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대수양(大首陽) ◈
◇ 33 (三十三) ◇
카탈로그   목차 (총 : 42권)     이전 33권 다음
1941년
김동인
1
대수양(大首陽) 33 (三十三)
 
 
2
사신의 일행은 평양에서 사흘을 지낼 뿐이지 그 밖의 지방에서는 밤만 지나서는, 다시 길을 재촉하고 하였다. 이 땅의 특수한 청명한 일기는 연일 구름 한 점 없이 맑게 개어서 상쾌한 길을 계속할 수가 있었다.
 
3
정사(正使) 수양은 부사보다도 서장관 신 숙주를 신임하여 길을 갈 때나 또는 저사에 묵을 때나 언제든 자기의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이 청년학사 신 숙주의 정밀하고도 풍부한 지식은 수양에는 귀엽고 기특할뿐더러 여러 가지로 수양을 고문에 대할 수가 있었다.
 
4
더욱이 압록강을 건너서서 다른 땅에 들어서면서는 숙주가 더 필요하였다.
 
5
옛날 정 도전(鄭道傳)이 태조의 분부로서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할 때에, 고려사를 전연한 물건으로 만들었다. 고려라는 나라를 둘러엎고 생긴 이씨조선인지라, 고려사를 나쁘게만 고칠 필요를 느낀 것이었다.
 
6
그 뒤 세종 때에 당시의 예문제학(藝文提學)이던 정 인지(鄭麟趾)에게 명하여 또 고려사를 편찬하였다. 정 도전에 의하여 한 번 꺾인 고려사는 정 인지에게서 재차 꺾이어 아주 다른 역사가 되어 버렸다.
 
7
그 때, 신 숙주는 정인지의 아래서 정 인지에게 협력하였다. 따라서 고려의 정원초기(政院草記)를 상세히 열독할 수가 있었는지라 개조되지 않은 고려의 역사를 알 것이었다.
 
8
머리 총명하고 기억력 좋기로 집현전의 여러 재사 중에도 가장 빼난 신 숙주라 그 중요한 것은 그냥 기억에 남아 있을 것이었다.
 
9
옛날 고구려의 터요 그 뒤 고려도 늘 넘겨다보던 터인 요동을 통과함에 그 때의 사적을 알 필요가, 있었다. 역사의 기록은 정 인지 이후에는 불살라 없어지고 지금은, 단지 사람의 머릿속에만 남아 있는 사실이라 신 숙주의 머리가 필요하였다.
 
10
압록강을 건너서면 명나라 땅. 외국의 첫날 저녁을 진강부(鎭江府)에서 지내기로 되었다.
 
11
평양서부터 배행하던 역리며 선친 관속, 의주, 용만(義州龍灣)의 통인이며 관기(官妓)등은 용만의 나룻머리에서 차례로 하직하였다. 그리고 사신 일행의 인마(人馬)며 방물(方物) 등은 다섯 척의 배에 분승하여 강을 건넜다.
 
12
본시 배에는 그 첫배에는 정사와 표자문(表咨文)과 수역(首譯)과 및 그 대솔(帶率)이 함께 오르고 다음 배에 부사와 서장관이며 그 대솔이 오르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양은 서장관 신 숙주를 자기와 한 배에 오르게 하였다.
 
13
이곳의 물살은 여간 세차지 않았다. 사람들이 배에 오르고 사공이 첫 삿대로 배를 떼어놓은 다음 순간은 배는 벌써 언덕에서 멀리 떨어져, 언덕에서 하직하던 무리는 왼편으로 전전하여 순간순간 차차 작아가며, 아득하여간다. 굴강한 사공들의 조종에도 불구하고, 배는 물살이 가자는 대로 달음 질친다. 저편에서 뗏목(筏)이 흘러오는가 하면 그 뗏목은 어느덧 이 배의 곁을 지나서 아래쪽으로 쏜살같이 내려가고 한다. 벌부(筏夫)들의 입은 옷이 벌써 딴나라였다.
 
14
『벌써 이국(異國)일세 그려.』
 
15
수양은(물소리를 누를만한) 큰 소리로 숙주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16
『네이. 연년이 더 이국화해 갑니다.』
 
17
『전에는 지금과 달랐는가?』
 
18
『소인이 세묘의 분부로 언문의 음운(音韻)을 상고합고저 황 한림(黃翰林—名瓚)을 심양(瀋陽—奉天)에 찾어다녀올 때만 해도, 심양까지도 아직 고려 유속(遺俗)이 적잖게 남어 있더이다.』
 
19
『흠. 어떤 것이?』
 
20
『말—언어로 말씀할지라도 우리 나라 평안도 방언과 요동 토민들의 말은 같은 자가 많었읍니다. 아주 같은 것도 비일비재옵고.』
 
21
『흠.』
 
22
『풍속, 문물, 제도—시골에 가면 외국이 아니고 우리 나라 시골이나 아닌가고 실수하기도 쉽더니요.』
 
23
『그때도 그랬으면, 국초에는 더 같었겠구먼.』
 
24
『그렇구 말굽쇼. 여사(麗史)를 보자면 옛날 고구려가 당나라에게 당한 뒤에 고구려의 구신(舊臣) 대씨(大氏)가 고구려 땅에서 고구려 백성들을 거느리고 발해(勃海)국을 세우지 않았습니까? 그 때 발해국의 영토는 압록강 이북만이었는데 압록강 이남도 역시 고구려의 옛 터라 백성들은 같은 백성 이니까 피아의 교류(彼我交流)는 한 나라나 일반이었읍니다 그려. 그러다가 발해는 요(遼)에게 망하자, 같은 연간에, 왕 씨의 고려국이 압록강 이남에 생겨났읍니다. 그렇게 되니까, 없어진 나라 발해국의 유민들은 혹은 새 나라 고려국에 와서 붙고 혹은 요국에 가서 붙었지만 본시 같은 백성들이니까, 백성끼리의 교류는 그냥 끊치지 않았었어요.
 
25
왕씨의 고려국은 스스로 고구려의 후신이라고 자칭하느니 만치, 옛날 고구려의 땅이던 요동까지를 고려의 영토로 삼고 싶었고 요국에서는 또 자기네가 발해국을 삼키고 발해의 주인이 되었으니까 발해의 옛터는 자기네 것이라고 버티고, 이러는 동안에 사실 왕권(王權)은 고려의 왕권도 발해 옛터에 및지 못하고 요국의 왕권도 역시 마찬가지여서 발해국의 옛터인 요동 땅이며, 여진(女眞)은 아무의 왕화도 믿지 못하고 백성들끼리 지방지방의 추장의 아래서 살아 왔겠지요. 그러니까 고구려의 백성은 그냥 고구려의 유민으로 요동, 여진 땅에 남아 있고 그냥 교류는 계속됩죠.
 
26
그 뒤 요국도 망하고 원나라이 선 뒤에 원나라에서는 다른 정책을 썼습니다. 즉 원나라이 중원까지 들어가서 한족(漢族)의 주인이 되면서, 원나라 토종 몽고인을 요동이며 중원으로 옮기고 한족들을 많이 요동에 옮겨서 땅은 그냥 요동대로 있으되 그 땅에 사는 백성은, 요동의 본토인인 고구려 족이며, 한족이며, 여진족이며 뒤섞어 놓았읍니다.
 
27
이렇게 한 삼 백년 지나는 동안 관리며 상류급의 언어 풍습이 따로 생기고, 백성들의 언어 풍습으로는 그 여러 가지 종속의 혼합물이 생겨났어요. 그런데 이곳 본토인 이 고구려 후인이니만치 고구려 풍이 가장 많이 있었지요.
 
28
그러다가 원나라가 한족에게 도로 쫓기고 명나라가 생기자, 명나라는 요동은 본시 원나라 영토라 해서 철령에 책(寒)을 세우고 피아의 교류를 아주 엄금해 버렸읍니다그려.
 
29
그 때 우리 나라에서도 아조(我朝)가 용흥(龍興)배우는데, 아조는 여진의 옛터에서 용흥했으므로 여진 땅(함경도)은 차마 버리지 못할 땅이올씨다. 그 고려 오백 년 동안에는 고려는 고구려의 후신이라 자임하면서도 고구려이 옛터는 커녕 압록강까지도 왕권이 및지 못했어요. 힘이 모자랐습지요. 그 것을 세묘 삼십 년의 노력으로 동으로는 두만강 건너의 야인의 촌까지, 서로는 압록강까지 우리 땅으로 만들어는 놓았읍니다마는 강대하던 고구려의 옛터에 비기자면 오분의 일도 못 되옵는 가련한 형세올씨다. 세모께서 놀라우신 지략으로 국토를 확장하오시고 두만 압록 양대강까지를 우리 땅으로 만들자, 명나라에서는 겁을 더 내서 국경의 방알을 더욱 엄중히 하고 피아 교류를 더 엄중히 막기 때문에, 우 리 나라는 우리 나라 그대로 있거니와, 압록강 건너는 더 한화(漢化)해서 풍습, 언어, 최근 십 년간에도 얼마나 더 변 하였는지 측량할 길이 없습니다.』
 
30
요란한 물결 소리를 누르기 위하여 이맛관지에 핏댓줄을 세워 가지고 하는 이 말을 수양은 머리를 끄덕이며 들었다.
 
31
숙주의 그 논지(論旨)에 감복했다기보다 그 기개에 감복하였다.
 
32
집현전 학사요 따라서 유제자(儒弟子)인 숙주가 명나라의 처분을 부당하게 생각하는 것은 희귀한 일이었다. 승당존명(崇唐尊明)사상으로 빚어 놓은 듯한 유생들 가운데서 이런 생각을 품은 사람이 있다는 것은 과연 희귀한 일이었다.
 
33
일찍이 세종이 언문을 창제하고자 할 때에 온 사림(士林)에서는 얼마나 반대를 하였던가. 합사진계, 내지 항소까지 하여 그 불가함을 극론하였었다. 「성인이 끼져주신 글자가 있는데 언문을 만든다는 것은 무슨 일이오니까」「선왕의 제를 무시한다는 것은 웬 일이오니까」 굉장한 반대성 가운 데서도, 세종은 이 반대성을 무시하고 언문 창제를 강행하였다.
 
34
이 분부를 신 숙주와 성 삼문, 최 항등에게 내렸다. 왕명보다도 사문(斯文)을 중히 여기고, 국가를 위해서는 한 손톱을 상하기를 피하나 사무에는 목숨을 아끼지 않는 유인들이라, 성인의 글 아닌 언문 따위를 제작하는 것은 아무리 왕명일 지라도 거절할 것이다. 청년 명사인 신 숙주, 성 삼문 등이 라(왕명이라도)거역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그러나 이 분부를 광명으로 알고 받았다. 선배며 친구들의 욕설 비난을 무릅 쓰고 봉행하고, 더욱이 제 가진 바의 지식 재주를 경주하여, 어명에 봉답하였다. 이만한 견식이 있겠기에 세종도 이 청년들을 골라서 분부한 것이었고, 이 청년학도들도 이것이 옳은 일이라는 신념이 있었기에, 선배, 부형, 친구들의 비난을 무릅쓰고, 제재지를 다하여 사문의 외도를 감행한 것이었다. 이번 수양이 사신으로 떠남에 임하여, 하고많은 재사들 가운데서 신 숙주를 골라낸 것도 또한 이만한 견식을 크 게 보기 때문이었다.
 
35
한(漢)을 숭상하고 당(唐)을 존신하는 이 땅의 학자들은, 한당(漢唐)을 전지전능으로 알고 스스로 비굴하고 스스로 자하한다. 지금의 요동이 예전 고구려의 땅이라 하면 그런 참람한 말이 어디 있느냐, 성을 내고, 당태종이 고구려인 양만춘의 살에 눈을 잃었다 하면 그런 불경한 말이 어디 있느냐 펄펄 뛰며, 을지문덕이 수양제를 책망하였다 하면 미친 사람이라 욕하며, 고구려의 패수(浿水)를 평안도 평양에서 찾 으려 하며—요컨대 조선이라 하는 땅은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에 있는 반도에 한한 것으로 알고 그 너머 광대한 요동 여진등지가 다 고구려라는 것을 상상도 못한다.
 
36
그런 무리들 가운데, 신 숙주라 하는 딴 종자가 있는 것이었다. 대담하게도 명나라를 비평하고 고구려의 응대를 찬송하는 것이었다.
 
37
수양은, 자기가 종사관을 뽑는데 결코 잘못 뽑지 않았다고 스스로 믿었다.
 
38
『고서의 평양 혹은 패수(浿水)가 무론 지금 평안도의 평양이며 대동강은 아닌 모양인데, 그게 어딜까?』
 
39
『글쎄올씨다. 그 점을 소인도 늘 생각해 보는데, 혹은 이렇지 않을까 생각되어요. 즉, 평양이라, 패수라 하는 건, 어느 일정한 땅, 일정한 강을 일컬음이 아니고, 도회와 거기 달린 강을 평양이라 패수라 함이 아닐까요. 옛날 주(周)에서 기씨(箕氏)를 봉해서 평양에 도읍했다는 건, 요양 근처의 평 양이 아닐까요. 광녕현(廣寧縣)에 기자의 묘(廟)가 있고 소상(塑像)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거기가 옛날의 평양이 아닐 까요. 그 뒤 기씨는 연인(燕人) 위씨(衛氏)에게 가운데를—본국과의 가운데를 끊겨서 동으로 쫓겨가는 길에 한동안 자리 잡고 하는 데마다 거기를 도읍지로 쓰고 했는데, 그 한동안씩 닻준 곳마다 거기를 평양이라 일컫고, 거기 있는 강을 패수(浿水)라 일컫고 한 게 아닐까요? 평양은 일정한 곳이 아니라 기씨가 닻주고 한데가 다 평양이 아닐까요? 그 뒤 한(漢)에서 사군을 둘 때는 기씨가 마지막 자리잡았던 평양을 그냥 답습해서 지금의 평양이 마지막 평양으로 그 칭호가 지금까지 그냥 씨어오는 것이 아닐까요? 한의 사군도 고구려에게 망하고, 고구려는 도읍지를 국내성(國內城)에서 환도성(丸都城)으로, 그 뒤 장안(長安)으로 평양으로 여러 번 옮겼는데, 마지막 고구려가 옮겼던 평양이 지금의 평양이고 그 전의 평양은, 요동 근처의 어디라고 소인은 그렇게 생각 되어요.』
 
40
『옳으이. 나도 늘 그렇게 생각되어.』
 
41
『동사(東史)를 알려면 고구려 역사를 알어야겠는데 고구려 문헌은 당장 이 적(唐將李笛)이 한, 수, 당,(漢隋唐)의 참패기(慘敗記)를 없이하기 위해서 통 불사라 버렸으니 분한 노릇이어요. 한토에 남아 있는 한인의 기록으로 겨우 만분 일의 면영이나 엿볼 뿐인데 한인의 기록에도 숨기지 못한 참패사 뿐인데 한인의 기록에도 숨기지 못한 참패사 뿐이니, 실상은 얼마나 창피하고 참담한 것이었을지, 참 궁금해 요. 하여간 몇 나라이 고구려에게 망하고 또 망하고 해서 칠백 년간에 수 없는 나라이 차례로 망하고 당나라 때, 당나라도 당태종의 강성으로도 역시 참패에 참패를 거듭하고 고종(高宗)에게 정려(征麗)의 유언을 하고 떠나고, 고종도 원정을 거듭하다 못해 마지막에 신라와 연합해 가지고야 겨 우 떨하지 않었읍니까. 그 한족의 칠백 년간의 창피한 역사를 감추기 위해서 고구려 문적이라는 문적은 통 불사라 버렸읍니다그려.』
 
42
『또 김 부식(金富軾)이, 삼국사 찬술한 김 부식이는 신라를 추켜세우기 위해서 고구려의 웅대하던 점은 다 제거해 버리고 고구려의 숭한 점만 고르고 지어내고 해서 역사를 편찬했으니 소인의 행사입지요. 더욱이 한인에게 꺼리어서 한서에 있는 일까지도 말살해 버렸읍니다그려.』
 
43
『학이재(學易齋)도 후인에게 칭찬 못 받으리.』
 
44
숙주는 머리를 숙였다.
 
45
『지당한 말씀이올씨다. 소인도 고려사 편수에 약간 참여했읍거니와 아조(我朝) 용흥은 천명이로라, 선조(先朝)를 욕한다고 아조가 더 훌륭할 배도 아니고 선조를 높였다고 아조에 불리할 배도 아니온데 학이재대감 굳이 고집을 해서, 선조의 사실을 곡필하고 더욱이 선사(先史)에 「조(祖)」라 「종(宗)」이라, 혹은, 조, 칙, 짐, 폐하(詔勅朕陛下)등을 짐칭이라 해서 죄 왕이라, 교라, 여, 혹은 전하(王, 敎, 余, 殿下)등으로 고치는 등 마땅치 못한 데가 많습니다.』
 
46
『재승덕, 재주가 과해.』
 
47
『…………』
 
48
이야기를 하는 동안에 배는 대안(對岸)에 이르러 무성한 갈밭 틈으로 배의 머리를 디밀었다.
 
49
『격강이 천리라, 만리 타향이라 강하나 건너서 남의 나라에 왔으니 일만 일 천리를 온 셈인가.』
 
50
돌아보니 부사의 배는 꽤 하류까지 흘러 내려가서 그 근처의 물에 대려고 삿대질들을 하는 모양이었다.
 
51
어디서 뛰어 나오는지 몇 명의 야인(野人)이 이 배를 향하여 무에라고 지껄이며 달려온다. 이 배에서 사람들을 물의 마른땅까지 업어다 주고 삯전을 얻으려는 토인들이었다.
 
52
여기서 내리면 명나라 관인들에게 수검(搜檢)을 받아야 한다. 사람과 말의 적(籍)이며, 성명, 주소, 연령, 수염의 유무, 체격, 키꼴 등을 교열하고 소지품(所持品)의 품목이며 수량 등을 조사하여, 금제품이나 남월을 취체하고 겸하여 국경의 경계를 하는 것이다.
 
53
수양 이하는 토민의 등에 업히어 배에서 내려서 명나라 관 원의 둔소의 앞을 지나서 완전히 명나라 땅에 발을 들여놓았다.
【원문】33 (三十三)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소설〕
▪ 분류 : 근/현대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236
- 전체 순위 : 340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49 위 / 8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85) 삼대(三代)
• (23) 적도(赤道)
• (20) 어머니
• (20) 탁류(濁流)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대수양(大首陽) [제목]
 
  김동인(金東仁) [저자]
 
  조광(朝光) [출처]
 
  1941년 [발표]
 
  소설(小說) [분류]
 
  역사소설(歷史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소설 카탈로그   목차 (총 : 42권)     이전 33권 다음 한글 
◈ 대수양(大首陽)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9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