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야담(野談)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야담 (野談)
민간인들 사이에 떠도는 궁중의 알려지지않은 이야기나 정치적 사건, 인물에 대한 이야기.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야담 (野談) 설화 문학 성리학 실학 패관 문학 한국 문학 대북파 1869년 1301년 1075년 박인량 성현 유몽인 이제현 고려 문종 박두세 백이정 성혼 조선 연산군 유자광 이괄 이색 이이첨 이인로 조맹부 최자 최치원 권부 이원명 김척명 이진 요수 이희준 만권당 동야휘집 수이전 역옹패설 용재총화 청구야담 계서야담 학산한언 고금록 대동야승 보한집 삼국유사 악학궤범 어우야담 요로원야화기 익재난고 파한집 효행록 소화집 기문총화
▣ 백과사전
민간인들 사이에 떠도는 궁중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나 정치적 사건, 인물에 대한 이야기. 민간인들에 의해서 엮어진 역사 이야기인 야승이나 민간인들 사이에서 떠도는 기이한 이야기인 패설, 민간인들이 꾸며 내어 사사로이 기록한 역사를 의미하는 야사 등과 비슷한 의미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정확하게 말하면 같은 의미가 아니다.
 
야담 은 민간에서 떠도는 야사에 허구성이 가미된 이야기로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그 내용이 다양해지고 다채로워지며 일정한 형식을 띠게 되었다.
 
처음에는 민간인들 사이에서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에 얽힌 이야기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이 이야기를 포착한 지식인들에 의해 글로 기록되어 후세에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따라서 야담의 내용 중에는 당시 민중의 생활상과 사고 방식이 다분히 반영되어 있으며, 역사를 바라보는 민중의 시각도 함께 보인다. 여기에 지식인층에 의해 추가된 문학적인 상상력과 역사 의식들이 덧붙여져 야담은 민중의 의식은 물론, 지식인층의 의식까지도 동시에 담아 내고 있는 중요한 구전 문학이라 볼 수 있다.
 
야담은 사실적인 이야기에 허구적인 상상력이 가미된 작품의 성격 때문에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이야기 속에서 고도의 문학성이 가미된 산문 문학이나 서사 문학으로까지 그 다양한 발달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야담이 형성된 것은 아주 오랜 상고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700년대에서 1800년대에 이르러서는 산문의 태동에 힘입어 소설 양식 의 시초로 자리잡게 되었을 뿐 아니라, 뛰어난 문학성을 가지고 있는 작품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서 단편 소설로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18세기에서 19세기에는 야담류의 작품들이 판소리나 판소리나 잡가· 사설 시조 등의 문학 장르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우리 나라의 야담을 들어본다면 화랑도와 승려들의 기이한 행동이나 일화들을 집대성한 것으로 보이는 《화랑세기》 《고승전》 《계림잡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고려 시대의 《삼국유사》는 야담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고려 시대 말에 유행하였던 패관 문학도 야담의 성격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패관 문학으로는 신라 시대의 이야기를 모아 엮었다는 박인량의 《수이전》, 이제현의 《역옹패설》을 들 수 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성현의 《용재총화》, 유몽인의 《어유야담》이 대표적인 야담 문학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야담을 집대성한 《청구야담》, 《계서야담》, 《동야휘집》은 조선 시대 후기의 3대 야담집에 속하며, 개화기에 들어서면서는 야담을 싣는 전문 잡지가 발행되었고, 신문에도 야담이 연재되는 등 독자들에게 활발히 침투되어 들어갔다.
 

기타 야담집
 
• 17세기 초 임방의 천예록(天倪錄)
• 17세기 초 신돈복의 학산한언(鶴山閑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429 작품) [모두보기]
소설인규옥소선 掃雪因窺玉簫仙 고전 소설 임방 (397) 귀거래사 歸去來辭 근/현대 수필 김동인 (217) 조신의 꿈 근/현대 소설 김동인 (146) 이명선 이야기 - 신립 장군 申砬將軍 근/현대 수필 이명선 (61) 이명선 이야기 - 어래산의 굴 근/현대 수필 이명선 (55) 이명선 이야기 - 독개비 근/현대 수필 이명선 (54) 이명선 이야기 - 인삼 사장의 비상수단 근/현대 수필 이명선 (52) 이명선 이야기 - 인룡 人龍 근/현대 수필 이명선 (51) 이명선 이야기 - 하든석 근/현대 수필 이명선 (50) 산유화가와 박향랑 山有花歌와 朴香娘 근/현대 수필 차상찬 (46) 이명선 이야기 - 손각씨 근/현대 수필 이명선 (45) 이명선 이야기 - 송도 松都 근/현대 수필 이명선 (44)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이명선 (140) 백과 김동인 (139) 백과 수필 (128) 백과 1954년 (110) 백과 차상찬 (110) 백과 1937년 (96) 백과 소설 (64) 백과 1939년 (46) 백과 윤백남 (20) 백과 역사소설 (12) 백과 월간 야담(김동인) (10) 백과 최남선 (9) 백과 1936년 (7) 백과 1935년 (5) 백과 전기소설 (4) 1938년 (3) 백과 1949년 (3) 백과 반정 난중 3여걸 (3) 1939 (2) 공당문답 (2) 그짓말쟁이 (2) 사십 독서 좌찬성 (2) 설화 (2) 백과 인물평 (2) 임진왜란 (2) 백과 조선 성종 (2) 백과 중앙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이명선의 이야기 (137) 기생 (18) 백과 선조 (15) 백과 (12) 백과 조선 중종 (12) 백과 조선 태조 (11) 백과 조선 성종 (10) 백과 조선 세조 (8) 백과 무학 대사 (7) 백과 조선 숙종 (7) 백과 미인 (6) 영조 (6) 백과 인조 반정 (6) 백과 조선 정조 (6) 백과 개성시 (5) 백과 계서야담 (5) 백과 광해군 (5) 백과 명종 (5) 백과 정몽주 (5) 백과 조선 연산군 (5) 백과 청구야담 (5) 백과 호랑이 (5) 백과 박문수 (4) 백과 의원 (4) 이귀 (4) 백과 이항복 (4) 백과 정만서 (4) 조선 세종 (4) 백과 고려 태조 (3) 백과 공민왕 (3) 백과 공주시 (3) 백과 길재 (3) 백과 도선 (3) 백과 려말선초 (3) (3) 백과 (3) 백과 (3) 백과 양녕 대군 (3) 백과 양사언 (3) 백과 양주시 (3) 백과 어우야담 (3) 백과 역관 (3) 백과 연천군 (3) 백과 열녀 (3) 백과 이여송 (3) 백과 이완 (3) 백과 인조 (3) 백과 임진왜란 (3) 백과 잉어 (3) 백과 자라 (3) 백과 제주특별자치도 (3) 백과 조선 단종 (3) 백과 종로구 (3) 백과 진평왕 (3) 백과 춘향전 (3) 백과 충주시 (3) 백과 홍계관 (3) 강감찬 (2) 백과 (2) 백과 거문고 (2) 백과 과부 (2) 관상 (2) 구슬 (2) 기생 (2) 김종직 (2) 백과 (2) 백과 낙랑 공주 (2) 백과 달천 (2) 백과 (2) 백과 도화랑 (2) 동명성왕 (2) 백과 동야휘집 (2) 백과 매몽설화 (2) 맹사성 (2) 백과 묘향산 (2) 백과 박영 (2) 백과 벼룩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선산읍 (2) 백과 (2) 백과 송도 (2) 백과 송사 (2) 승려 (2) 백과 신 사임당 (2) 백과 신립 (2) 백과 신수근 (2) 백과 안평 대군 이용 (2) 백과 양성지 (2) 백과 양예수 (2) 유리왕 (2) 백과 윤필상 (2) 백과 의자왕 (2) 백과 (2) 백과 이근 (2) 이기축 (2) 이예순 (2) 이이 (2) 백과 이정구 (2) 백과 이제현 (2) 백과 이종성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