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59강 (2017. 5. 19)
사기 강의 제159회 보충설명
- 2017년 5월 19일(금)
5. 後 - 갑골문, 원래는 포박된 노예 또는 포로를 호송자의 뒤에서 끌고 감 ;《說文解字》“後,遲也”; 군주 ; 토지신,《周禮》〈大宗伯〉“王大封,則先告後土”; 군주의 부인,《禮記》〈曲禮〉“天子之妃曰後”; 뒤,《論語》〈雍也〉“子曰:孟之反不伐,奔而殿,將入門,策其馬,曰:非敢後也,馬不進也”; 미래의,《禮記》〈大學〉“知止而後有定,定而後能靜, 靜而後能安,安而後能慮, 慮而後能得”;《論語》〈子罕〉“後生可畏,焉知來者不如今也”;《史記》〈項羽本紀〉“天下初發難時,假立諸侯,後以代秦”
 
* 后 - 갑골문, 원래는 명령을 내리는 여왕 ;《說文解字》:后,繼體君也。 象人之形。施令以告四方”
 
6. 去 - 갑골문, 원래는 거주지를 떠나서 다른 지역으로 가는 것 ;《說文解字》“去,人相違也。”;《戰國策》“夫滙上之處女,有家貧而無燭者,處女相與語,欲去之”;제거하다,柳宗元《捕蛇者說》“去死肌,殺三虫”; 포기하다,《孟子》〈告子下〉“是君臣、父子、兄弟盡去仁義, 懷利以相接, 然而不亡者, 未之有也”; 사망하다, 陶淵明《雜詩》“日月還復周, 我去不再陽”; 도망가다,《孟子》〈公孙丑下〉“委而去之”
 
7. 縱 - 예서, 원래는 묶인 끈을 풀고 도망가게 함 ;《說文解字》“縱,緩也。一曰舍也”; 풀다,《左傳》昭公十年“我實縱欲,而不能自克也”
 
8. 馬 - 갑골문, 원래는 말 ;《說文解字》“馬,怒也。武也。象馬頭髦尾四足之形。凡馬之屬皆從馬”; 韓愈《馬說》“千里馬常有,而伯樂不常有”; 장기 ; 성씨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교안
• 제160강 (2017. 6. 2)
• 제159강 (2017. 5. 19)
• 제158강 (2017. 5. 12)
(2017.11.04. 15:3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