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월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
2·8 독립 선언 - 도쿄유학생 600여명,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독립선언문" 발표. ()
27일, 길림 지역 독립운동가들을 규합하여
대한독립의군부(大韓獨立義軍府)결성하였다. 28일에 「
대한 독립 선언서」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
창조》 발간. (~ 1921.5 통권 제9호)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 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4월
10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구성, 개회
의장 이동녕(李東寧), 부의장 손정도(孫貞道)를 선출하고, 국호를 대한민국이라는 정하였다.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조 발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3·1 운동 때 일본 군대가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주민을 집단 학살한 사건.
8월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 선임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
8월 29일.
대한 적십자회(중국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발족
9월
9월 2일.
사이토 저격 의거 -
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가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동양
3월 19일, 인도에서 '롤라트법(法)' 가결되고 4월 6일 간디의 불복종운동 시작.
13일, 5천여 명의 사상자를 낸 아므리차르 대학살사건 발생.
아프가니스탄에서 아마술라한 즉위, 독립운동 전개, 8월, 제3차 아프간전쟁 종결, 아프가니스탄이 독립.
12월 인도통치법 성립.
중국 베이징에서 학생들의 배일(排日)데모인 '5·4운동'일어남.
상하이 노동자·상인들 파업사태 벌어지고 전국으로 파급.
세계
1월 5일, 독일노동자당 결성. 이듬해부터 나치(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로 일컬음.
1월 18일, 베르사유강화회의 시작됨.
1월 19일, 독일국민의회 총선거에서 바이마르 연합(사회민주당·중앙당·민주당)이 승리.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결성.
6월 26일,
파리강화회의에서
베르사유조약 조인.
7월 31일, 독일국민의회가
바이마르 헌법을 채택.
9월, 미국에서 철강노조 대파업 시작(~20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