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이번에는 스페인어지만 비지니스 영어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 하나 배워볼게요.
|
|
|
|
|
|
|
최근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전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있죠. 각 국간에 대화가 잘되어서 더 나은 무역정책이 나오길 바라지만.. 한번 지켜봐야겠네요.
|
|
|
|
|
|
|
현재 캐나다도 미국과 NAFTA 재협상에 들어가 모든 분야의 산업들이 피해를 입을까 노심초사 하고 있죠.
|
|
|
|
|
|
|
그러면서 CBC 칼럼에 닐 맥도날드는 (Neil Macdonald) 캐나다에서 수입품들의 물가들이 미국에 비해 왜이렇게 비싼지를 잘 설명해줍니다. 밑에 글 한번 보시죠.
|
|
|
|
|
|
|
The American de minimis is $800 US, which gives American consumers the right to import pretty much whatever they please from anywhere. Canada's de minimis is $20 Cdn, which denies Canadians the right to bring in pretty much anything without big, punishing fees.
|
|
|
|
|
|
|
(미국의 최소허용보조 금액은 800달러이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어디서나 대부분의 물건들을 수입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캐나다의 최소허용보조 금액은 20 달러이다. 이는 캐나다 소비자은 큰 벌금을 부과하지 않고서는 대부분의 물품들을 수입할수 없다는 이야기다.
|
|
|
|
|
|
|
여기서 de minimis 는 최소허용보조 라는 용어 입니다. 한국어도 잘 이해가 안되는데요.. 쉽게 풀어 말하면 $20 de minimis 는 20달러 이하의 수입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규칙입니다. 위에 문장을 보면 미국의 de minimis 는 $800 인데 비교과 확 되죠? 예를 들어 한국에서 미국으로 $800 물품이 수출되면 미국에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De minimis 법칙 때문이죠. 하지만 한국에서 캐나다로 $800의 물품이 수출되면 $780($800-20)에 대한 관세가 적용 됩니다.. 그러면 같은 한국의 $800 물품이여도 미국에서 팔리는것과 캐나다에서 팔리는 가격이 확 차이가 나죠. 그리고 캐나다는 관세 이외의 물품세도 다른 국가의 비해 높습니다.
|
|
|
|
|
|
|
저도 캐나다에 살고 있지만 물건들이 너무 비쌉니다. 특히 최근에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NAFTA 재협상이 들어가면서 de minimis 범위에 대해 많이 이슈가 되고있습니다.
|
|
|
|
|
|
|
|
|
|
|
|
참조
|
|
|
|
|
|
|
ta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