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4년
2014년 12월
2014년 12월 5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8일
2014년 11월 7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31일
2014년 10월 24일
2014년 10월 17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2일
2014년 9월 5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29일
2014년 8월 22일
2014년 8월 1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5일
2014년 7월 18일
2014년 7월 4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7일
2014년 6월 20일
2014년 6월 13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3일
2014년 5월 16일
2014년 5월 9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5일
2014년 4월 11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1일
2014년 3월 14일
2014년 3월 7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8일
2014년 2월 21일
2014년 2월 14일
2014년 2월 7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4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0일
2014년 1월 3일
제35강 (2014. 1. 3)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내서재
추천 : 0
【학습】
(2017.10.23. 13:49) 
◈ 제35강 (2014. 1. 3)
사기 강의 보충설명 35
제35강, 2014, 1, 3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慢(방자할)游(遊) - 제멋대로 놈 ; 漫(방종할)遊-마음 내키는 대로 돌아다님
 
* 元旦 - 陽曆 新年1일 , 새해 1월 1일, 역대 왕조의 正月은 다름 ; 전설에는 舜이 堯와 천지 에 제사지내는 날 ; 한무제 1월(孟喜月) 1일을 1년의 시작 ; 단어 최초출현-《晉書》》 “顓(頊)帝以孟夏正月爲元,其實正朔元旦之春。 ” ; 위진남북조시대 “正月朔日,謂之元 旦,俗呼爲新年。一歲節序,此爲之首” ; 별칭-春節(農曆, 陰曆), 元旦(陽曆), 元正, 元辰, 元春, 元朔, 新年
 
* 甲午 - 甲은 木--靑--東--靑馬라고 하는 이유
 
* 轉迷開悟 - 2014년 희망 한자 ; 《佛學大詞典》“三界中에서 生死의 미망에서 벗어나서 열 반의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한다.”
 

 
1. 則 - 본받다, 效, 法
 
2. 從 - 따르다 ; 從法(법령을 준수하다) ; 從死(따라죽다, 殉葬당하다)
 
3. 祖考 - 돌아가신 할아버지와 아버지 ; 조상을 가리킴.
 
{{tab::}}
==高祖父==顯高祖考 學生府君 神位==
==高祖母==顯高祖妣 孺人 (本贯 姓)氏 神位==
==曾祖父==顯曾祖考 學生府君 神位==
==曾祖母==顯曾祖妣 孺人 (本贯 姓)氏 神位==
==祖父==顯祖考 學生府君神位==
==祖母==顯祖妣 孺人 (本贯 姓)氏 神位==
==父==顯考 學生府君神位==
==母==顯妣 孺人 (本贯 姓)氏 神位==
==夫==顯辟 學生府君神位==
==婦==亡室 孺人 (本贯 姓)氏 神位==
==伯父==顯伯父 學生府君神位==
==伯母==顯伯母 孺人 (本贯 姓)氏 神位==
==兄==顯兄 學生府君神位==
==嫂==顯嫂 孺人 (本贯 姓)氏 神位==
==弟==亡弟 學生 (姓名) 神位==
==兒==亡子 秀才 (姓名) 之靈==
{{/tab}}
 
4. 后 - 司에서 유래, 관리의 의미 ; 后의 최초 의미-자식이 아버지의 업적을 계승 ; 왕, 군주 ; 제후 ; 왕후 ; 後의 약자
 
5. 鳥獸 - 禽獸
 
6. 鳳凰 - 수봉암황. 麒麟 수기암린과 같이 수암(雄雌) 통칭 ; 최초에 신석기 유물에 등장 (B.C.5500) 문헌은 《尙書》〈益稷〉; 생김새-《爾雅》〈釋鳥〉郭璞注,鳳凰의 특징-“鷄 頭(닭머리)、燕頷(제비턱)、蛇頸(뱀목)、龜背(거북등)、魚尾(생선꼬리)、五彩色,高六尺 ; 특징-성격 고결,非晨露不飮,非嫩竹不食,非千年梧桐不棲。: 종류-전설에 5가지-赤色의 朱雀、青色의 靑鸞(청란)、黄色의 鵷鶵(원추)、白色의 鴻鵠、 紫色의 鸑鷟(악작) ; Phoenix Red 붉은 불사조, 태양새
 
7. 陟 - 오르다 ; 黜陟-↓↑ ; 三陟-말타고 가는데 멀고, 높고, 험악하여 여행길이 고생 스러움을 묘사 《詩經》〈周南〉
 
8. 幾 - 조짐, 살피다.
 
9. 元首 - 여기에 최초 등장, 君을 가리킴
 
10. 熙 - 원래는 태양을 쬐다→빛, 흥성
 
11. 稽首 -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맞잡아서 땅에 대고, 머리도 땅에 대고 절하는 최상의 의례 이다. 즉 중국 고대에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기 위하여 행하는 의례로 《주례(周禮)》 에 나타나는 9배(九拜) 중의 하나이다. 참고로 9배는 계수, 돈수(頓首), 공수(空首), 진동 (振動), 길배(吉拜), 흉배(凶拜), 기배(奇拜), 포배(褒拜), 숙배(肅拜)가 있다. 즉 신분과 등 급이 다른 사회 구성원에게, 각기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도록 규정된 의례이다
 
12. 墮 - 무너질 (휴), 떨어질, 게으를 (타)
 

 
《論語》〈學而〉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愼於言,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
 
子貢曰:貧而無諂,富而無驕,何如? 子曰:可也;未若貧而樂,富而好禮者也。
 
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 子曰:賜也,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
 
(주석)
安貧樂道 ; 多動少說 ; 改正自己 - 3가지 핵심
《論語》〈述而〉"飯疏食,飮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
- 訥於言而敏於行
- 나아가다
有道 - 덕과 재주를 겸비한 사람, 有道者
- 改正,修正
- 아첨하다
- 自高自大(自以爲了不起, 看不起別人) , 馬高六尺
- 如 , 未若(같지 않다, ~만 못하다)
- 《詩經》〈衛風〉
如切如磋,如琢如磨 - 切(獸骨)磋(象牙)琢(玉)磨(石)
- 아마도, 대개,추측을 나타냄 其謂斯呼--→其斯之謂與-
- 이것
- 子貢의 이름
諸(저) - 之於 , 之呼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36강 (2014. 1. 10)
• 제35강 (2014. 1. 3)
• 제34강 (2013. 12. 27)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