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231회 보충 설명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231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2. 衛 - 갑골문, 원래는 부대가 도로 양쪽을 따라서 경계하는 것 ;《說文解字》「衛,宿衛也」; 호위병,《左傳》「秦康公送公子雍於晋,曰..文公之入也無衛,故有呂、却之難, 乃多與之徒衛」; 화살 깃털,《論衡》〈儒增〉「楚熊渠子出,見寢石,以爲伏虎, 將弓射之,矢沒其衛」; 주나라의 제후국, 周武王弟康叔封地。至懿公爲狄所滅。戴公野處漕邑,文公又徙居楚丘。秦始皇既統一全国,獨置衛君,爲附庸,至二世元年廢 ; 강 이름,《書經》〈禹貢〉「恒、衛既從,大陸既作」; 衛子夫와 衛靑
 
3. 康 - 갑골문, 원래는 바람에 곡식 낱알이 떨어짐 ;《說文解字》「穅,穀皮也」; 5거리, 대로,《史記》〈孟子荀卿列傳〉「於是齊王嘉之,自如淳于髡以下,皆命曰列大夫,爲開第康壯之衢,高門大屋,尊寵之」;《爾雅》〈釋宮〉「一達謂之道路,二達違之歧旁,三達謂之劇旁,四達謂之衢,五達謂之康,六達謂之壯,七達謂之劇驂,八達謂之崇期,九達謂之逵」; 편안한,《禮記》〈禮運〉「如有不由此者,在執者去,衆以爲殃,是謂少康」;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232회 보충 설명
• 사기 강의 제231회 보충 설명
• 사기 강의 제230회 보충 설명
(2019.05.12. 13:5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