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60강 (2014. 8. 22)
사기 강의 제60회 보충설명
제60강, 2014, 8, 22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破釜沉舟가 아님 - 焚舟破釜 - 《孫子兵法》〈九地〉; 沉船破釜-《사기》〈項羽本紀〉; 破釜 沉舟-明, 史可法〈請出師討賊疏〉-고사성어는 최초를 사용
 
* 光復 - 收回(잃어버린 영토 되찾음),恢復(이미 망한 국가를 다시 회복) ; 《晉書》〈桓温 傳〉“光復舊京”
 
* 중국에서 황태자, 왕족 한자교육과정
1. 急取篇 - 千字文 - 千家詩 - 百家姓 ; 2. 孝經 ; 3. 論語 ; 4. 中庸, 大學, 孟子 ; 5. 詩經 ; 6. 書經 ; 7. 易經 ; 8. 春秋左傳 ; 9. 史記
 
* 한국에서 서원의 한자교육
1. 千字文 ; 2. 4字小學 ; 3. 5字推究 ; 4. 文公家禮 ; 6. 明心寶鑑-童蒙先習-擊蒙要訣-兒 戱原覽 ; 7. 論語-孟子-中庸-大學 ; 8. 書經-詩經-易經 ; 9. 資治通鑑-史記
 
* 마쓰오카 세이고 - “共讀을 통해 어떤 사람이라도 새로운 인생을 설계할 수 있으며, 새로 운 전문가로 재탄생할 수 있다.”-행복해진다.(wellbeing-healing-calming)
 

1. 兒 - 갑골문, 원래는 아이 ; 李斯,《蒼詰篇》“男曰兒,女曰嬰”; 孩, 孺 ; 성장과정-生, 弱(嬰, 幼), 少, 長, 成(壯, 强) 老, 死 ; 弱冠《禮記》〈曲禮〉「二十曰弱冠」20세 冠禮, 그러나 신체도 아직 강건하지 않고 나이도 비교적 어려서 弱을 첨가 ; 《論語》〈爲政〉 “吾十有五而志于學,三十而立,四十而不惑,五十而知天命,六十而耳順,七十而從心所欲, 不逾矩。”
 
* 0-1살-嬰兒, 襁褓(강보) : 10살 이하-童, 15살 이하-幼(幼童) ; 어린시절-童年, 孩提 (해제), 總角 垂髫(수초) : 여자 12살-金釵(금채)之年 : 여자 13살-荳蔲(두구) : 여자 15살-及笄(급계) : 남자 20살-弱冠 : 남자 30살-而立, 少之時(30살 이전) : 남자 40 살-不惑, 初老 : 남자 50살-知天命, 知命, 天命, 中老 : 60살-耳順, 杖者, 杖鄕(61살- 花甲, 華甲, 還甲, 回甲, 還曆, 華壽) ; 70살-古稀, 從心, 致仕, 逾矩 : 77살-喜壽 ; 80살-傘壽, 下壽, 杖朝 : 81살-半壽, 漆壽 ; 88살-米壽 ; 90살-卒壽, 耄耋(모질) ; 99살-白壽 : 100살-期頣(기신), 百壽, 中壽, 紀壽 ; 100살 이상 매년-上壽
* 20살 이하에 사망하면-夭折
 
2. 時 - 갑골문, 원래는 시간, 계절 ; 《逸周書》〈時訓解〉“5日爲候, 3候爲氣, 6氣爲時, 4時爲歲, 一年24節氣, 共72候”; 秒, 分, 時, 日, 朔, 候(5일), 旬, 望(氣), 月, 春, 夏, 秋, 冬, 年(歲)-후면 참고
 
3. 志 - 원래는 마음이 가는바
 
4. 游 - 갑골문, 원래는 사람 또는 동물이 물에서 노는 것 ; 遊
 
5. 戱 - 원래는 힘을 겨루다
 
6. 種 - 원래는 식물의 어린 싹
 
7. 樹 - 갑골문, 원래는 나무 심다
 
8. 麻 - 원래는 마를 손질하는 것
 
9. 菽 - 콩류의 총칭 ; 菽麥, 매우 식별이 쉬운, 《左傳》成公十八年“周子有兄而無慧,不能辨菽麥”
 
10. 美 - 갑골문, 원래는 동물이나 새의 털로 장식한 모자를 쓰고 있는 사람 ; 羊의 갑골문과 다름, 羊과 大 관련짓는 것은 틀림.
 
11. 成 - 갑골문, 원래는 완성하다
 
12. 耕 - 갑골문, 원래는 밭가는 쟁기 ; 《說文》“人耕曰耕,牛耕曰犁”
 
13. 農 - 원래는 군인이 일찍 일어나서 농사지음 ; 兵農一致 ;《漢書》〈食货志〉“辟土植穀 曰農 ;《漢書》〈文帝紀〉“農,天下之大本也” ; 晁(朝)錯《論貴粟疏》“貧生于不足,不 足生于不農”-重農抑商, 移民實邊, 納粟受爵
 
14. 宜 - 宀장소+且힘쓰다=宜적당하다
 
15. 穀 - 원래는 양식의 총칭 ; 五穀(百穀)-1. 稻, 麥, 菽, 黍, 稷 ; 2. 麻, 麥, 菽, 黍, 稷 ; 雜 糧-5곡 이외의 것을 총칭함. ; 세계 식량의 단순화-쌀, 밀가루(麵), 옥수수, 감자, 콩
 
16. 稼 - 갑골문, 본래는 오곡을 심다 ;《孟子》〈滕文公上〉“后稷教民稼穑,樹蓺(栽培)五穀”
 
17. 穡 - 《墨子》〈兼愛〉“不爲大國侮小國,不爲衆庶侮鰥寡,不爲暴勢奪穑人黍稷狗彘”
 
18. 民 - 갑골문, 원래는 토착인 ; 죄수, 노예, 자유민...... ; 三國(魏),張揖,《廣雅》-중국 최초 백과사전,《爾雅》모방“土著(착)者曰民,外来者曰氓(맹)。古者有四民,有士民,有商民,有農民, 有工民”
 
19. 法 - 法의 古語가 있음 ; 獬짐승이름 해 廌법 치 -용맹과 공정의 상징-獬廌 참고
 
20. 堯 - 본래는 높다 ; 요임금 ; 풀이름
 
21. 擧 - 원래는 두 손으로 물건을 밀다.
 
22. 師 - 갑골문, 원래는 文師(글을 가르치는 사람)를 가리킴 ; 군대편제《周禮》〈地官〉“五人爲伍,五伍爲两,四两爲卒,五卒爲旅,五旅爲師”; 선생 ; 지방단위《尙書》〈大傳〉 “八家而爲鄰,三鄰而爲朋,三朋而爲里,五里而爲邑,十邑而爲都,十都而爲師”
 
23. 利 - 원래는 칼로 곡물을 수확하는 것 ; 害, 弊와 반대 ; 순리, 유리《史記》〈項羽本紀〉 〈垓下歌〉“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騅不逝。騅不逝兮可奈何!虞兮虞兮奈若何!
 
24. 功 - 원래는 업적 ; 過, 罪와 반대 ; 《戰國策》〈趙策》“位尊而無功,奉厚而無勞,而挾重 器多也”-重器-진귀한 보물
 
25. 黎 - 원래는 기장으로 만든 풀 ; 검은색 ; 무리 ; 黎民, 黎庶, 黎氓, 黎甿, 黎首, 黔首-민 중, 백성, 인민
 
26. 始 - 원래는 여성의 초경 ; 終과 末의 반대 ;《說文解字》“女之初爲始, 裁衣之始爲初,草 木之始为才,人身之始爲首爲元,筑墙之始爲基,開户之始爲戽(두레박 호),子孫之始爲祖, 形生之始爲胎。”
 
27. 飢 - 원래는 흉년이 들어 수확할게 없음 ;《墨子》〈七患〉“五穀不熟謂之飢”
 
28. 播 - 원래는 씨 뿌리다 ; 《尙書》〈舜典〉“播時百穀”
 
29. 封 - 갑골문, 원래는 흙을 모으다 ; 밀봉, 강역, 제후에게 땅을 분배, 하늘에 제사 “祭天 爲封, 祭地爲禪”; 진 始皇, 한 武帝, 후한 光武帝, 당 高宗과 玄宗, 송 眞宗 ; 天地神人
 
* 勸學文 - 眞宗, 朱子, 王安石 ; 朱子勸學文-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日月逝矣,歲不我延。嗚呼老矣,是誰之愆?
 
30. 號 - 원래는 고통스러울 때 내는 소리 ; 호칭, 명령......
 
31. 別 - 원래는 칼로 뼈를 발라내는(분해) ; 이별, 별도로......
 
32. 姓 - 《通志》〈氏族略〉“三代以前,姓氏分而爲二,男子稱氏,妊人(女子)稱姓。氏所以别 貴賤,貴者有氏,賤者有名無氏。姓所以别婚姻,故有同姓異姓庶姓之别。氏同姓不同者,婚 姻可通;姓同氏不同者,婚姻不可通(天下同姓是一家,故而同姓不婚)。三代之後,姓氏合而 爲一”; 秦漢-姓氏合一 ; 中国上古八大姓:姬、姚、嬀(규)、姒、姜、嬴、姞、妘。현재 10 대 성씨-1王 2李 3張 4劉 5陳 6楊 7趙 8黃 9周 10吳
 
33. 興 - 갑골문, 원래는 일찍 일어나다 ; 《詩經》〈衛風〉“夙興夜寐”
 
34. 陶 - 원래는 흙 언덕
 
35. 際 - 원래는 두 담장이 서로 만나는 곳 ; 시기......
 

〈公冶長〉
 
子使漆雕開仕。對曰:「吾斯之未能信。」子說。
漆雕開 - 공자의 학생,성은 漆雕,이름은 開,字는 子開 ; 吾斯之未能信은 “吾未能信斯”의 도치 ; 斯之 - 出仕하는 것에 대해서 ; - 자신감, 믿음
 
子曰:「道不行,乘桴浮于海。從我者,其由與?」子路聞之喜。子曰:「由也好勇過我,無所取材。」
- 타다 ; - 뗏목 ; - 따르다 ; - 子路 ; - 의문, ~ 아닐까? ; 子路 - 성은 仲 이름은 由, 孔門10哲의 한명 ; 無所取材 - 材는 哉와 통한다. 사리를 헤아리는 바는 없다.
 
孟武伯問子路仁乎?子曰:「不知也。」又問。子曰:「由也,千乘之國,可使治其賦也,不知其仁也。」「求也何如?」子曰:「求也,千室之邑,百乘之家,可使爲之宰也,不知其仁也。」「赤也何如?」子曰:「赤也,束帶立於朝,可使與賓客言也,不知其仁也。」
孟武伯 - 魯나라 대부 孟懿子의 아들, 성은 孟孫 이름은 彘, 시호는 武 ; - 자로, 仲由 ; 千乘之國 - 제후 ; - 兵賦 ; - 冉有 ; 千室之邑 - 1千戶의 大邑 ; 百乘之家 - 卿, 大夫의 영지(采地) ; - 家臣 ; - 성은 公西, 이름은 赤,字는 子華,孔子의 학생 ; 束帶立于朝 - 예복을 입고 朝廷에 나감 ; 賓客 - 손님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61강 (2014. 8. 29)
• 제60강 (2014. 8. 22)
• 제59강 (2014. 8. 1)
(2017.10.27. 20:2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