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강의 제247회 보충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47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남자(자녀),《荀子》〈正論〉‘聖王之子也,有天下之後也,執籍之所在也,天下之宗室也’; 石崇《王昭君辭》‘我本漢家子,將適單于庭’; 孔子, 성인남자 존칭, 5등 작위, 어린 새끼(鷄子), 싹, 地支(子丑寅卯...)
 
2. 命 - 갑골문,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지시를 내림 ; 口+令=命 ;《說文解字》「命,使也」;《文選》「凡尊者之言曰命 ; 大曰命,小曰令」 ;《禮記》〈中庸〉「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修道之謂敎。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君子戒慎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遠, 莫顯乎微. 故君子慎其獨也」; 蔡邕《獨斷》「出君下臣名曰命,施于竹帛名曰令,奉而行之名曰政。夫命失,則令不行;令不行,則政不正;政不正,則道不通;道不通,則邪臣勝;邪臣勝,則主威傷。」; 명령,《孟子》〈離樓上〉「天下有道,小德役大德,小賢役大賢;天下爲道,小役大,弱役强。斯二者,天也。順天者存,逆天者亡。齊景公曰:既不能令,又不受命。是絶物也,涕出而女於吳」
 

 
*《論語》〈學而〉
7. 子夏曰..賢賢易(역)色;事父母,能竭其力;事君,能致其身;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
 
1) 子夏 - 姓卜,名商,字子夏,孔子의 学生,공자보다 44세 어림, 공자사후에 魏나라에서 공자의 사상 전파.
2) 賢賢 - 앞의 賢은 존중하다의 동사, 뒤의 賢은 어진 사람의 명사.
3) 易 - 첫째, 바꾸다 ; 둘째, 경시하다
4) 色 - 첫째,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 ; 둘째, 태도, 행동
5) 竭 -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것이 바로 孝(心力)
6) 致其身:致는 盡力 또는 바치다(獻納), 棄私心
7) 雖 - 비록, 盡管
8) 未學 - 배운 적이 없다
 
 
*毛澤東 - 不到長城非好漢
 
* 人生不到張家界, 百歲豈能稱老翁
* 五嶽(岳)歸來不看山, 黃山歸來不看嶽(岳)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강의 제248회 보충설명
• 사기강의 제247회 보충설명
• 사기강의 제246회 보충설명
(2019.11.21. 14:29)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