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판소리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심청가
강릉매화타령
about 판소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강릉 매화 타령(江陵梅花打令) 판소리(-)
【학습】
(2019.07.18. 20:49) 
◈ 강릉매화타령
작자 ·연대 미상의 판소리로 12마당 중의 하나로 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이라고도 한다. 이 소리도 1810년 이전부터 불려 온 듯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1992년 '강릉매화타령'의 사설을 바탕으로 한 '매화가'라는 소설이 발견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목   차
[숨기기]
 

1. 요점 정리

• 연대 : 미상(1810년 이전부터 불려진 듯)
• 작자 : 미상
• 내용 : 부전
• 주제 : 위선적인 사람을 풍자한 것이었음을 짐작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작자 ·연대 미상의 판소리로 12마당 중의 하나로 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이라고도 한다. 이 소리도 1810년 이전부터 불려 온 듯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1992년 '강릉매화타령'의 사설을 바탕으로 한 '매화가'라는 소설이 발견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게 되었다.
 
1810년대에 간행된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에당시 널리 불리던 판소리 12마당의 하나였다는 기록이 나와 있는 점으로보아 1810년 이전부터 불려진 듯하다. '관우희'의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강릉매화타령' 등은 내용이 외설스럽고 조잡하여 가까이할 수 없다하였는데 지금은 모두 자연도태(自然淘汰)되어 불리지 않는다.
 
신재효(申在孝)의 '오섬가(五蟾歌)' 1절에 “강릉 책방 골원을 매화가 속이랴고 백주에 산 사람을 거짓되이 죽었다고활신벽겨 앞세우고 상예 뒤를 따라가며 이 사람도 건드리고 저 사람도건드리며 자지예 방울차고 달랑달랑 노는 것이 그도 또한 굿실네라”라는대목이 있어 그 내용이 위선적인 사람을 풍자한 것이었음을 짐작할 뿐이다. 즉, 타락한 인물인 골생원에 대한 풍자(諷刺)와 희화(戱畵)화를 통하여, 삶의 건전성과 균형감각을 일깨우고자 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4. 심화 자료

강릉 매화 타령
 
판소리 12마당 중 하나. ‘매화가(梅花歌)’라고도 한다. 사설이 실전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1992년 김헌선(金憲宣)이 전라북도 전주시의 이영규(李永圭) 소장본 〈매화가라〉를 학계에 발표함으로써 그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졌다.
〈강릉매화타령〉은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 觀優戱〉와 조재삼(趙在三)의 ≪송남잡지 松南雜識≫, 신재효(申在孝)의 〈오섬가 烏贍歌〉,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 朝鮮唱劇史≫ 등에 단편적이지만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 〈매화가라〉는 인물·사건·주제 등은 물론 부분적인 기록에서도 위 문헌들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고 있어 〈강릉매화타령〉임이 인정되었다.
이 자료의 서지 사항을 살펴보면 책 크기는 가로가 21.7cm, 세로가 23.6cm이고, 겉표지는 없으며 속 첫 장에 ‘梅花歌라(매화가라)’라고 적혀 있는데, 뒤에 첨가되어 있는 택일법과 궁합법을 제외하면 총 19장의 분량이다.
표기는 국한문을 혼용하고 있고 한 줄당 21자 안팎이 필사되어 있으며, 필사자나 필사 연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이 작품은 음란함을 경계하는 것이 주된 내용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강릉사또 도임시 책방 골생원은 그와 함께 내려가 강릉의 명기 매화를 만나 사랑을 나눈다. 하지만 서울로 와서 과거를 보라는 본댁의 전갈을 받고는 다시 만날 것을 언약하고 둘은 헤어진다.
서울로 올라온 골생원은 항상 매화를 그리워하고, 과장에서도 매화를 생각하는 내용의 시를 지어 바치자 상시관이 시지를 던져버린다. 골생원은 매화에게 줄 정표를 사서 다시 강릉으로 내려가는데, 강릉사또가 골생원을 골탕먹이려고 길가에 매화의 거짓 무덤을 쓰고는 백성들로 하여금 골생원에게 매화가 죽었다고 말하도록 당부한다.
골생원은 대관령을 넘어오다 초동목부에게 매화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처음에는 믿지 않았으나 무덤과 목비를 보고는 크게 슬퍼하면서 제수를 진설하고 축문을 읽어 위무하며 곡을 지극히 하여 비웃음을 산다. 골생원은 환쟁이에게 매화의 화상을 그리도록 하는데, 그 화상을 안고 놀다가 다시금 비웃음을 사게 된다.
한편 이 때 사또가 매화를 귀신인 것처럼 꾸며 골생원을 만나도록 하고, 둘은 만나 사랑을 나눈다. 다음 날 매화는 자신처럼 혼령이 되는 것이라면서 골생원을 속여 옷을 모두 벗겨 경포대로 데려간다.
한편 경포대에서 사또는 상여꾼에게 상여소리를 하도록 시키는데, 매화가 골생원에게 그의 상여가 나가는 것이라 알려주자 골생원은 슬퍼한다.
사또가 다시 경포대에 골생원을 위해 음식을 진설하고 애도하면서 풍악을 울리자 골생원은 음식을 실컷 먹고는 매화와 함께 춤을 추는데, 이 때 사또가 담뱃대로 골생원을 지지니 골생원은 깜짝 놀라 자신이 죽지 않았고 속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끝에는 세상 사람들에게 주색을 탐치 말라고 경계하는 말이 덧붙어 있다.
 
≪참고문헌≫朝鮮唱劇史(鄭魯湜, 朝鮮日報社, 1940), 宋晩載의 觀優戱(李惠求, 韓國音樂硏究, 國民音樂硏究會, 1957), ‘강릉매화타령’ 발견의 의의(김헌선, 국어국문학 109호, 국어국문학회, 199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릉 매화 타령(江陵梅花打令) 판소리(-)
【학습】 판소리
• 만고강산(萬古江山)
• 강릉매화타령
• 가짜신선타령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