부 / 53.고마청 / 54.선공감 / 55.서학 / 56.군기시 / 57.도화서 / 58. 혜민서 / 59.남부 / 60. 염초청
|
|
|
|
2020.07.07 |
|
|
【여행】
경정릉에서 북악 하늘 전망대를 거치고 북악팔각정을 지나 백사실 계곡의 추사 김정희 별서(별장) 터에 대하여 이미 포스팅하였다. 백사실 계곡의 오솔길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는 길은 걷기 편한 흙길이다.
|
|
|
|
2024.10.11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의 관청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41. 훈영 / 42. 비변사 / 43. 의금부 / 44. 평시서 / 45. 좌포청
46. 어영청 / 47. 동부 / 48. 동학(동부 학당) / 49. 우포청 / 50. 전옥서
|
|
|
|
2016.03.18 |
|
|
【문화탐방】
조선신궁이라고 들어 보았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않아서 매우 궁금하였다. 조선 땅에 일본 신들이 사는 궁이라는 뜻이 아닌가? 한양도성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하려고 남산 구간을 복원하려고 몇 년전 남산 분수대 밑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일제 강점기에 조선신궁 건물이 한양 도성 성곽을 헐고 덮고 지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늘은 조선신궁에 대하여 사진과 함께 알아보고 앞으로 더 남산답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
|
|
|
2024.10.08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부 내의 관청 위치를 계속 알아봅니다.
|
|
|
|
2020.11.30 |
|
|
【여행】
2019년 한국에는 968개의 전통 사찰(절, 가람, 승원)이 등록되어 있으며 총 사찰 수는 17,100 개로 추정합니다. 유명한 사찰들은 전망이 좋은 산자락이나 풍광 좋은 곳에 위치해 아름답습니다.
|
|
|
|
2024.10.04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보고 있습니다.
|
|
|
|
2015.01.09 |
|
|
【문화】
한국 고전 문학과 미술사에서 혜원 신윤복과 단원 김홍도를 빼놓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마침 "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에서 신윤복의 풍속화가 인간의 정情과 욕慾을 잘 표현한 그림이라 말하여 관련자료를 찾아 보았습니다. 혜원 신윤복(1758~?)의 풍속화를 묶은 화첩, 즉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에 있는 그림들로 모두 30점이 수록돼 있으며 현재 서울 성북구 간송 미술관에 보관돼 있고 국보 제 135호입니다.
|
|
|
|
2024.10.01 |
|
|
【문화】
조선시대 한성부(서울)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
|
|
|
2019.10.18 |
|
|
【여행】
자유로 타고 한강변을 따라 달리다 보면 일산을 지나 파주에 다다르면 오두산 통일 전망대가 좌측에 눈에 들어온다. 오두산 바로 못 미쳐 우측에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 한눈에 들어오는 곳에 천년고찰 검단사(黔丹寺)가 있다. 사찰 뒷산(18세기 지도에 검단산이라 표시되어 검단산이라 칭함)에서의 전망은 엄청 좋으며 능선을 따라 걸어봤습니다.
|
|
|
|
2024.09.27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 관청의 위치를 찾아봅니다.
|
|
|
|
2019.01.31 |
|
|
【여행】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식물원과 공원을 결합한 "서울 식물원(Seoul Botanic Park, botanicpark.seoul.go.kr)"이 임시 개장했다. 5월에 정식 개장하는 서울 보타닉 파크는 주제원, 호수원, 열린숲, 습지원의 4개 영역, 약 50만㎡ 면적(여의도 공원의 2.2배)으로 식물도 배우고 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을 주고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만든 곳이다.
|
|
|
|
2024.09.24 |
|
|
【관광】
추석 연휴에 둘러 본 제주입니다.
|
|
|
|
2024.05.14 |
|
|
【문화】
서울 용산 한남동에 있는 리움 미술관의 고미술관(M1)에서 전시품에 대해 알아보는 2회째입니다.
|
16 | |
|
|
2024.09.12 |
|
|
【문화】
올해 여름은 다른 해에 비하여 참 길고 무더웠다. 그렇지만 여름은 가을에게 자리를 내주고 어김없이 추석 연휴가 왔다. 그 추석에 대하여 몇 자 적어본다.
|
1 | |
|
|
2016.01.25 |
|
|
【--】
광화문 사거리의 교보빌딩 쪽으로 정자같이 생긴 누각이 있다. 대부분 이곳을 지나지만 무슨 건물인지 잘 모른다. 이곳은 통상 "광화문 비각"이라 하지만 조선 고종 즉위 40년(1902년)을 맞이하여 칭경 기념비(稱慶紀念碑)가 있는 곳이다. 오늘은 고종 즉위 40년 칭경 기념비와 비를 보호하는 기념비전(
|
|
|
|
2024.08.16 |
|
|
【문화】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9월 22일(일)까지 전시하는 한・일・중 국립 박물관 공동 특별전 "三國三色-동아시아의 칠기(46점)" 전시회에 다녀왔다. 사실 칠기에 대하여 아는 것이 별로 없어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몇 자 적는다.
|
|
|
|
2025.01.17 |
|
|
【문화】
오늘은 뱀과 관련한 풍습(속설)과 해몽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
|
|
2024.08.13 |
|
|
【문화】
2024년 여름은 유난히 무덥고 길다. 말복(올해 8월 14일)이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는 처서(8월 22일)가 온다. 그런데 그 사이에 음력 7월 보름인 백중(8월 18일)이 있다. 절에 가는 날로 알고 있던 백중날이 머슴날이었다.
|
|
|
|
2024.03.12 |
|
|
【문화】
한국 사찰 등에서 볼 수 있는 탑(塔)은 인도의 스투파(Stupa)에서 나온 것으로 탑에 대해 알아봅니다.
|
|
|
|
2024.08.09 |
|
|
【문화】
음력 칠월 칠석을 알아가는 과정에 해마다 칠석날 성균관에서 특별 시험인 칠석제(七夕製)가 시행했다는 조선왕조실록이 눈길을 끌었다. 무더운 여름철에 특별시험을 치른다니 얼른 이해되지 않았다. 물론 쉬지 말고 꾸준하게 공부하라는 의도에서 그렇게 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
|
|
|
2022.07.11 |
|
|
【문화탐방】
우리나라에서 복숭아 재배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불명확하지만, 충남 안면도에서 출토된 복숭아 핵은 청동기 시대로 추정하므로 오래전에 재배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
|
|
|
2024.08.07 |
|
|
【문화】
음력 7월 7일을 칠석(七夕)이라 부른다. 2024년 칠석날은 8월 10일이다. 칠석은 은하수(銀河水) 위로 까막까치가 오작교(烏鵲橋)를 놓아 1년에 한번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로 알고 있다. 그래서 그날 비가 내리면(칠석우,七夕雨) 1년 만에 만나 반가워 흘린 눈물이고, 다음 날 새벽에 비가 오면 만나지 마자 헤어지므로 이별의 눈물이라고 한다.
|
|
|
|
2018.09.20 |
|
|
【여행】
|
|
|
|
2024.07.30 |
|
|
【문화】
복(伏) 자는 사람인(人) 자와 개 견(犬) 자가 합쳐진 것으로 너무 더워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
|
|
|
2024.07.15 |
|
【--】
집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가 가장 좋다고 하는데 서울 25개 구청별 맨발 걷기 장소를 알아봅니다.
|
15 (+1) | |
|
|
2024.07.15 |
|
【--】
집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가 가장 좋다고 하는데 서울 25개 구청별 맨발 걷기 장소를 알아봅니다.
|
15 (+1) | |
|
|
2023.11.12 |
|
|
【문화】
2014년 옛 모습으로 복원해 가보려던 덕수궁 석조전(石造殿) 관람을 운 좋게 도서관에서 단체 예약하여 다녀왔다. 아시다시피 석조전은 "대한 제국 역사관"으로 복원하여 관람객을 대상으로 해설사 설명을 들으며 따라 움직이는데 대략 45분 정도 소요되네요. 덕수궁 입장권(1000원/대인)을 사면 석조전은 무료입장이지만 오직 사전 예약하신 분만 입장·관람할 수 있습니다.
|
|
|
|
2024.06.28 |
|
【--】
가족과 여행 갈 때나 업무차 출장 갈 때 비행기를 타고 가는데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 중 어떤 항공사가 보다 안전하고 정시에 출·도착을 잘하는지 3년(2021~2023) 동안 평가한 자료가 있어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한다.
|
4 | |
|
|
2022.10.10 |
|
|
【여행】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고 많이 숭배하는 神,
|
|
|
|
2024.06.28 |
|
|
【문화】
가족과 여행 갈 때나 업무차 출장 갈 때 비행기를 타고 가는데 우리나라 국적 항공사 중 어떤 항공사가 보다 안전하고 정시에 출·도착을 잘하는지 3년(2021~2023) 동안 평가한 자료가 있어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한다.
|
(0) | |
|
|
2022.01.12 |
|
|
【문화】
호랑이해를 맞이해 한국을 상징하는 동물인 호랑이와 관련된 우리나라 지명이 389곳이 된답니다. 그중에 제일 잘 알려진 곳은 포항 호미곶이며 그 외에 많은 이름에 호랑이 관련 명칭이 붙어 있지만 오늘은 일부를 소개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