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코로나19로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가 지속되고 있다. 마스크는 부족하고 백신 개발은 언제쯤 될지 몰라 답답하다. 그래서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면역력을 강화하라고 합니다.
|
|
|
|
|
|
|
강화도 전등사(傳燈寺)는 군사 요충지인 정족산성(삼랑성) 안에 있습니다. 병인양요 때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의 공격을 막아내 정족산 사고에 보관 중이던 조선왕조 실록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
|
|
|
|
|
|
|
|
|
|
|
전등사는 다른 절들과 달리 호국 사찰로 일주문과 사천왕상없는 대신에 산성의 동문과 남문(종해루)이 있고, 화약고와 관사 등 군사시설들이 사찰 내 있었음을 정족산성도는 보여줍니다.
|
|
|
|
|
|
|
|
|
|
|
|
▼정족산성도를 보면 장사각(사고), 선원전(왕실 족보),취향당, 포량고, 화약고, 관사 등의 시설과 대웅전, 약사전 등의 사찰 건물들이 표시되어 있다.
|
|
|
|
|
|
|
|
|
|
|
|
|
오늘 정족산 사고, 취향당, 느티나무와 열매가 안 열린다는 은행나무로 전등사를 마무리합니다.
|
|
|
|
|
|
|
|
|
|
|
|
▼ 현재 전등사 배치도
|
|
|
|
|
|
|
|
|
|
|
|
|
▶정족산 사고
|
|
|
|
|
|
☞조선왕조 실록을 1660년부터 보관하던 4대 사고 (史庫) 중 하나
|
|
|
|
|
|
☞4대 사고: 오대산 사고(월정사), 태백산 사고(각화사), 적상산 사고(안국사). 정족산 사고(전등사)
|
|
|
|
|
|
☞1909년 오랫동안 보존해온 조선왕조실록 정족산 사고본(史庫本)은 서울로 옮겼고, 지금은 규장각에 보관하고 있다. 4대 사고 중 나머지 무주 적상산본은 북한 김일성 종합대학, 태백산본은 국가 기록원, 오대산본은 일본 도쿄 국제대학으로 가져가(일부 소실) 보관 중
|
|
|
|
|
|
▶사고(史庫) 구성
|
|
|
|
|
|
☞사고는 기본적으로 2개의 건물로 구성 : 실록이나 의궤 등 국가의 주요 기록물을 보관하는 실록각(實錄閣) 또는 사각(史閣)과 왕실의 족보류를 보관하는 선원각(璿源閣)
|
|
|
|
|
|
☞실록을 정기적으로 햇볕과 바람에 말리는 일을 추진하는 포쇄각과, 실록을 관리하는 건물인 참봉청(參奉廳), 군기시(軍器寺) 등의 건물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사고 주변에는 방화벽을 설치하여 화재 대비함
|
|
|
|
|
|
☞실록각은 2층의 건물로서, 실록은 주로 2층에 보관하였는데, 정족산 사고의 경우에는 해풍(海風)을 고려하여 1층 건물.
|
|
|
|
|
|
|
|
|
|
|
|
▼정면이 사고(史庫) 삼문(三門)이고 오른쪽이 취향당(翠香堂) 건물이다.
|
|
|
|
|
|
|
|
|
|
|
|
|
▼일제 강점기 정족산 사고 사진으로 취향당 방향에서 찍은 것 같다.
|
|
|
|
|
|
|
|
|
|
|
|
|
▼복원한 현재 건물 앞면(왼쪽은 장사각과 오른쪽은 선원보전)
|
|
|
|
|
|
|
|
|
|
|
|
|
후면
|
|
|
|
|
|
|
|
|
|
|
|
|
▼사고에서 바라본 시원한 전경
|
|
|
|
|
|
|
|
|
|
|
|
|
|
|
|
|
|
|
|
▼사고를 지키던 취향당 건물(현재 사찰에서 사용 중)
|
|
|
|
|
|
|
|
|
|
|
|
|
|
|
|
|
|
|
|
▼영조 어필이라는 "취향당" 현판은 대조루에 있다 하나 닫혀있어 못 봄
|
|
|
|
|
|
|
|
|
|
|
|
|
▼마당의 느티나무(약 400년)의 전설
|
|
|
|
|
|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이 정족산성을 공격하러 올 때 이 느티나무가 울었다 하여 "자명목(自鳴木, 스스로 우는 나무)"으로도 불린다.
|
|
|
|
|
|
|
|
|
|
|
|
|
▼과거의 사진과 비교하니 느티나무가 많이 잘렸다.
|
|
|
|
|
|
|
|
|
|
|
|
|
▼소원 빌기와 솟대
|
|
|
|
|
|
|
|
|
|
|
|
|
▼느티나무, 소원 빌기, 범종루(좌측부터)
|
|
|
|
|
|
|
|
|
|
|
|
|
▼죽림다원(전통찻집) : 대추탕과 쌍화탕 각 7,000원
|
|
|
|
|
|
|
|
|
|
|
|
|
▼죽림다원 앞의 작은 연못
|
|
|
|
|
|
|
|
|
|
|
|
|
▼은행나무(2그루)의 전설
|
|
|
|
|
|
불교의 탄압이 심했던 조선 말기, 조정은 전등사를 탄압하고자 일을 꾸미다가 사찰의 은행나무를 발견하곤 나무의 평소 수확량의 두 배가 넘는 양의 은행을 조세로 걷을 것을 명했다 한다.
|
|
|
|
|
|
|
|
|
|
|
|
말도 안 되는 조세 징수에 견디다 못한 전등사의 스님들은 이 위기를 기도로써 헤쳐나가기로 하고 몇 날 며칠 온 정성을 다해 기도를 올린다.
|
|
|
|
|
|
|
|
|
|
|
|
“기도를 마치는 날, 하늘에서 새카만 구름이 몰려오고 온 사방에 벼락이 치기 시작했어요. 은행나무도 벼락을 맞았는데 그 후론 한 톨의 은행도 볼 수 없었답니다. 결국, 스무 가마니는커녕 은행 한 가마니도 세금으로 걷어갈 수 없게 되었지요.”
|
|
|
|
|
|
|
|
|
|
|
|
|
사찰 내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 용문사, 영동 영국사가 생각난다. 은행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리며 암, 수 따로 자란다. 열매가 맺히는 암은행나무는 냄새 때문에 가로수 기피하는 수종이다. 요즘은 유전자 검사로 숫 은행나무를 선별해 심으며, 크게 자라면 암나무 가지는 하늘로 뻗기보다 땅 방향으로 펑퍼짐하게 퍼져 숫 은행나무와 구별된다.
|
|
|
|
|
|
|
|
|
|
|
|
▼부도탑으로 남문 방향 우측에 있다.
|
|
|
|
|
|
|
|
|
|
|
|
|
▼남문(종해루)으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의 공격을 물리친 곳이다.
|
|
|
|
|
|
|
|
|
|
|
|
|
▼남문 주차장 주변 송림(松林)
|
|
|
|
|
|
|
|
|
|
|
|
|
|
|
|
|
|
|
|
|
|
|
|
|
출처: 강화군청, 인천 광역시, 전등사홈페이지, 문화재청, 구글, 네이버, 민족문화대백과
|
|
|
|
|
|
|
|
|
|
|
|
▶ 전등사 관람 정보
|
|
|
|
|
|
①주소 : 인천 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
|
|
|
|
|
②관람시간 : 08시~18:00(18:30)
|
|
|
|
|
|
③입장료 :3,000원(대웅보전 등 문화재를 제대로 볼 수 없는데....)
|
|
|
|
|
|
④주차료 : 2,000원(동문과 남문 주차장)
|
|
|
|
|
|
⑤홈페이지 http://www.jeondeungsa.org/
|
|
|
|
|
|
⑥대중 교통: 신촌역(홍대입구역, 합정역 경유) 출발하는 2000번 버스, 김포 라인 지하철 구래 역에서 70번 버스(배차 간격 40분)
|
|
|
|
|
|
|
|
|
|
|
|
▶전등사를 마무리하며
|
|
|
|
|
|
고려 충렬왕비인 정화궁주가 옥등과 대장경을 시주해 "진종사"에서 "전등사"로 바뀌었다.
|
|
|
|
|
|
|
|
|
|
|
|
현재 전등사의 중심 법당들은 광해군 때 다시 세워져 중건과 중수를 거듭해왔다. 정족산성이라는 전략적 요충지(남문, 화약고, 관사) 안에 있다보니 일주문, 사천왕상 등은 볼 수 없다.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정족산 사고와 화약창고 등의 군사시설이 "정족산성도"에 보인다.
|
|
|
|
|
|
|
|
|
|
|
|
1866년 병인양요 때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의 공격이 막기 위해 구성된 포수들(조선군)이 무사 귀환을 바라는 대웅보전 내부 기둥에 적은 이름도 볼 수 있다.
|
|
|
|
|
|
|
|
|
|
|
|
나부상,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의 전설을 지니고 있으며 목은 이색의 글, 영조 임금의 글씨라는 취향당 현판과 그리고 진한 전통차의 향기가 있는 다원, 사찰과 갤러리의 만남이 있다.
|
|
|
|
|
|
|
|
|
|
|
|
양헌수 승전비가 제 위치에서 벗어났으며, 문화재 관람비(입장료)를 보수 중인 문화재가 있음에도 입장료 3,000원은 조금 비싼 듯(석모도 보문사는 2,000원) 하다.
|
|
|
|
|
|
|
|
|
|
|
|
호국사찰 강화도 전등사와 정족산성(사적 130호) 성곽길(약 2.3km, 정족산 222m)을 함께 돌아보면 좋다. 특히 템플스테이하면서 정족산성에서 보는 해넘이가 멋지다고 한다.
|
|
|
|
|
|
|
|
|
|
|
|
대중교통은 접근하기 불편하며 전등사는 남문 주차장에서 올라가는 길이 동문 주차장에서 가는 길보다 완만하다.
|
|
|
|
|
|
|
|
|
|
|
|
▣강화도 볼거리
|
|
|
|
|
|
☞방직 공장을 카페로 개조한 조양 방직(신문리 미술관,☎0507-1307-2192, 아메리카노 7,000원)
|
|
|
|
|
|
|
|
|
|
|
|
|
★120년 된 한옥 천주 성당
|
|
|
|
|
|
https://jawkoh.blog.me/220372573354
|
|
|
|
|
|
★ 정묘호란의 현장(연미정)
|
|
|
|
|
|
https://jawkoh.blog.me/220375295335
|
|
|
|
|
|
이외에
|
|
|
|
|
|
☞초지진(☎032-930-7072), 광성보(1,100원/성인)
|
|
|
|
|
|
☞장호리 일몰
|
|
|
|
|
|
☞석모도 미네랄 온천(☎032-930-7053)
|
|
|
|
|
|
☞고려궁궐터와 강화산성
|
|
|
|
|
|
☞고려산 진달래
|
|
|
|
|
|
☞강화 갯벌
|
|
|
|
|
|
☞갑곶돈대, 용두돈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