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199회 보충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199회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내용입니다.
4. 少 - 갑골문, 원래는 규모가 작거나 수량이 적은 것 ; 《說文解字》:「少,不多也」 ; 적다,《韓非子》〈五蠹〉「人民少而財有余」; 부족,《史記》〈平原君虞卿列傳〉「今少一人,愿君即以遂備員而行矣」; 賈誼《治安策》「欲天下之治安,莫若衆建諸侯而少其力」; 어릴,《孟子》〈萬章上〉「人少,則慕父母,知好色,則慕少艾,有妻子則慕妻子,仕則慕君,不得於君則熱中。大孝終身慕父母;五十而慕者,予於大舜見之矣」; 점차,《莊子》〈徐无鬼〉「今予病少痊」
 
 
* 人生3不幸
a. 少年喪父、中年喪妻、老年喪子。
b. 一, 少年得志(登科, 才勝薄德),二, 飛來横財,三, 豪門出身(금 수저)
 
 
* 한반도 정세-변화
《周易》〈系辭下〉「窮則變,變則通,通則久」
 
《呂氏春秋》〈博志〉「全則必缺,極則必反」
 
《史記》〈田叔列傳〉「夫月滿則虧,物盛則衰,天地之常也。」
 
劉向 《戰國策》〈秦策三〉「日中則移,月滿則虧,物盛則衰」
 
唐·劉 束《隋唐嘉話》中卷「臣聞邪不犯正,若使咒臣,必不得行。」
 

 
1. 初 - 갑골문, 원래는 사람이 옷을 만들어 입으면서 몸을 가림 or 칼을 사용하여 옷감을 잘라서 옷을 만드는 처음 ;《說文解字》「初,始也。從刀從衣。裁衣之始也」; 처음에, 陶淵明《桃花源記》「初極狹,才通人。復行數十步,豁(활)然開朗」; 《資治通鑑》〈赤壁之戰〉初,魯肅聞劉表卒, 言於孫權」; 초순, 梁啓超《譚嗣同傳》「八月初, 上召見袁世凱, 特賞侍郞」; 첫 번째(the first) ; 근원, 韓愈《符讀書城南》“欲知學之力, 賢愚同一初”; 初夜(저녁의 시작, 신혼 첫날밤) ; 성씨(出自熊氏,......湯之支裔有初氏) ; 初(朔)日, 週, 旬, 望, 月, 半年(小半年-3, 大半年-9), 年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사기 강의 제200회 보충
• 사기 강의 제199회 보충
• 사기 강의 제198회 보충
(2018.07.02. 13:0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