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일반 (일자별)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강화도 정족산성 설경(雪景)
올겨울에 눈다운 눈(雪)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휴일 오후에 눈이 내린다는 기상 예보를 믿고 강화도 전등사를 에워싸고 있는 정족산성(삼랑성) 성곽길을 돌아보려고 갔다. 운 좋게 눈이 내리다 그치길 반복하면서 멋진 설경을 담을 수 있었다.
올겨울에 눈다운 눈(雪)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휴일 오후에 눈이 내린다는 기상 예보를 믿고 강화도 전등사를 에워싸고 있는 정족산성(삼랑성) 성곽길을 돌아보려고 갔다. 운 좋게 눈이 내리다 그치길 반복하면서 멋진 설경을 담을 수 있었다.
\na-;▼정족산성(삼랑성,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다 하여 붙인 이름) 성곽길
 
\na-;▼전등사 남문 주차장 옆 소나무
 
\na-;▼남문(종해루)은 가장 낮은 곳에 있다. 1793년 문루를 세웠고 현재 남문은 1976년에 복원하였다.
 
 
\na-;▼멀리 동문에서 북문으로 가는 성곽길이 보인다.
 
\na-;▼동문
 
\na-;▼동문에서 북문으로 가는 성곽길
 
\na-;▼북문(4개문 중에서 가장 작은 문)
 
\na-;▼서문
 
\na-;▼정족산 정상에서 서문으로 내려 온 성곽길이 보인다.
 
\na-;▼전등사 설경
 
 
 
\na-;▼남문 안쪽
 
▣정족산성(삼랑성,사적 130호) 정보
\na-;▼삼랑성
 
☞정족산(鼎足山)은 해발 222 m로 3개의 봉우리가 세발 달린 솥(鼎)의 발(足)처럼 생겼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정족산성은 전등사를 에워싸고 있으며 천연석으로 쌓은 성으로 약 2.3km다. (약 1시간 코스)
☞3국 시대 축조되어 고려 ,조선시대에 보수, 중수했다.
☞사적 130호인 산성은 동문, 남문, 서문, 북문의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낮은 남문은 1739년(영조 15)에 문루를 세워고 종해루(宗海樓)라 불렀다.
☞1866년 병인양요 때 양헌수 장군의 호랑이 잡던 포수들로 구성된 조선군이 정족산성 남문과 동문을 공격한 프랑스 군을 격퇴해 승전했다.
☞양헌수 승전비는 동문 안쪽 비각 안에 있다.
\na-;▼성곽길 추천 코스
전등사 남문 매표소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바퀴 → 남문(종해루) → 동문 → 북문 → 정상 → 서문 → 남문 → 전등사
\na-;▼성곽길 주의사항
☞일부 구간은 성곽길을 따라 걸을 때 가드 레일이 없어 밑으로 추락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북문에서 정상으로 가는 구간은 눈이 내릴 때 미끄러우니 조심해야 한다.
\na-;▼입장료 및 주차료
정족산성 성곽길을 가려면 전등사 남문이나 동문으로 접근해야 하며, 전등사 입장료는 3,000원이고 소형차 주차료는 2,000원이다.
\na-;▼대중교통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신촌역(홍대입구역, 합정역 경유)에서 2000번 버스나 지하철 김포 라인 구래역에서 70번 버스를 이용한다.(배차 간격 약 40분)
\na-;▼정족산성 위치
 
 

 
※ 원문보기
【여행】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 프랑스 군을 물리친 조선군(정족산성 전투)
• 강화도 정족산성 설경(雪景)
• 석모도 보문사(후편)
(2020.02.17. 10:1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