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순신(李舜臣)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순신 (李舜臣)
[1545 ~ 1598] 조선 선조 때의 장군.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한성(서울)에서 태어났다.
이순신 (李舜臣) [1545 ~ 1598] 조선 선조 때의 장군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한성(서울)에서 태어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크게 왜적을 무찌름. 1597년 정유재란원균의 모함으로 옥에 갇힘 명량대첩 남아 있는 함선 12척으로 왜군 함대를 무찌름
◈ 지식지도 관계
이순신 (李舜臣) 1545 여진족 (女眞族)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1604 선무 공신 (宣武功臣) 1368 (明) 진도군 (珍島郡) 현충사 (顯忠祠) 1908년 1592년 1597년 1598년 1636 (淸) 1532 어영담 (魚泳潭)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운 (鄭運) 1546 배흥립 (裵興立) 1547 원균 (元均) 1547 권준 (權俊) 1554 무의공 이순신 1501 이황 (李滉) 1524 조목 (趙穆) 1532 최경회 (崔慶會)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37 권율 (權慄) 1537 김천일 (金千鎰) 1537 도요토미 히데요시 1538 김성일 (金誠一) 1538 이일 (李鎰) 1539 이산해 (李山海) 1546 신립 (申砬) 1547 이원익 (李元翼) 1554 김시민 (金時敏) 1561 이덕형 (李德馨) 1562 가토 기요마사 1567 선조 (宣祖) 1880 신채호 (申采浩) 1905 대한 매일 신보 난중일기 (亂中日記) 1908 이순신전 (李舜臣傳) 난후잡록 (亂後雜錄) 1613 동의보감 (東醫寶鑑) 1633 서애집 (西厓集) 1633 징비록 (懲毖錄)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한산도 대첩 1597 명량 해전 (鳴梁海戰)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98 노량 해전 (露梁海戰) 적진포 해전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1592 부산포 해전 1592 옥포 해전 (玉浦海戰) 1592 진주성 전투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거북선 ([龜船])
두사충(杜師忠) 정걸(丁傑) 정탁(鄭琢) 정언신(鄭彦信) 마하수(馬河秀) 이경록(李慶祿) 진린(陳璘) 선거이(宣居怡) 김완(金浣) 배설(裵楔) 곽재우(郭再祐) 송여종(宋汝悰) 송희립(宋希立) 나대용(羅大用) 이덕일(李德一) 이억기(李億祺) 이분(李芬) 유형(柳珩) 김충선(金忠善) 녹둔도 사건 사천해전(泗川海戰) 장문포 해전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 여수 충민사 통영 충렬사 명량대첩비(鳴梁大捷碑) 고니시 유키나가 이충무공 벽파진전첩비 1591년 가덕도 해전 안골포 해전 절이도 해전 장림포 해전 화준구미 해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아산 이충무공 유허 제승당(制勝堂) 명조팔사품(明朝八賜品) 세종로 이순신 동상 통영 착량묘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고하도이충무공유적 유애사(遺愛祠) 고소대(姑蘇臺) 해남 충무사 통영 충렬묘비 고금도 관왕묘 학익진(鶴翼陣) 전라 좌수영 남해 충렬사 명량 해협(鳴梁海峽) 화원 반도(花源半島) 이순신 공원 고금도(古今島)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이충무공전서 임진장초(壬辰狀草)
▣ 주요 정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난중일기 亂中日記 고전 수필 이순신 (2721) 증별선수사거이 贈別宣水使居怡 한시 이순신 (40)
◈ 참조 원문/전문
(총 12 작품) [모두보기]
이순신 근/현대 소설 이광수 (115) 이순신전 李舜臣傳 근/현대 소설 신채호 (60) 명량대첩 비문 鳴梁大捷碑文 기록물(기타) (28) 신구차 伸救箚 개인기록물 정탁(鄭琢) (14) 이순신 李舜臣 근/현대 소설 윤곤강 (4) 논난후제장공적 論亂後諸將功蹟 고전 수필 이항복 (2) 거북 배를 만드신 이충무공 이야기 근/현대 소설 신영철 (2) 이충무공 제411회 탄신 최남선 (0) 충무공과 그 소실 최남선 (0) 만고 충용 이충무공의 어릴 때 삼산인 (0) 바다의 전설 차상찬 (0) 제479주년 충무공 탄신 기념행사 축사 한덕수 (0)
◈ 조회순
2025.02.23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 -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문화】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전라남도. 2024.1.31 발간) 중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3.1 전남의 역사 / 3.2 전남의 국제교류사 / 3.3. 미래, 창의적인 발전 / 3.4. 장보고 인문학 정립 / 3.5. 결론
2022.03.20
이순신 장군과 사도진에 얽힌 사연
【역사탐방】 고흥지역 수군진 관할하는 첨사진이었지만 사라져버린 유적들에 아쉬움 가득
2024.04.03
【이순신해전항로탐사(5)】전라좌수사 휘하 4개진 설치된 곳...판옥선 건조 및 총통 무기
【문화】 전남 고흥 발포항과 충무사 장보고글로벌재단에서 주최한 ‘세계인 장보고의 글로벌정신과 전남 미래발전방안’ 연구를 위해 1박 2일 워크숍에 참가하여 진남관 전시관과 이순신 자당기거지, 오충사 사당을 관람하고 1시간 30분 걸리는 고흥반도 발포진 유적지를 방문하려고 버스에 올랐다.
2022.03.07
이순신 장군의 ‘약무호남시무국가’가 뜻하는 것
【역사탐방】 임진왜란 초기 4대 해전에 참전한 경상우수영 수군... 전라도수군의 1/10도 안돼
2024.05.22
【이순신해전항로탐사(6)】충무공 이순신 장군 49해전 항로 탐사 출정식
【문화】 22일 여수항 출항에 앞서 이순신광장에서 개최 충무공 이순신 장군 49해전 항로 탐사대(대장 이효웅)가 남해안 해전 현장을 요트로 탐사한다. 탐사대는 20여 일의 일정으로 돛을 이용해 임란 이후 처음으로 남해안 임란 전적지 해로 탐사에 나선다. 이순신 해전 전적지 항로 탐사에는 탐사대장 이효웅씨, 요트 율리안나(Juliana)호 선장이자 스키퍼 조원옥씨, 탐사 대원 오문수, 궁인창, 김낙현, 김연빈,박석룡 대원 등 7명이 의기투합해 나선다.
2023.09.20
페루 해군사관학교에 ‘이순신 장군’ 흉상 제막
【문화】 2023년은 한국과 페루가 수교한지 6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양국은 협력과 우호라는 공동의 비전 속에 다목적상륙함 2척 건조, 해상초계함 건조 등 군사협력 관계, 방위산업 발전, 학술교류 프로그램 등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2022.03.20
임진왜란 당시 호국의 고장 고흥
【역사탐방】 고흥 수군진 중 전라좌수영에서 가장 가까운 수군진이었던 여도진
2019.08.29
경남공직자, 이순신을 통해 배운다!
【행정】 경남공직자, 이순신을 통해 배운다! 【인재개발원 인재양성과 - 정현서 (055-254-2054)】
 
◈ 최근등록순
2025.02.23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 -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문화】 장보고 선양정책발굴보고서(전라남도. 2024.1.31 발간) 중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3. 역사문화의 보고, 전남 / 3.1 전남의 역사 / 3.2 전남의 국제교류사 / 3.3. 미래, 창의적인 발전 / 3.4. 장보고 인문학 정립 / 3.5. 결론
2024.05.22
【이순신해전항로탐사(6)】충무공 이순신 장군 49해전 항로 탐사 출정식
【문화】 22일 여수항 출항에 앞서 이순신광장에서 개최 충무공 이순신 장군 49해전 항로 탐사대(대장 이효웅)가 남해안 해전 현장을 요트로 탐사한다. 탐사대는 20여 일의 일정으로 돛을 이용해 임란 이후 처음으로 남해안 임란 전적지 해로 탐사에 나선다. 이순신 해전 전적지 항로 탐사에는 탐사대장 이효웅씨, 요트 율리안나(Juliana)호 선장이자 스키퍼 조원옥씨, 탐사 대원 오문수, 궁인창, 김낙현, 김연빈,박석룡 대원 등 7명이 의기투합해 나선다.
2024.05.07
충무공 이순신 장군 기리며, 모내기를 함께 해요(5.25.)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이신복)는 5월 25일 오전 10시 충무공 이순신 묘소(충남 아산시 음봉면)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위토(位土)의 역사적 의의를 되새기는 모내기 체험 행사를 개최한다.【현충사관리소】
2024.04.25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이신복)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탄신일을 맞이하여 4월 28일(일) 오전 11시 현충사(충남 아산시)에서 이충무공의 국난극복 업적과 정신을 국민과 함께 기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한다.【현충사관리소】
2024.04.03
【이순신해전항로탐사(5)】전라좌수사 휘하 4개진 설치된 곳...판옥선 건조 및 총통 무기
【문화】 전남 고흥 발포항과 충무사 장보고글로벌재단에서 주최한 ‘세계인 장보고의 글로벌정신과 전남 미래발전방안’ 연구를 위해 1박 2일 워크숍에 참가하여 진남관 전시관과 이순신 자당기거지, 오충사 사당을 관람하고 1시간 30분 걸리는 고흥반도 발포진 유적지를 방문하려고 버스에 올랐다.
2024.04.01
【이순신해전항로탐사(4)】이순신 어머니, 5년간 살았던 곳을 공원으로 꾸며
【문화】 여수 자당공원 장보고글로벌재단에서 주최한 ‘세계인 장보고의 글로벌 정신과 전남 미래발전방안’ 연구를 위해 모인 유적답사 단원들은 여수 진남관 전시장을 돌아보고, 다음 방문 장소인 ‘이순신 자당기거지’를 가려고 버스에 올랐다. 그런데 운전기사는 출발한 지 얼마 안 돼, 방문지를 찾지 못하고 버스를 송현삼거리에 있는 웅천 이순신공원 주차장에 도착했다.
2024.03.20
이순신 장군의 나라사랑 정신 함께 나눠요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이신복)는 오는 3월 22일부터 8월 22일까지 「이순신 장군 난중일기 독후감 및 유적답사기 공모전」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개최한다.【현충사관리소】
2024.03.13
【이순신해전항로탐사(3)】임진전쟁의 조총과 왕직
【문화】 명나라에서 해적 취급... 장사 기술 일본에 전수해 상인의 전범으로 추앙 임진전쟁에서 많은 사람이 다치고, 이순신 장군이 조총에 맞아 절명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어 문헌을 조사했다. 일본인이 조총을 처음 본 것은 1543년 음력 8월 25일(양력 9월 23일) 규슈 가고시마 남쪽에 있는 다네가시마(種子島) 카도쿠라 곶(門倉岬)에 표류한 명나라 무역상 왕직(汪直?, ~1559)의 난파선 때문이다.
2024.03.12
【이순신해전항로탐사(2)】이순신을 발탁하고 구원한 정탁
【문화】 정탁, 이순신과 명 풍수전략가 두사충 구명 앞장... 두릉 두씨 시조 여해(汝海)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1598년 음 11월 19일)은 일본 막부(幕府)의 간사한 계략과 이중 첩자 요시라(要時羅)의 모함으로 1597년 2월 26일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되고, 한성으로 압송을 당해 한성 의금부에 구금된다.
2024.03.11
【이순신해전항로탐사(1)】해양탐험가 조원옥 선생과 ‘이순신 장군의 임진전쟁 49개 해전지 탐사’를 기획
【문화】 해양탐험가 조원옥 선생, 김옥균-유길준 유배지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정비 마치고 출항 여수에 사는 오문수 형님이 “궁 선생! 4월에 뭐 해?”라고 전화를 걸어왔다. 필자는 그냥 “책 보고, 글 쓰고, 여행 가고 그러지요.”라고 짧게 대답했다. 그러자 형님은 “순천 조원옥 선생이 요트로 전 세계 일주 항해를 계획하고 있는데, 출항하기 전에 이순신 장군의 해전지를 전부 순례하고 싶어 팀을 구성하려고 해, 조금 도와줘!”라고 말했다.
2024.02.15
이순신 장군의 나라사랑 정신 이어갈 ‘현충사 청소년 국가유산 지킴이’ 모집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황상원)는 2월 16일(금)부터 3월 15일(금)까지 청년 교육 사회적협동조합 씨드콥과 함께‘제6기 현충사 청소년 국가유산 지킴이(이하 ‘현충사 지킴이’)’ 50명을 모집한다.【현충사관리소】
2023.09.20
페루 해군사관학교에 ‘이순신 장군’ 흉상 제막
【문화】 2023년은 한국과 페루가 수교한지 6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양국은 협력과 우호라는 공동의 비전 속에 다목적상륙함 2척 건조, 해상초계함 건조 등 군사협력 관계, 방위산업 발전, 학술교류 프로그램 등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2023.07.10
완도이순신기념관, 진린, 등자룡 장군(상)
【문화】 완도 고금면 충무사를 답사 / 전남 완도 신지면 조선대학교 해양생물연구교육센터에서 개최된 제1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2023년 7월 6일 ~ 7월 8일)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아침부터 늦게까지 강진현 고금도와 묘당도 옛 지도를 보았다.
2022.10.27
이순신 재단 설립을 위한 여수시민 공청회 단상
【사회】 [주장] 출신 지역에 유리한 국회에 발의된 '이순신재단 설립 법안'을 보며
2022.03.22
이순신의 발포만호 경험이
【역사탐방】 발포만호 이순신... 지휘관이 지녀야 할 식견 획득, 목민관 자질 연마, 관료사회 명망 고양
2022.03.20
이순신 장군과 사도진에 얽힌 사연
【역사탐방】 고흥지역 수군진 관할하는 첨사진이었지만 사라져버린 유적들에 아쉬움 가득
2022.03.20
임진왜란 당시 호국의 고장 고흥
【역사탐방】 고흥 수군진 중 전라좌수영에서 가장 가까운 수군진이었던 여도진
2022.03.07
이순신 장군의 ‘약무호남시무국가’가 뜻하는 것
【역사탐방】 임진왜란 초기 4대 해전에 참전한 경상우수영 수군... 전라도수군의 1/10도 안돼
2020.05.28
난중일기 속 이충무공 삶의 지혜를 문장에 담다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김재일)는 오는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난중일기 독후감 및 이충무공 유적답사기 공모전」을 개최한다.【현충사관리소】
2020.04.23
제2기 현충사 청소년 문화유산(위토) 지킴이단 출범
【문화】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김재일)는 이순신 장군의 나라사랑 정신을 기리고 이충무공묘소의 위토와 현충사 중건의 역사적 의미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제475회 충무공탄신기념일인 오는 28일 초‧중‧고 청소년 76명과 함께 ‘현충사 문화유산(위토)지킴이단’을 출범한다.【현충사관리소】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참조 디렉터리
남해 충렬사 南海忠烈祠 남해군 (91) 세종로 이순신 동상 종로구 (98) 이순신 공원 통영시 (131) 충무 충렬사 忠武忠烈祠 (113)
◈ 주요 언급 키워드
임진왜란 (45) 백과 한산도 대첩 (17) 백과 정유재란 (15) 백과 권율 (14) 백과 1597년 (11) 백과 1592년 (10) 백과 1598년 (10) 백과 원균 (10) 백과 김시민 (9) 백과 노량 해전 (9) 백과 현충사 (9) 백과 난중일기 (8) 백과 부산포 해전 (8) 백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7) 백과 옥포 해전 (7) 백과 행주 대첩 (7) 백과 거북선 (6) 백과 아산시 (6) 백과 칠천량해전 (6) 백과 통영시 (6) 백과 1593년 (5) 백과 이억기 (5) 백과 이황 (5) 백과 진린 (5) 백과 진주성 전투 (5) 백과 통영 충렬사 (5) 백과 1594년 (4) 백과 1595년 (4) 백과 1599년 (4) 백과 곽재우 (4) 백과 당포 해전 (4) 백과 (4) 백과 문화재청 (4) 디렉터리 여수시 (4) 백과 이이 (4) 백과 이항복 (4) 백과 해남군 (4) 백과 1590년 (3) 백과 1590년대 (3) 백과 1596년 (3) 백과 16세기 (3) 백과 가토 기요마사 (3) 백과 기축옥사 (3) 백과 김성일 (3) 백과 김천일 (3) 백과 나대용 (3) 백과 논구이순신차 (3) 백과 대한민국 문화재청 (3) 백과 명량 해전 (3) 백과 명량 해협 (3) 백과 선조 (3) 백과 신채호 (3) 백과 완도군 (3) 백과 울산성 전투 (3) 백과 이덕형 (3) 백과 이원익 (3) 백과 이일 (3) 백과 정운 (3) 백과 정탁 (3) 백과 조경 (3) 백과 진도군 (3) 백과 한산도 (3) 백과 현충사 (3) 디렉터리 1587년 (2) 백과 1591년 (2) 백과 1908년 (2) 백과 고금도 관왕묘 (2) 백과 고니시 유키나가 (2) 백과 광해군 (2) 백과 권준 (2) 김덕령 (2) 백과 낭트 칙령 (2) 백과 대한민국 사적 (2) 백과 도쿠가와 이에야스 (2) 백과 동인 (2) 백과 동화 (2) 백과 류성룡 (2) 백과 명량대첩비 (2) 백과 명조팔사품 (2) 백과 명종 (2) 백과 목포시 (2) 백과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2) 백과 무의공 이순신 (2) 백과 사천해전 (2) 백과 소설 (2) 백과 신립 (2) 백과 여수 8경 (2) 백과 위인전 (2) 윤두수 (2) 백과 이경록 (2) 백과 이산해 (2) 백과 이순신 (2) 일기 (2) 백과 장림포 해전 (2) 백과 전라 남도 (2) 백과 정철 (2) 백과 조경 (2) 조목 (2) 백과 조선 (2) 백과 진도 대교 (2) 백과
◈ 참조 키워드
임진왜란 (12) 백과 난중일기 (6) 백과 이순신해전항로탐사 (6) 노량 해전 (5) 백과 고흥군 (4) 백과 명량 해전 (4) 백과 아산시 (4) 백과 여수시 (4) 백과 전라좌수영 (4) 거북선 (3) 백과 장보고글로벌재단 (3) 전라좌수사 (3) 정유재란 (3) 백과 현충사 (3) 백과 삼도 수군통제사 (2) 백과 오문수 (2) 원균 (2) 백과 조원옥 (2) 학익진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참조 : 이순신전(신채호)
【원문】난중 일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