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6년
2016년 12월
2016년 12월 5일
2016년 11월
2016년 11월 19일
2016년 11월 17일
2016년 11월 1일
2016년 10월
2016년 10월 31일
2016년 10월 26일
2016년 10월 23일
2016년 10월 12일
2016년 10월 11일
2016년 10월 7일
2016년 10월 6일
2016년 10월 4일
2016년 9월
2016년 9월 27일
2016년 9월 26일
2016년 9월 25일
2016년 9월 22일
2016년 9월 20일
2016년 9월 13일
2016년 9월 12일
2016년 9월 10일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8일
2016년 9월 7일
2016년 9월 6일
설악산 백담사. 5-2 (2016. 9. 6)
2016년 9월 5일
2016년 9월 2일
2016년 9월 1일
2016년 8월
2016년 8월 13일
2016년 8월 12일
2016년 8월 11일
2016년 8월 10일
2016년 8월 9일
2016년 8월 8일
2016년 8월 3일
2016년 8월 2일
2016년 8월 1일
2016년 7월
2016년 7월 31일
2016년 7월 30일
2016년 7월 25일
2016년 7월 24일
2016년 7월 23일
2016년 7월 22일
2016년 7월 21일
2016년 7월 20일
2016년 7월 10일
2016년 6월
2016년 6월 22일
2016년 6월 21일
2016년 6월 15일
2016년 6월 14일
2016년 6월 13일
2016년 6월 12일
2016년 6월 10일
2016년 6월 9일
2016년 6월 8일
2016년 6월 7일
2016년 6월 4일
2016년 6월 3일
2016년 6월 2일
2016년 6월 1일
2016년 5월
2016년 5월 31일
2016년 5월 30일
2016년 5월 25일
2016년 5월 24일
2016년 5월 5일
2016년 5월 1일
2016년 4월
2016년 4월 30일
2016년 4월 28일
2016년 4월 12일
2016년 4월 6일
2016년 3월
2016년 3월 12일
2016년 3월 11일
2016년 3월 10일
2016년 3월 9일
2016년 3월 6일
2016년 3월 5일
2016년 3월 4일
2016년 3월 3일
2016년 3월 2일
2016년 2월
2016년 2월 21일
2016년 2월 11일
2016년 2월 4일
2016년 1월
2016년 1월 27일
2016년 1월 15일
2016년 1월 13일
2016년 1월 12일
2016년 1월 11일
about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내서재
추천 : 0
백담사(百潭寺) 인제군(麟蹄郡) # 설악산
【여행】
(2017.12.18. 17:25) 
◈ 설악산 백담사. 5-2 (2016. 9. 6)
설악산 백담사에 대하여 포스팅하고 있다. 늘은 어제의 수심교(修心橋)에 이어 범종루와 만해 기념관에 대하여 알아본다.
설악산 백담사에 대하여 포스팅하고 있다. 잘 아시다시피 백담사는 설악산 국립공원내 위치하며 교과서에 나왔던 <<님의 침묵>>으로 알려진 만해(卍海) 한용운스님과 제5공화국의 전대통령이 있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오늘은 어제의 수심교(修心橋)에 이어 범종루와 만해 기념관에 대하여 알아본다.
 
 
▼ 템플스테이 하면 좋겠다.
 
▼ 범종루
범종루 안에 운판, 법고, 범종, 목어가 보인다.
 
 
▼ 금강문을 쓴 무림 김영기님의 글씨다.
 
 
▼ 백담사 통일대종이라 표시되어있다.
 
 
▼ 범종루 측면
 
▼ 범종루 뒷면
 
 
▼ 만해 한용운 (1879~1944) 흉상(胸像)과 시비(詩碑)
 
▼ 비에 젖은 만해 흉상(胸像)
 
▼ 님만 님이 아니라
기룬(그리운) 것은 다 님이다. -만해-
 
▼ 한용운의 나룻배와 행인(앞면) 이 적힌 시비
 
 
▼ 1917년 지은 한용운의 오도송(悟道頌, 뒷면): 오도송은 자신의 깨달음을 읊은 시를 말한다.
 
男兒到處是故鄕(남아도처시고향) : 남아가 가는 곳은 어디나 고향인 것을
幾人長在客愁中(기인장재객수중) : 그 몇 사람 객수(客愁) 속에 길이 갇혔나
一聲喝破三千界(일성갈파삼천계) : 한 마디 버럭 질러 삼천세계(三千世界) 뒤흔드니
雪裡桃花片片紅(설리도화편편홍) : 눈 속에 점점이 복사꽃 붉게 지네.
 
 
 
▶백담사 만해 기념관 : 무료 입장
 
만해 기념관은 만해의 민족사랑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97년 약 100평 규모로 개관하였다. 기념관 앞뜰에는 시 << 나룻배와 행인: 앞>> ,<<오도송(悟道頌):뒤>>을 새긴 비와 만해 스님 흉상이 나란히 서 있다.
 
기념관 내부에는 만해스님의 일대기와 만해 스님을 기리는 후학들이 만든 조각품, 초상화, <<조선 불교 유신론>>, <<불교대전>>, <<님의 침묵>>, 대한민국 건국 공로 훈장 등 유물 80여 점이 전시중이다.
 
 
 
▼석주스님의 글씨다.
 
▼여초 김응현의 글씨다.
 
 
 
 
 
 
南國黃花早未開 : 남국의 국화꽃 채 피지 않고
江湖薄夢入樓臺 : 강호에 노는 꿈이 누대에 머물렀네
雁影山河人似楚 : 기러기 그림자가 산하에 인간의 형상처럼 비추고
無邊秋樹月初來 : 끝없는 가을 나무 사이로 달이 뜨네.
 
 
 
▼승려·시인·독립운동가 한용운 기념주화(한국 조폐공사)
 

 
▶만해 한용운의 일생
 
ⓐ본관은 청주(淸州). 본명은 정옥(貞玉), 아명은 유천(裕天). 법명은 용운, 법호는 만해(萬海, 卍海). 충남 홍성에서 1879년 탄생.
 
▼ 충남 홍성 생가
 
ⓑ 한응준(韓應俊)의 차남이다. 유년시대에 관해서는 본인의 술회도 없고 측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유년시대는 대원군의 집정과 외세의 침략 등으로 나라 안팎이 어수선한 시기였다. 그 불행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여건은 결국 그를 독립 운동가로 성장시킨 간접적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4세 때 임오군란(1882)이 일어났으며, 1884년 6세 때부터 향리 서당에서 10년 동안 한학(漢學)을 익혔다. 14세에 고향에서 성혼의 예식을 올렸다. 1894년 16세 되던 해 동학란(東學亂)과 갑오경장이 일어났다.
 
ⓓ ‘나는 왜 중이 되었나.’라는 그 자신의 술회대로 넓은 세계에 대한 관심과 생활의 방편으로 집을 떠나 1896년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입산하여 처음에는 절의 일을 거들다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 출가 직후에는 오세암에 머무르면서 불교의 기초지식을 섭렵하면서 선(禪)을 닦았다. 이후 다른 세계에 대한 관심이 깊은 나머지 블라디보스톡 등 시베리아와 만주 등을 여행하였다.
 
ⓕ 1905년 재입산하여 설악산 백담사(百潭寺)에서 연곡(連谷)을 은사로 하여 정식으로 득도(得度)하였다. 불교에 입문한 뒤로는 주로 교학적(敎學的) 관심을 가지고, 대장경을 열람하였으며, 특히 한문으로 된 불경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 즉 불교의 대중화 작업에 주력하였다.
 
ⓖ 1908년 5월부터 약 6개월간 일본을 방문, 주로 토쿄(東京)와 교토(京都)를 중심으로 새로운 문물을 익히고, 일본의 풍물을 몸소 체험하였다. 일본 여행 중에 3·1독립운동 때의 동지가 된 최린(崔麟) 등과 교유하였다.
 
ⓗ 1910년에는 불교의 유신을 주장하는 논저 ≪조선불교유신론≫을 저술하였다. 또한 1910년 한일합방이 되면서 국권은 물론, 한국어마저 쓸 수 없는 피압박 민족이 되자, 그는 국치의 슬픔을 안은 채 중국 동북삼성(東北三省)으로 갔다. 이곳에서 만주지방 여러 곳에 있던 우리 독립군의 훈련장을 순방하면서 그들에게 독립정신과 민족혼을 심어주는 일에 전력하였다.
 
▼ 조선불교유신론
 
ⓘ 1914년≪불교대전 佛敎大典≫과 함께 청나라 승려 내림(來琳)의 증보본에 의거하여 ≪채근담 菜根譚≫ 주해본을 저술하였다.
 
ⓙ 1918년 월간 ≪유심 惟心≫이라는 불교잡지를 간행하였다. 불교의 홍포와 민족정신의 고취를 목적으로 간행된 이 잡지는 뒷날 그가 관계한 ≪불교≫ 잡지와 함께 가장 괄목할 만한 문화사업의 하나다.
 
ⓚ 1919년 3·1독립운동 때 백용성(白龍城) 등과 함께 불교계를 대표하여 참여하였다. 그는 독립선언문의 내용을 둘러싸고 최남선(崔南善)과 의견 충돌을 하였다.내용이 좀 더 과감하고 혁신적이어야 하겠다고 생각하였으나, 결국 마지막의 행동강령인 공약 3장만을 삽입시키는 데 그쳤다.
 
ⓛ 1920년 만세사건의 주동자로 지목되어 재판을 받아 3년 동안 옥살이를 하였다. 출옥 후에도 일본 경찰의 감시 아래에서 강연 등 여러 방법으로 조국독립의 정당성을 설파하였다.
 
ⓜ 1925년 오세암에서 선서(禪書) ≪십현담주해 十玄談註解≫를 탈고하였다.
 
ⓝ 1926년 한국 근대시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인정받는 대표적 시집 ≪님의 침묵≫을 발간하였다. 이곳에 수록된 88편의 시는 대체로 민족의 독립에 대한 신념과 희망을 사랑의 노래로서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1927년 일제에 대항하는 단체였던 신간회(新幹會)를 결성하는 주도적 소임을 맡았다. 그는 중앙집행위원과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자리를 겸직하였다. 나중에 신간회는 광주학생의거 등 전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 추진되었다.
 
ⓟ 1930년≪불교≫라는 잡지를 인수하여 그 사장에 취임하였다. 그전까지는 권상로(權相老)가 맡아오던 이 잡지를 인수하여 불교를 널리 알리는 데에 온 정력을 기울였다. 특히, 고루한 전통에 안주하는 불교를 통렬히 비판하였으며, 승려의 자질향상·기강확립·생활불교 등을 제창하였다.
 
ⓠ 1933년 55세 때 부인 유씨(兪氏)와 다시 결합하였고 성북동에 심우장을 짓다.
 
ⓡ 1933년≪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 黑風>을 연재하였고, 이듬해에는 ≪조선중앙일보≫에 장편 <후회 後悔>를 연재하였다. 이러한 소설을 쓴 까닭은 원고료로 생활에 보탬을 얻기 위한 까닭도 있지만 그보다도 소설을 통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하려는 의도가 더 큰 것으로 이해된다.
 
ⓢ 1938년 그가 직접 지도해오던 불교계통의 민족투쟁비밀결사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이 일어났고, 많은 후배 동지들이 검거되고 자신도 고초를 겪었다. 이 시기에 ≪조선일보≫에 <박명 薄命>이라는 소설을 연재하였다.
 
ⓣ 1939년 회갑을 맞으면서 경상남도 사천군 다솔사(多率寺)에서 몇몇 동지들과 함께 자축연을 가졌다. 다솔사는 당시 민족독립운동을 주도하던 본거지였다.
 
ⓤ 1944년 6월 29일 성북동의 심우장(尋牛莊)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동지들에 의하여 미아리 사설 화장장에서 다비된 뒤 망우리 공동묘지에 유골이 안치되었다.
 
▼ 심우장
 
ⓥ 친하던 벗으로는 이시영(李始榮)·김동삼(金東三)·신채호(申采浩)·정인보(鄭寅普)·박광(朴珖)·홍명희(洪命熹)·송월면(宋月面)·최범술(崔凡述) 등이 있었으며, 신채호의 비문은 바로 그가 쓴 것이다.
 
ⓦ 1962년에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1967년 파고다 공원에 용운당 만해 대선사비가 건립되었다.
 
▼ 파고다 공원 만해 선사비
 
 
ⓨ 1997년 백담사 만해 기념관 건립되다.
 
 
출처: 민족문화대백과,문화재청.백담사 홈페이지
백담사(百潭寺) 인제군(麟蹄郡) # 설악산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설악산 백담사. 5-3 (2016. 9. 7)
• 설악산 백담사. 5-2 (2016. 9. 6)
• 설악산 백담사. 5-1 (2016. 9. 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여행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설악산 (2)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