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이(李珥)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이 (李珥)
[1536 ~ 1584]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호는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이이 (李珥) [1536 ~ 1584]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호는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시호는 문성(文成) 성혼, 송익필, 김장생 등과 함께 기호 지역이 기반인 서인(西人)의 종주 신사임당의 아들로 태어났다. 주자학에 밝은 대학자로서 퇴계 이황과 함께 우리 나라 유학의 쌍벽을 이룬다. 왜적의 침입에 대비한 10만 대군의 양성과 세법을 개선하기 위한 대동법의 실시 등을 주장했으나 생전에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1742년에 《율곡전서》가 간행되었다. 저서 성학집요》·《격몽요결》· 경연일기》 등
◈ 지식지도 관계
이이 (李珥) 1536 1501 이원수 (李元秀) 1504 신 사임당 (申師任堂) 1542 이우 (李瑀) 16C초 어숙권 (魚叔權) 1544 조헌 (趙憲) 1556 이항복 (李恒福) 1595 정종명 (鄭宗溟) 기호 학파 (畿湖學派) 주자학 (朱子學) 사단칠정 1575 서인 (西人) 노론 (老論) 사색 당파 (四色黨派) 서원 (書院) 영남 학파 유교 (儒敎) 정주학 (程朱學) 주기론 (主氣論) 주리론 (主理論)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80년 1575년 1501 이황 (李滉)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성혼 (成渾) 1548 김장생 (金長生) 1017 주돈이 (周敦燎)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337 정몽주 (鄭夢周) 1346 조준 (趙浚) 1435 김시습 (金時習) 1473 최세진 (崔世珍) 1491 이언적 (李彦迪) 1497 백인걸 (白仁傑)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정철 (鄭澈) 1537 권율 (權慄) 1538 김성일 (金誠一) 1539 이산해 (李山海)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56 한교 (韓嶠) 1557 이귀 (李貴) 1563 정엽 (鄭曄) 1574 김집 (金集) 1580 이서 (李曙) 1600 정양 (鄭瀁) 1606 송준길 (宋浚吉) 사서율곡언해 성학집요 (聖學輯要) 율곡전서 (栗谷全書) 1565 경연일기 (經筵日記) 1577 격몽요결 (擊蒙要訣) 도산십이곡 1592 금산 전투 (錦山戰鬪)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칠백 의총 (七百義塚)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마희경(馬羲慶) 이행(李荇) 이준경(李浚慶) 이지함(李之菡) 송인(宋寅) 박순(朴淳) 박광옥(朴光玉) 김계(金啓) 하응림(河應臨) 정여립(鄭汝立) 최경창(崔慶昌) 최립(崔岦) 이산보(李山甫) 김우옹(金宇顒) 을사사화(乙巳士禍) 이원익(李元翼) 허봉(許篈) 서성(徐渻) 송이창(宋爾昌) 선조(宣祖) 미암 일기(眉巖日記) 동호문답(東湖問答) 김류(金瑬) 을해당론(乙亥黨論) 자경별곡(自警別曲) 해주 향약(海州鄕約)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 곽우록(藿憂錄) 기정진(奇正鎭) 1583년 1572년 1577년 강릉 오죽헌 낙빈가(樂貧歌) 화석정(花石亭) 자운서원(紫雲書院) 파산서원(坡山書院) 도가(道家) 성리학(性理學) 심성론(心性論) 향약(鄕約) 연시조(連時調) 만언봉사(萬言封事)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이기론(理氣論) 기(氣)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이(理) 노경린(盧慶麟) 서울 문묘(--文廟) 파주시(坡州市)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논사단칠정서 무진봉사(戊辰封事) 율곡홍변진계소 입학도설(入學圖說) 풍악행(楓岳行)
▣ 주요 정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15 작품) [모두보기]
격몽요결 擊蒙要訣 어문/학습/예술 이이 (1145) 고산구곡가 高山九曲歌 시조 이이 (242) 낙지가 樂志歌 가사 이이 (40) 낙빈가 樂貧歌 가사 이이 (25) 풍악행 楓岳行 한시 이이(李珥) (18) 자경별곡 自警別曲 가사 이이 (18) 대학율곡선생언해 大學栗谷先生諺解 인문/사회과학 이이 (13) 맹자율곡선생언해 孟子栗谷先生諺解 인문/사회과학 이이 (12) 논어율곡선생언해 論語栗谷先生諺解 인문/사회과학 이이 (11) 매초명월 梅梢明月 한시 율곡 이이 (9) 만언봉사 萬言封事 개인기록물 이이 (8) 화석정 花石亭 한시 이이 (4)
◈ 참조 원문/전문
철학자 이율곡 선생의 어릴 때 근/현대 소설 계산인 (10) 활인수 活人樹 근/현대 소설 차상찬 (5) 율곡의 모부인 사임당 근/현대 수필 김동인 (4) 세 살 때부터 글을 지은 율곡 선생 이야기 근/현대 소설 기전 (2) 이우의 묘서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 조회순
2019.07.18
【학습】 이 작품은 제명에 의하면, '스스로 자기를경계하는 노래'라는 경계 가사이다. 향약의 덕업상권, 격몽요결의 '학습지도요목', 학규의 '모범사목' 등과 관련이 깊은데, '덕업상권'의 20개 조목과 특히관련이 깊다.
2024.09.24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감찰공(監察公) 이원수(李元秀)는 강직(剛直)하고 고결(高潔)하기로 유명한 사람이었다. 녹발홍안(綠發紅顔)의 청춘시대에 일찌기 강원도 강릉(江原道 江陵)에 찰방(察防)으로 있을 당시 장가를 들었으니 그 부인은 당시 명사(名士)로 경향에 이름이 쟁쟁하던 진사 신명화( 進士 申命和)의 귀동 따님었다.
2024.07.20
26. 평안남도 강동 동림사를 찾아서
【문화】 평양(平壤)에서 강동(江東)으로 가는 차편(車便)이 있다기에 평양역(平壤驛)으로 나가서 강동(江東)가는 기차를 탔다. 차내(車內)는 아침 일찍부터 어디론지 일하러 가는 사람들이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승호리(勝湖里)를 지나서 삼등(三登)으로 가는 도중에 평양시(平壤市)로 편입된 서부평야(西部平野)가 넓은 치마폭을 펼쳐 맞이한다. 봄 아지랑이가 아른거리는 속을 삼등역(三登驛)에 내린다.
2024.10.02
【문화】 파평면 율곡리 산 100번지에 있는 화석정은 수많은 사연이 있는 곳으로 옛날 한양과 송도를 거쳐 신의주로 가는 국도변 임진나루터 길목 우뚝 솟은 기암절벽에 자리잡고 있는데 고려말 대유(大儒) 야은 길재(冶隱 吉再)선생의 유지(遺址)로서 야은 선생은 목은 이색(牧隱 李穡)과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와 함께 삼은(三隱)이라 하였다.
2024.10.01
【문화】 명종이 등극하자 서정을 쇄신할 위사공신 홍언필이 영의정에 오르고 전임 대사헌 진복창(陳復昌)은 을사사화(乙巳士禍)직후 사관으로 있던 안명세(安明世)를 비롯하여 반대세력의 사람들을 무고한 죄목으로 죽이고 혹은 귀향을 보냄으로서 조정의 신진학자와 문신들을 일소하게 되었다.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한반도 심장부의 동서로 흐르는 젖줄인 맑고 맑은 임진강은 옛날 한양과 송도와의 중간 지점이며 선비와 학자들이 자주 찾아와 낚시와 시조를 읊고 즐기며 세월을 보냈던 아름다운 곳이다. 또한 밤중에 어화(魚火)의 등불을 비치며 오르내리는 고기잡이배들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광경이라 하겠다.
2019.07.16
【학습】 이 가사는 자연에 묻혀 사는 한가로운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가사로서 서사, 춘사, 하사, 추사, 동사, 결사의 6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4.10.22
【문화】 율곡 아버지에게는 결혼 후 십 년 동안 자식이 없었다. 상심한 율곡 아버지는 부인과 떨어져 친구들끼리 시조나 읊으며 지냈다. 그 후, 사오 년이 지난 뒤 율곡 아버지가 나귀를 타고 가다가 해가 저물어 주막에 묵게 되었다. 그리고 뛰어난 미모를 가진 주모를 보았다. 율곡 아버지는 그 주모가 마음에 들었고, 주모도 율곡 아버지를 사모하는 눈치였다. 그래서 율곡 아버지와 주모는 하룻밤을 보내게 되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최근등록순
2024.10.22
【문화】 율곡 아버지에게는 결혼 후 십 년 동안 자식이 없었다. 상심한 율곡 아버지는 부인과 떨어져 친구들끼리 시조나 읊으며 지냈다. 그 후, 사오 년이 지난 뒤 율곡 아버지가 나귀를 타고 가다가 해가 저물어 주막에 묵게 되었다. 그리고 뛰어난 미모를 가진 주모를 보았다. 율곡 아버지는 그 주모가 마음에 들었고, 주모도 율곡 아버지를 사모하는 눈치였다. 그래서 율곡 아버지와 주모는 하룻밤을 보내게 되었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02
【문화】 우리 나라 조선조에는 여성들의 개가금지법으로 인하여 일부종사를 기본이념으로 삼았기 때문에 소녀과부를 비롯 수절한 열녀, 열부가 많이 속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갖은 사연도 많았거니와 관하 자운서원경내에 있는 율곡선생님 내외분의 분묘가 전후면에 있는 것을 보게되어 누구나 의아심을 갖게 된다.
2024.10.02
【문화】 파평면 율곡리 산 100번지에 있는 화석정은 수많은 사연이 있는 곳으로 옛날 한양과 송도를 거쳐 신의주로 가는 국도변 임진나루터 길목 우뚝 솟은 기암절벽에 자리잡고 있는데 고려말 대유(大儒) 야은 길재(冶隱 吉再)선생의 유지(遺址)로서 야은 선생은 목은 이색(牧隱 李穡)과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와 함께 삼은(三隱)이라 하였다.
2024.10.01
【문화】 흙룡이 동해바다에서 침실로 들어와 신사임당 품에 안긴 태몽을 꾸고 탄생하신 율곡선생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어머니의 지도를 받아 3살때 시를 지었으며 7세에 사서제경(四書諸經)을 통달 화석정 8세 명시로 명성이 높았다.
2024.10.01
【문화】 명종이 등극하자 서정을 쇄신할 위사공신 홍언필이 영의정에 오르고 전임 대사헌 진복창(陳復昌)은 을사사화(乙巳士禍)직후 사관으로 있던 안명세(安明世)를 비롯하여 반대세력의 사람들을 무고한 죄목으로 죽이고 혹은 귀향을 보냄으로서 조정의 신진학자와 문신들을 일소하게 되었다.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한반도 심장부의 동서로 흐르는 젖줄인 맑고 맑은 임진강은 옛날 한양과 송도와의 중간 지점이며 선비와 학자들이 자주 찾아와 낚시와 시조를 읊고 즐기며 세월을 보냈던 아름다운 곳이다. 또한 밤중에 어화(魚火)의 등불을 비치며 오르내리는 고기잡이배들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광경이라 하겠다.
2024.09.24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감찰공(監察公) 이원수(李元秀)는 강직(剛直)하고 고결(高潔)하기로 유명한 사람이었다. 녹발홍안(綠發紅顔)의 청춘시대에 일찌기 강원도 강릉(江原道 江陵)에 찰방(察防)으로 있을 당시 장가를 들었으니 그 부인은 당시 명사(名士)로 경향에 이름이 쟁쟁하던 진사 신명화( 進士 申命和)의 귀동 따님었다.
2024.07.20
26. 평안남도 강동 동림사를 찾아서
【문화】 평양(平壤)에서 강동(江東)으로 가는 차편(車便)이 있다기에 평양역(平壤驛)으로 나가서 강동(江東)가는 기차를 탔다. 차내(車內)는 아침 일찍부터 어디론지 일하러 가는 사람들이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승호리(勝湖里)를 지나서 삼등(三登)으로 가는 도중에 평양시(平壤市)로 편입된 서부평야(西部平野)가 넓은 치마폭을 펼쳐 맞이한다. 봄 아지랑이가 아른거리는 속을 삼등역(三登驛)에 내린다.
2019.07.18
【학습】 이 작품은 제명에 의하면, '스스로 자기를경계하는 노래'라는 경계 가사이다. 향약의 덕업상권, 격몽요결의 '학습지도요목', 학규의 '모범사목' 등과 관련이 깊은데, '덕업상권'의 20개 조목과 특히관련이 깊다.
2019.07.16
【학습】 이 가사는 자연에 묻혀 사는 한가로운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가사로서 서사, 춘사, 하사, 추사, 동사, 결사의 6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이황 (34) 백과 성리학 (27) 백과 성혼 (17) 백과 이기론 (12) 백과 기대승 (11) 백과 동인 (10) 백과 (10) 백과 류성룡 (9) 백과 사단칠정 (9) 백과 송시열 (9) 백과 기축옥사 (8) 백과 김장생 (8) 백과 박순 (8) 백과 서경덕 (8) 백과 송익필 (8) 백과 유교 (8) 백과 주희 (8) 백과 (7) 백과 도산십이곡 (7) 백과 임진왜란 (7) 백과 격몽요결 (6) 백과 기호 학파 (6) 백과 서인 (6) 백과 송준길 (6) 백과 시조 (6) 백과 안향 (6) 백과 예학 (6) 백과 정철 (6) 백과 정호 (6) 백과 1574년 (5) 백과 1576년 (5) 백과 이순신 (5) 백과 정구 (5) 백과 정이 (5) 백과 효종 (5) 백과 1589년 (4) 백과 1749년 (4) 백과 고산구곡가 (4) 백과 김성일 (4) 백과 도산 서원 (4) 백과 명종 (4) 백과 언해 (4) 백과 영남 학파 (4) 백과 율곡전서 (4) 백과 이기이원론 (4) 백과 이기일원론 (4) 백과 이산해 (4) 백과 이언적 (4) 백과 이진상 (4) 정도전 (4) 백과 조광조 (4) 백과 조식 (4) 백과 주기론 (4) 백과 주돈이 (4) 백과 청구영언 (4) 백과 파주시 (4) 백과 한시 (4) 백과 1575년 (3) 백과 1577년 (3) 백과 1578년 (3) 백과 16세기 (3) 백과 가사 (3) 백과 권근 (3) 백과 권율 (3) 백과 기묘사화 (3) 백과 김자점 (3) 백과 김집 (3) 백과 맹자 (3) 백과 백인걸 (3) 백과 상소문 (3) 신 사임당 (3) 백과 연시조 (3) 백과 오륜가 (3) 백과 유희춘 (3) 백과 윤선도 (3) 백과 윤휴 (3) 백과 이기호발설 (3) 백과 이덕형 (3) 백과 이익 (3) 백과 임성주 (3) 백과 정여립 (3) 백과 정유재란 (3) 백과 정호 (3) 백과 조선 효종의 북벌 계획 (3) 백과 주리론 (3) 백과 주자학 (3) 백과 향약 (3) 백과 1545년 (2) 백과 1554년 (2) 백과 1570년 (2) 백과 1570년대 (2) 백과 1571년 (2) 백과 1573년 (2) 백과 1579년 (2) 백과 1592년 (2) 백과 1740년 (2) 백과 1954년 (2) 백과 강릉시 (2) 백과 강호사시가 (2) 백과 견회요 (2)
◈ 참조 키워드
설화 (7) 백과 파주시 (7) 백과 사서율곡언해 (4) 백과 가사 (3) 백과 신 사임당 (3) 백과 이우 (3) 백과 금강산 (2) 백과 나도밤나무 (2) 백과 남양주시 (2) 백과 밤나무 (2) 백과 화석정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당색 : 서인
형제 : 이우
스승 : 어숙권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