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년 7월
|
2019년 7월 18일
|
|
|
|
|
|
|
|
|
|
|
|
|
|
▪ 가짜신선타령
|
|
|
|
|
1. 요점 정리
|
|
|
|
|
|
• 연대 : 미상
|
|
|
|
|
|
• 작자 : 미상
|
|
|
|
|
|
• 내용 : 부전
|
|
|
|
|
|
• 기타 :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
|
|
|
|
2. 내용 연구
|
|
|
|
|
3. 이해와 감상
|
|
|
|
|
|
소리는 물론 가사도 전하지 않는다. 가신선타령(假神仙打令) 사설이나 소리가 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고, 1810년 경 송만재(宋晩載)라는 사람이 쓴 '관우희(觀優戱)'에 등장하는데, '관우희'에 '光風癡骨願成仙路入金剛問老禪千歲海挑千日酒見欺何物假喬佺 광풍치골원성선로입김강문노선천세해도천일주견기하물가교전 (생김새는 그럴 듯해도 못난 사람이 신선되려고, 금강산 들어가 노승을 찾아, 신선이 먹는다는 천년에 한 번 열리는 복숭아와 천일주를 먹었었다니, 무엇으로 속였는가, 가짜 왕자교(王子喬: 신선 이름임)와 악전(齷佺: 신선 이름임)이여.)>라는 구절이 있어, 신선이 되려고 금강산에 들어가, 노승에게 신선이 먹는다는 복숭아와 술을 구해 먹었으나, 속고 만 이야기라는 정도의 윤곽만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
|
|
|
4. 심화 자료
|
|
|
|
|
|
가짜 신선 타령
|
|
|
|
|
|
|
판소리 열두마당의 하나.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 觀優戱〉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곧 소멸되어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 朝鮮唱劇史≫에서 이 작품 대신에 〈숙영낭자전 淑英娘子傳〉이 소개된 것으로 보아서, 〈가짜신선타령〉은 판소리의 열두마당에 들어 있다가 〈숙영낭자전〉으로 대치되어 소멸된 것으로 추측된다.
|
|
|
|
|
|
줄거리는 〈관우희〉에 한시로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신선이 되려고 금강산에 들어가서 늙은 선사에게 그 방법을 묻고 신선이 된다는 천일주(千日酒)를 받아먹었지만 끝내 속고 신선이 못되고 말았다는 이야기이다.
|
|
|
|
|
|
신선이 되고자 하는 친구를 골려주는 이야기는 임제(林悌)의 일화에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이야기는 널리 유포되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판소리작품이 형성되었다. 이 작품이 소멸된 시기와 그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
|
|
|
|
|
다른 판소리작품과의 경쟁에서 판소리 수용층의 기대를 충족할 수 없는 작품으로 도태되었을 것이다. 판소리 열두마당에서 〈가짜신선타령〉이 도태된 것은 19세기 후반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
|
|
≪참고문헌≫ 韓國歌謠의 硏究(金東旭, 乙酉文化社, 1961), 판소리 정서와 미학(김종철, 역사비평사, 1996), 宋晩載의 觀優戱(李惠求, 中央大學校30周年紀念論文集, 1955), ‘―歌’와 ‘―打令’의 問題(徐鍾文, 國語敎育硏究 15, 慶北大學校師範大學, 198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