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48강 (2017. 2. 17)
사기 강의 제148회 보충설명
- 2017년 2월 17일(금)
7. 西 - 갑골문, 원래는 고대에 여성이 짐을 꾸리는 포대 or 새가 새집에 들어감,《說文解字》“西,鳥在巢上, 日在西方而鳥棲”; 초청, 東主西賓, 作東(請客, shot↔dutch pay) ; 《儀禮》〈喪服》“故有東宮、有西宮、有南宮、有北宮,異居而同財,有餘則歸之宗,不足則資之宗”
 
8. 土 - 갑골문, 원래는 지면위에 흙 등을 세워 논 것 ;《說文解字》“土,地之吐生物者也”;《孟子》〈離婁〉“孟子告齊宣王曰:君之視臣如手足,則臣視君如腹心;君之視臣如犬马,則臣視君如国人 : 君之視臣爲土芥,則臣視君如寇仇”;《公羊傳》僖公三十一年“天子祭天,諸侯祭土”
 
9. 維 - 원래는 줄로 매의 두 발을 묶어 훈련시킴 ;《說文解字》“維,車盖系也”; 묶다,《爾雅》“諸侯維舟”
 
10. 顯 - 금문, 원래는 실로 보석 등 빛을 내는 물건을 묶어서 머리에 걸음 ; 《說文解字》“顯,頭明飾也”; 드러내다,《韓非子》〈難三〉“故法莫如顯,而術不欲見”; 나타나다, 柳宗元《永州八記》“嘉木立,美竹露,奇石顯”; 모두 아는,《史記》〈孫子吳起列傳〉“孫臏以此名顯天下”;《韓非子》“所說陰爲厚利而顯爲名高者也”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49강 (2017. 2. 24)
• 제148강 (2017. 2. 17)
• 제147강 (2017. 2. 10)
(2017.11.04. 13:2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