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강의 제252회 보충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52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論語》〈學而〉
10.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必聞其政,求之與,抑與之與?”子貢曰: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夫子之求之也,其諸異乎人之求之與?
 
1) 子禽 - 姓陳, 名亢,字子元,孔子보다 40세 어림,《史記》〈仲尼弟子列傳〉에 없어서 공자의 제자가 아니라는 설이 유력 ;
2) 子貢 - 姓端木, 名賜,字子貢, 衛나라 출신, 공자보다 31세 어림, 말을 잘하고《史記》〈仲尼弟子列傳〉에 의하면 재산 千金의 상인 ;
3) 夫子 - (1) 大夫 관직을 했던 사람의 경칭 ; (2) 선생님의 칭호 ; (3) 논어에서는 공자를 가리키는 존칭 ;
4) 邦 - 할거하던 제후국 ;
5) 求 - 요구하다 ;
6) (之)與 - 가벼운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의문조사, 與는 歟와 동일 ;
7) 抑(억) - 선택을 나타내는 連詞, 或是, 還是(아니면) ;
8) 與之與 - 앞의 與는 동사, 주다 ; 뒤의 與는 의문조사 ;
9) 溫、良、恭、儉、讓 - 溫和, 善良, 恭敬, 節儉, 謙讓 ;
10) 其諸 - 긍정의 語氣詞, 或者, 大槪
 

 
1. 故 - 金文, 원래는 노인을 때려죽임 ;《說文解字》「故,使爲之也」; 이전의,《論語》〈爲政〉「温故而知新, 可以爲師矣」;《論語》〈秦伯〉「故舊不遺,則民不偸」 ;《孟子》〈梁惠王〉「所謂故國者,非謂有喬木之謂也,有世臣之謂也」;《史記》〈李將軍列傳〉「程不識故與李广俱以邊太守將軍屯」;《穀梁傅》文公十八年「冬,十月,子卒。子卒不日,故也」; 의외사건,《周禮》〈天官〉「國有故」; 의도적으로,《史記》〈陳涉世家〉「廣故數言欲亡」; 원인(까닭),《史記》〈留侯世家〉「夫秦無道,故沛公得至此」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강의 제253회 보충설명
• 사기강의 제252회 보충설명
• 사기강의 제251회 보충설명
(2019.12.24. 10:4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