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論語栗谷先生諺解(논어율곡선생언해) 八佾篇(팔일편) ◈
카탈로그   본문  
1749년
이이(李珥)
1
論語栗谷先生諺解 卷之一
 
 

1. 八佾 第三

3
孔子ᅵ 謂季氏샤
4
孔子ᅵ 季氏 니샤
5
八佾舞於庭니
6
八佾로 庭의 舞니
7
是可忍也ᅵ온 孰不可忍也ᅵ리오
8
이 可히 忍콘 므서슬 可히 忍티 몯리오
 
9
○ 三家者ᅵ 以雍徹이어
10
三家ᅵ 雍으로  徹거
11
子曰 相維辟公이어든
12
子ᅵ 샤 相니 辟公이어든
13
天子穆穆을 奚取於三家之堂고
14
天子ᅵ 穆穆시다 호 엇디 三家의 堂애 取고
 
15
○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何ᅵ며
16
子ᅵ 샤 人이오 仁티 아니면 禮예 엇디며
17
人而不仁이면 如樂何ᅵ리오
18
人이오 仁티 아니면 樂애 엇디리오
 
19
○ 林放이 問禮之本대
20
林放이 禮의 本을 問대
21
子曰 大哉라 問이여
22
子ᅵ 샤 크다 問호미여
23
禮ᅵ 與其奢也론 寧儉이오
24
禮ᅵ 다 그 奢호론 히 儉디오 ('儉디오'의 ‘오’는 영인본상 ‘으’로 나타나 보사함)
25
喪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26
喪이 다 그 易호론 히 戚디니라
 
27
○ 子曰 夷狄之有君이 不如諸夏之亡也ᅵ니라
28
子ᅵ 샤 夷狄의 님금 이쇼미 諸夏의 업기 디 아니니라
 
29
○ 季氏ᅵ 旅於泰山이어
30
季氏ᅵ 泰山의 旅거
31
子謂冉有曰
32
子ᅵ 冉有려 닐러 샤
33
女不能救與아
34
네 能히 救티 몯리러냐
35
對曰 不能호이다
36
對야 오 能티 몯호이다
37
子曰 嗚呼ᅵ라
38
子ᅵ 샤 嗚呼ᅵ라
39
曾謂泰山이 不如林放乎아
40
일즉 泰山이 林放만 디 몯다 냐
 
41
○ 子曰 君子ᅵ 無所爭이나 必也射乎뎌
42
子ᅵ 샤 君子ᅵ 爭 배 업스나 반시 射뎌
43
揖讓而升야 下而飮니
44
揖讓코 升야 下호매 飮니
45
其爭也ᅵ 君子ᅵ니라
46
그 爭호미 君子ᅵ니라
 
47
○ 子夏ᅵ 問曰
48
子夏ᅵ 問야 오
49
巧笑倩兮며 美目盼兮여
50
巧 笑ᅵ 倩며 美 目이 盼호미여
51
素以爲絢兮라 니 何謂也ᅵ잇고
52
素로  絢다 니 엇디 닐오미니잇고
53
子曰 繪事ᅵ 後素ᅵ니라
54
子ᅵ 샤 繪 일이 素애 後니라
55
曰 禮ᅵ 後乎ᅵ잇가
56
오 禮ᅵ 後ᅵ잇가
57
子曰 起予者 商也ᅵ라
58
子ᅵ 샤 나 起 者 商이라
59
始可與言詩已矣로다
60
비로소 可히 더브러 詩 니리로다
 
61
○ 子曰 夏禮 吾能言之나
62
子ᅵ 샤 夏ᄉ 禮 내 能히 니나
63
杞不足徵也ᅵ며
64
杞 足히 徵티 몯며
65
殷禮 吾能言之나
66
殷ᄉ 禮 내 能히 니나
67
宋不足徵也 文獻不足故也ᅵ니
68
宋을 足히 徵티 몯호 文獻이 足디 몯 故ᅵ니
69
足則吾能徵之矣로리라
70
足면 내 能히 徵호리라
 
71
○ 子曰 禘自旣灌而往者론 吾不欲觀之矣로라
72
子ᅵ 샤 禘ᅵ 이믜 灌홈브터 往호론 내 보고져 디 아닛노라
 
73
○ 或이 問禘之說대
74
或이 禘의 說을 問대
75
子曰 不知也ᅵ로다
76
子ᅵ 샤 아디 몯리로다
77
知其說者之於天下也애 其如示諸斯乎뎌 며
78
說을 아 者ᅵ 天下애 그 이 보기 뎌 시며
79
指其掌시다
80
그 掌을 指시다
 
81
○ 祭如在시며
82
祭실 제 在신 시며
83
祭神如神在러시다
84
神을 祭실 제 神이 在 더시다
85
子曰 吾不與祭면 如不祭니라
86
子ᅵ 샤 내 祭예 참예티 몯면 祭 아니홈 니라
 
87
○ 王孫賈ᅵ 問曰
88
王孫賈ᅵ 問야 오
89
與其媚於奧론 寧媚於竈ᅵ라 니
90
다 그 奧애 媚호론 히 竈애 媚 거시라 니
91
何謂也ᅵ잇고
92
엇디 닐오미니잇고
93
子曰 不然니
94
子ᅵ 샤 그러티 아니니
95
獲罪於天이면 無所禱也ᅵ니라
96
天의 罪 獲면 禱 배 업스니라
 
97
○ 子曰 周監於二代니
98
子ᅵ 샤 周ᅵ 二代예 監니
99
郁郁乎文哉라
100
郁郁 文인디라
101
吾從周호리라
102
내 周 從호리라
 
103
○ 子ᅵ 入大廟샤 每事問신대
104
子ᅵ 大廟의 드르샤 每事 問신대
105
或曰 孰謂鄹人之子知禮乎오
106
或이 오 뉘 鄹人의 子 닐오 禮 안다 뇨
107
入大廟每事問이온여
108
大廟의 드러 每事 뭇고녀
109
子ᅵ 聞之曰 是ᅵ 禮也ᅵ니라
110
子ᅵ 듯고 샤 이 禮니라
 
111
○ 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ᅵ니
112
子ᅵ 샤 射ᅵ 皮 主티 아니호 힘이 科ᅵ 同티 아니호 爲호미니
113
古之道也ᅵ니라
114
녯 道ᅵ니라
 
115
○ 子貢이 欲去告朔之餼羊이어
116
子貢이 告朔 餼羊을 去코져 거
117
子曰 賜也아 爾愛其羊가
118
子ᅵ 샤 賜아 너 그 羊을 앗기다
119
我愛其禮노라
120
나 그 禮 앗기노라
 
121
○ 子曰 事君盡禮 人以爲諂也ᅵ라 다
122
子ᅵ 샤 君을 事호매 禮 盡호 人이  諂이라 다
 
123
○ 定公이 問
124
定公이 問샤
125
君使臣며 臣使君호 如之何ᅵ리잇고
126
君이 臣을 使며 臣이 君을 事호 엇디리잇고
127
孔子ᅵ 對曰
128
孔子ᅵ 對야 샤
129
君使臣以禮오
130
君이 臣을 使호 禮로  고
131
臣事君以忠이니이다
132
臣이 君을 事호 忠으로  디니이다
 
133
○ 子曰 關雎 樂而不淫며 哀而不傷이니라
134
子ᅵ 샤 關雎 樂고 淫티 아니며 哀코 傷티 아니니라
 
135
○ 哀公이 問社於宰我신대
136
哀公이 宰我려 社 問신대
137
宰我ᅵ 對曰
138
宰我ᅵ 對야 오
139
夏后氏 以松고
140
夏后氏 松으로  고
141
殷人은 以栢고
142
殷人은 栢으로  고
143
周人은 以栗니
144
周人은 栗로  니
145
曰使民戰栗이니이다
146
온 民으로 여곰 戰栗케 호미니이다
147
子ᅵ 聞之曰
148
子ᅵ 듯고 샤
149
成事不說며 遂事不諫이니
150
成事 說티 몯며 遂事 諫티 몯니
151
旣往不咎ᅵ로다
152
이믜 往디라 咎티 몯리로다
 
153
○ 子曰 管仲之器ᅵ 小哉뎌
154
子ᅵ 샤 管仲의 그르시 져근뎌
155
或曰 管仲이 儉乎ᅵ잇가
156
或이 오 管仲이 儉더니잇가
157
曰 管氏有三歸며 官事不攝니
158
샤 管氏ᅵ 三歸 두며 官事 攝디 아니니
159
焉得儉이리오
160
엇디 시러곰 儉리오
161
然則管仲이 知禮乎잇가
162
그러면 管仲이 禮 아더니잇가
163
曰 邦君이아 樹塞門이어
164
샤 邦君이아 樹로 門을 塞거
165
管氏ᅵ 亦樹塞門며
166
管氏ᅵ  樹로 門을 塞며
167
邦君이아 爲兩君之好애 有反坫이어
168
邦君이아 兩君의 好  제 反坫을 둣거
169
管氏亦有反坫니
170
管氏ᅵ  反坫을 두니
171
管氏而知禮면 孰不知禮리오
172
管氏ᅵ 禮 알면 뉘 禮 아디 못리오
 
173
○ 子ᅵ 語魯大師樂曰
174
子ᅵ 魯 大師려 樂을 닐러 샤
175
樂은 其可知也ᅵ니
176
樂은 그 可히 알디니
177
始作애 翕如也야 從之예
178
처음 作 제 翕야 從호매
179
純如也며 皦如也며 繹如也야 以成이니라
180
純며 皦며 繹야  成니라
 
181
○ 儀封人이 請見曰
182
儀封人이 뵈와지라 請야 오
183
君子之至於斯也애 吾未嘗不得見也ᅵ라 야
184
君子ᅵ 이에 至호매 내 일즉 어더 보디 아니티 아녓노라 야
185
從者ᅵ 見之대
186
從者ᅵ 뵈게 대
187
出曰 二三子 何患於喪乎ᅵ리오
188
나와 오 二三子 엇디 喪의 患리오
189
天下之無道也ᅵ 久矣라
190
天下의 道 업선디 오란디라
191
天將以夫子爲木鐸이시리라
192
天이 쟝 夫子로  木鐸을 삼으시리라
 
193
○ 子ᅵ 謂韶샤
194
子ᅵ 韶 니샤
195
盡美矣며 又盡善也ᅵ라 시고
196
美 盡며  善을 盡타 시고
197
謂武샤
198
武 니샤
199
盡美矣오 未盡善也ᅵ라 시다
200
美 盡고 善을 盡티 몯다 시다
 
201
○ 子曰 居上不寬며
202
子ᅵ 샤 上의 居야 寬티 아니며
203
爲禮不敬며
204
禮 호 敬티 아니며
205
臨喪不哀면
206
喪을 臨야 哀티 아니면
207
吾何以觀之哉리오
208
내 무서스로  보리오
【원문】論語栗谷先生諺解(논어율곡선생언해) 八佾篇(팔일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한국고전〕
▪ 분류 : 인문/사회과학
▪ 최근 3개월 조회수 : 10
- 전체 순위 : 4451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39 위 / 68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팔일편 [제목]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인문/사회과학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 論語栗谷先生諺解(논어율곡선생언해) 八佾篇(팔일편)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4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