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6강 (2014. 7. 4)
사기 강의 제56회 보충설명
제56강, 2014, 7, 4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獬廌 - 일본-かいち, へチ(해치) ; 대만-국방부 헌병대의 흉장(상징) ; 한국-해태, 海駝, ヘ テ(해태), 일설에는 へチ(해치)를 잘못 표기해서 ヘテ(해태)라고 했다는 일본의 말도 안되 는 주장이 있다. 특이한 것은 한국의 해태는 뿔이 없다.
 
* 九牛一毛 - 《史記》〈報任安書〉“假令僕伏法受誅,若九牛亡一毛,與螻(땅강아지 루)蟻何 以異?”사마천, 李陵 장군, 무제, 궁형(腐刑), 자살을 생각하면서...
 
* 李 성씨의 유래 - 원래는 嬴姓 즉 顓頊-皐陶(堯, 관직은 大理)-伯益(大理)......理徵(理氏, 관 직 명칭을 따름, 商, 紂王에 의해 처형)-理利貞(商末周初, 모친과 도망 다니다가 李子(紫 桃) 먹고 살아남, 李氏로 바꿈 李利貞)......李耳(노자, 춘추시대, 노자가 李氏 ? 의문, 고대 에 老와 李는 동일 발음, 唐 황실 주장(선비족, 한국 이씨는? 전주, 청해...), 실제는 老氏 老聃)-6개 유래 ; 李, 李花, 李實(子)...《君子行》“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1. 歸 - 止+婦=歸 출가하는 것 ; 女……以夫爲家,故謂嫁曰歸也 ; 歸寧-출가한 여자가 친정 집에 부모를 뵈러 가는 것 ; 歸省-남녀불문, 결혼불문하고 부모님을 찾아뵈는 것
 
2. 陰 - 阝+음=陰, 원래는 산의 북쪽, 물의 남쪽 ; 북쪽, 생식기, 秋冬, 달, 여성, 몰래...
 
3. 修 - 彡터럭, 장식 삼+攸바 유=修, 원래는 장식하다 ; 다스리다, 자라다 王羲之《蘭亭集 序》“此地有崇山峻嶺,茂林修竹”
 
4. 德 - 갑골문, 원래는 가는 길을 똑바로 보다, 본성을 따르다, 자연에 순응하다 ; 彳조금 걸 을 척+悳덕 덕=德, 올라가다, 덕... ; 《荀子》〈非十二子〉“不知則問,不能則學,雖能必 讓,然後爲德。” ;《論語》〈里人〉“德不孤, 必有隣”
 
5. 往 - 갑골문, 원래는 가다
 
6. 滋 - 번식, 자라다, 더욱
 
7. 稍 - 원래는 벼의 끝부분 ; 점점, 작은
 
8. 失 - 원래는 날아가는 방향이 잘못된 화살 ; 잃어버리다
 
9. 權 - 원래는 중량을 재는 도구,《孟子》〈梁惠王上〉“權,然後知輕重;度,然後知長短”
 
10. 重 - 첫째, 千+里=重, 사람이 천리를 가다 ; 둘째, 壬짊어지다+東=重, 등에 배낭을 메다
 
11. 比 - 갑골문, 匕+匕=比 숟가락으로 음식물을 입에 넣음 ; 연달아서, 이어서
 
12. 干 - 갑골문, 범하다, 구하다, 주체...
 
13. 諫 - 言+柬가장 적당한 의견을 가려서 선택하다=諫
 
14. 聽 - 형성문자, 耳+德+壬=耳有所得, 또는 웃는 모습 ; 言聽計從
 
15. 商 - 갑골문, 원래는 둘 이상이 함께 상의하다 ; 坐商은 賈(고), 行商은 商 ; 장사
《史記》〈貨殖列傳〉“商不出則三寶(糧食, 器物, 財貨)絶”
 
16. 容 - 宀집 면+谷=容, 원래는 용납하다
 
17. 賢 - 貝돈+? 잘 관리하는=賢 돈을 관리하는 사람, 이재에 능한 사람, 능력있는 사람
 
18. 愛 - 원래는 조건 없이 주는 것 ;《韓非子》“愛多者則法不立,威寡者則下侵上”
 
19. 廢 - 广집 엄+發=廢, 원래는 집이 기울어 쓰러지다
 
20. 飢 - 食+几기구의 일종 궤=飢, 원래는 흉년, 오곡을 수확하지 못함
《墨子》〈七患〉“五穀不熟謂之飢”
 
21. 滅 - 원래는 불이 꺼지다 ; 家亡國滅(國家滅亡)
 
22. 祖 - 갑골문 男根 ; 示 조상+且남근, 생육, 힘을 주다=祖자손에게 힘을 주는 조상 ; 祖 禰(祖考) ;《周禮》〈考工記〉“左(동쪽)祖右(서쪽)社”王宮之左宗廟, 王宮之右社稷壇-서울 거리-동쪽은 양반, 서쪽은 전문직 중인(효자,통인,옥인,누하,체부,사직) ; 男左(東)女右(西) (군주의 입장에서)
 
23. 伊 - 人+尹다스리다=伊, 이, 그, 저 대부분 여성을 가리킴
 
24. 咎 - 人 +各사람의 잘못, 위배=咎 ; 재앙 ; 과실 ; 잘못
咎由自取 ; 病從口入, 禍從口出 ; 漢, 劉向 《列女傳》〈魯公乘姒〉 “非有天咎必有人禍”
 
25. 恐 - 갑골문, 원래는 매우 두려워하다 ; 懼, 怕 ;《素問》〈陰陽應象大論〉“在志爲恐,恐 傷腎”
 
26. 奔 - 大(사람)+止止止(빨리 달리는 모습)=奔 ; 私奔(여자가 정식 절차 없이 남자와 결합 하는 것 ; 《內記》“私奔爲妾”
 
27. 周 - 갑골문, 원래는 밭 가운데에 식물을 심은 모양, 둘러싸다, 보편, 완비, 주다
 
28. 訖 - 言+乞=訖, 원래는 완결하다 ; 마치다
 
29. 假 - 人+叚빌리다 가=假, 원래는 원본이 아닌 것 ; 가짜, 대리 ; 《韩非子》〈難二〉“周 公旦假为天子七年”
 
30. 元 - 二머리위의 물건+儿사람 인=元, 원래는 머리 위의 물건을 아이에게 주는 것
 
31. 龜 - 갑골문, 거북이
 
32. 敢 - 갑골문, 원래는 용감 ; 莫敢~감히 ~ 못하다 不敢 ; 《孟子》〈公孫丑下〉齊王 과의 대화“不敢請耳, 固所願也” ; 不敢當-겸손의 뜻으로 사용, 감히 대적하여 당해낼 수 없다 ; 堪當, 不堪當-능히 감당하여 해내지 못함.
 
33. 吉 - 갑골문, 원래는 무기를 용기(그릇)에 놓다 ; 吉祥
 
34. 先 - 갑골문, 止발가락+人=先 자기 발가락 앞에 있는 사람, 조상, 먼저
《莊子》〈刻意〉“不爲福先,不爲祸始”
 
35. 虐 - 虍+爪=虐, 원래는 호랑이 발톱으로 사람을 상하게 하다 ; 학대, 잔혹
 
36. 絶 - 絲+刀+人=絶사람이 칼로 실을 자름
 
37. 棄 - 갑골문, 원래는 버리다 ; 포기하다, 잊다, 위배...
 
38. 安 - 宀(집 면)+女(아이, 여성)=安 가족이 거처하는 곳 ; 평안...
 
39. 食 - 갑골문, 원래는 사람의 일생을 유지하는 물건 ; 《주례》“六穀之飯曰食”
 
40. 虞 - 虍+吳=虞, 원래는 신화전설에 나타나는 동물이름(騶虞) ;《說文解字》“虞,騶虞, 白虎黑文,尾長于身,仁兽,食自死之肉”
 
41. 性 - 갑골문, 원래는 자라다 ; 《荀子》〈性惡〉“不可学,不可事,而在人者謂之性”
 
42. 迪 - 길, 따르다, 가다, 열다
 
43. 率 - 갑골문, 원래는 데려가다......
 
44. 典 - 갑골문, 冊+大=典 중요한 책, 전고, 전례, 법률 ; 《爾雅》〈釋言〉“典, 經也”
 
45. 罔 - 무식, 어둡다, 깔볼, 속일, 멍할. 惘然無知,迷罔 ; 미혹《論語》〈爲政〉 “學而不思 則罔,思而不學則殆”
 
46. 喪 - 갑골문, 원래는 죽은 사람과 관계있는 일 ; 죽은 사람에 대하여 울음 ; 죽다 ; 잃다.
 
47. 曷 - 어찌, 蓋, 何
 
48. 降 - 갑골문, 원래는 내려가다, 오를 陟과 반대
 
49. 威 - 《설문해자》“威,畏也”
 
50. 命 - 口+令=命 ; 《文選》“凡尊者之言曰命” ; 大曰命,小曰令
 
51. 胡 - 갑골문, 원래는 소 목 아래에 늘어진 고기 ; 북방과 서쪽 이민족, 흉노 ; 胡虜-흉노 《史記》〈匈奴列傳〉“不知禮義,......壯者食肥美, 老者食其餘, 貴壯健, 賤老弱. 父死,妻其後 母;兄弟死,皆娶其妻妻之.
 
52. 至 - 갑골문, 원래는 도달하다 ; 후대에 到가 보편적으로 쓰임
 
53. 卒 - 원래는 노역할 때 입는 옷 ; 병졸
 
54. 東 - 갑골문, 원래는 해가 뜨는 곳 ; 주인
 
55. 盟 - 물그릇 떠놓고 해와 달 을 바라보며 맹세 ; 孟-첫번째 아이를 요리해 먹음
 
56. 津 - 원래는 강물이 흘러가는 곳
 
57. 會 - 원래는 만나다
 

 
〈里仁〉
 
子曰:「放於利而行,多怨。」
- 의거, 근거
 
子曰:「能以禮讓爲國乎,何有!不能以禮讓爲國,如禮何!」
何有 - 何難之有,즉 어렵지 않다 ; 如禮何 - 예를 어떻게 할 것인가
 
子曰:「不患無位,患所以立;不患莫己知,求爲可知也。」
所以立 - 立과 位는 통용,所以立은 所以位와 같다. 또는 직위를 담당할 재능 ; 莫己知 - 己知는 즉 知己이다. ; 爲可知 - 다른 사람에 의하여 알게 되는 지식(실력)
 
子曰:「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子出。門人問曰:「何謂也?」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
- 曾参, 曾子 ; - 관통 ; - 中心 ; - 如心 (己所不欲,勿施於人)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7강 (2014. 7. 18)
• 제56강 (2014. 7. 4)
• 제55강 (2014. 6. 27)
(2017.10.27. 18:4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