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2014년
2014년 12월
2014년 12월 5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8일
2014년 11월 7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31일
2014년 10월 24일
2014년 10월 17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2일
2014년 9월 5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29일
2014년 8월 22일
2014년 8월 1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5일
2014년 7월 18일
2014년 7월 4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7일
2014년 6월 20일
제54강 (2014. 6. 20)
2014년 6월 13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3일
2014년 5월 16일
2014년 5월 9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5일
2014년 4월 11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1일
2014년 3월 14일
2014년 3월 7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8일
2014년 2월 21일
2014년 2월 14일
2014년 2월 7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4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0일
2014년 1월 3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학습】
(2017.10.26. 18:02) 
◈ 제54강 (2014. 6. 20)
사기 강의 제54회 보충설명
제54강, 2014, 6, 20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輕信, 盲信, 狂信, 迷信
 
* 범죄자의 기본원칙 - 1逃 2否 3託
 
* 殖民史觀 - 半島性, 他律性, 停滯性, 黨派性
 

 
1. 矜 - 갑골문, 원래는 손님을 접견할 때 손에 쥐고 있는 창 ; 의장용 창 ; 긍지, 자존, 홀애 비(鰥)... 《史記》〈五帝本紀有〉“矜在民間,曰虞舜”
 
2. 人臣 - 臣下, 臣子
 
3. 臣 - 갑골문, 원래는 머리를 숙일때 눈의 모양 ; 남성노예(男曰臣, 女曰妾-臣妾) ; 굴복
 
4. 高 - 갑골문, 원래는 이층집 ;《荀子》〈勸學〉“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 ; 연세 高壽
 
5. 聲 - 원래는 고대 악기 磬의 소리를 듣는다 ; 音
 
6. 出 - 원래는 싹이 자라는 모습 ; 나오다, 뛰어나다 ; 出己之下 ; 出一頭地(出人頭地)
 
《韓非子》“上君盡人之智,中君盡人之力,下君盡己之能”
 
7. 淫 - 원래는 물에 잠기다, 지나치다, 방종하다
 
8. 嬖 - 총애하다
 
9. 婦 - 갑골문, 원래는 술잔 등을 들고 서비스하는 여성 ; 첩 ; 《禮記》〈曲禮〉“士曰婦人, 庶人曰妻” ; 일반적인 여성
 
10. 妲己 - 傾國之色
 
{{tab::傾國之色(하나라~당나라)}}
##왕조##상대남성##경국지색##직위##별칭##비고##
==夏==桀王==妺嬉==愛妾==佩劍帶冠==酒池肉林==
==商==紂王==妲己==愛妾==毒婦==酒池肉林==
==周==幽王==褒姒==王后== ==千金買笑==
==春秋戰國==吳王 夫差==西施==後宮==沈魚==臥薪嘗膽==
==漢==元帝==王嬙==昭君==落雁==春來不似春==
==三國==呂布==貂蟬==夫人==閉月==왕윤이 여포와 동탁 이간질에 이용함.==
==唐==玄宗==楊玉環==貴妃==羞花 , 解語花== ==
{{/tab}}
 
11. 師 - 갑골문, 원래는 文師의 의미 ; 군대편제 ; 선생 ; 지방 단위 《尙書》〈大傳〉“八家 而爲鄰,三鄰而爲朋,三朋而爲里,五里而爲邑,十邑而爲都,十都而爲師”
 
12. 涓 - 실개천, 작은 것
 
13. 舞 - 갑골문, 원래는 사람이 소꼬리를 잡고 춤추는 모양
 
14. 靡 - 낭비, 사치, 쓰러질, 없을 無《詩經》“靡日不思”
 
15. 厚 - 원래는 땅 표면이 두꺼운 것, 반대는 薄 ; 厚顔無恥
 
16. 賦 - 원래는 군사용의 재물 ; 군역, 군수품 세금 ;《漢書》〈刑法志〉“有稅有賦, 稅以足 食,賦以足兵”
 
17. 稅 - 원래는 토지세로 걷는 농산품 ; 《急就篇》“斂財曰賦,斂穀曰稅,田稅曰租”
 
18. 鹿 - 갑골문 ; 사각형의 양식창고 ; 정권을 비유。《史記》〈淮陰侯列傳》“秦失其鹿,天 下共逐之”
 
《淮南子》“逐鹿子不見山,확攫金子不見人。”
 
19. 錢 - 원래는 농기구(낫, 鏟) ; 賺錢, 掙錢
 
20. 盈 - 그릇에 연속해서 채움 ;《王文憲》“窮涯而反,盈量知歸”
 
21. 鉅 - 원래는 고대의 鐵鋼 ; 크다
 
22. 粟 - 稻-벼 ; 禾-곡물(쌀)
 
- 벼(볏단) 전체 ; - 벼 이삭 ; 秸服 - 벼 이삭의 겉잎을 추려낸 것 ; - 벼 이삭의 껍질 을 찧지 않은 곡식 ; - 벼 이삭의 껍질을 찧은 곡식(현미) ; 白米 - 米를 재차 도정한 것
 
《憫農》“春種一粒粟,秋收萬顆子”
 
23. 益 - 원래는 그릇에 물이 넘쳐나는 모양 ; 장점, 더하다, 점차... ; 延年益壽
 
24. 收 - 거두다, 받다...《史記》〈太史公自序〉“春生夏長,秋收冬藏”
 
25. 仞 - 차다, 충만 牣과 동일
 
26. 廣 - 원래는 사방에 벽이 없는 큰 집
 
27. 苑 - 개방식 동식물 서식지
 
28. 酒 - 갑골문 ; 《博物志》“三人晨行。一人飮酒,一人飮食,一人空腹;空腹者死,飽食者 病,飮酒者健”
 
29. 倮 -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음 ; - 비키니 처럼 가린 것
 
30. 飮 - 사람이 혀를 내밀고 술 그릇에 술을 맛보는 모양
 

 
《論語》〈里仁〉
 
子曰:「人之過也,各於其黨。觀過,斯知仁矣。」
 
- 과실 ; - 유형, 종류, 습벽 ; - 이것, 즉
 
子曰:「朝聞道,夕死可矣!」
 
- 진리의 길, 진리 추구
 
子曰:「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未足與議也!」
 
- 전국이전은 지식분자, 전국이후는 文士와 武士 ; - 부끄러울 ; - 나쁜, 거친, 조악한
 
子曰:「君子之於天下也,無適也,無莫也,義之與比。」
 
- 可, 친밀 ; - 不可, 소원 ; - 어기조사 ; - 따르다
 
子曰 : 「君子懷德, 小人懷土 ; 君子懷刑, 小人懷惠。」
 
- 생각한다 ; - 삶의 터전, 토지 ; - 법 질서 ; - 요령, 사적인 은혜
- 刑 ; - 罰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5강 (2014. 6. 27)
• 제54강 (2014. 6. 20)
• 제53강 (2014. 6. 13)
추천 : 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