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230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0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 水深難量(可測), 人心難測 《史記》〈淮陰侯列傳〉「始常山王、成安君爲布衣時,相與爲刎頸之交……此二人相與,天下至歡也。然而卒相禽者,何也?患生于多欲,而人心難測也」; 元•關漢卿《哭存孝》「二萬丈水深須見底,只有人心難忖量」

 
1. 少 - 갑골문, 원래는 규모가 작거나 수량이 적은 것 ;《說文解字》「少,不多也」 ; 적다,《韓非子》〈五蠹〉「人民少而財有餘」; 부족,《史記》〈平原君虞卿列傳〉「今少一人,願君即以遂備員而行矣」; 賈誼《治安策》「欲天下之治安,莫若衆建諸侯而少其力, 力少則易使之易,国小則亡邪心」; 어릴,《論語》〈季氏〉「少之時,血氣未定,戒之在色;及其壯也,血氣方剛,戒之在鬪;及其老也,血氣既衰,戒之在得」皇疏「謂三十以前也」;《孟子》〈萬章上〉「人少,則慕父母,知好色,則慕少艾,有妻子則慕妻子,仕則慕君,不得於君則熱中。大孝終身慕父母;五十而慕者,予於大舜見之矣」; 점차,《莊子》〈徐無鬼〉「今予病少痊, 予又且復游於六合之外」; 순서상 뒤의,《戰國策》〈趙策〉「丈夫亦愛憐其少子乎」(触龍說趙太后의 故事)
 

 
* 人生3不幸
a. 少年喪父、中年喪妻、老年喪子。
b. 一, 少年得志(登科, 才勝薄德),二, 飛來横財,三, 豪門出身(금 수저)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231회 보충 설명
• 사기 강의 제230회 보충 설명
• 사기 강의 제229회 보충 설명
(2019.05.11. 13:5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