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36강 (2014. 1. 10)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36
제36강, 2014, 1, 10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대박 - 大舶
 
* 공부의 단계 - 1단계는 정치, 법률, 의학, 1만불 소득 ; 2단계는 경영 경제 사회 2만불 소 득 ; 3단계는 인문학(문, 사, 철) 3만불 소득 ; 4단계는 인류학 동생물학 4만불 소득
 

 
1. 薦 - 원래 의미-풀로 만든 방석 ; 筵-대나무로 만든 방석 ; 席-천에 자수 놓은 것
 
고대에는 薦+筵+席의 3층으로 깔음. 방석(房席× 方席0)
 
2. 崩 - 《禮記》〈曲禮〉天子-崩, 駕崩, ; 諸侯-薨(薨奄), 昇遐 ; 卿, 大夫-卒, 逝世(去), 他界, 下逝 ; 士-不祿 ; 平民-死, 去世, 歸天, 死亡, 永眠, 殞命, 過逝, 謝世, 仙逝, 離 世, 辭世, 長逝, 犧牲, 殉国, 捐軀, 就義, 身故, 夭亡, 夭折, 歸西, 咽氣, 喪命, 亡故, 遇難, 罹難(리난), 遇害, 晏駕, 歿, 見背, 圓寂, 坐化, 與世長辭, 駕鶴西去, 斃命(폐명), 隕落。
 
군주 죽음에 대한 별칭 - 등하(登遐), 붕어(崩御), 빈천(賓天), 상빈(上賓), 안가(晏駕), 예척 (禮陟), 용어(龍馭), 조락(殂落), 척방(陟方)
기독교-召天 ; 천주교-善終 ; 불교-入寂(涅槃, 寂滅)
 
3. 三年喪 - 臣爲君, 子爲父, 妻爲夫 ; 喪禮 관련-신분, 음식, 거처, 곡읍(哭泣), 용체(容體), 언어, 의복, 기간 등
 
문제점 - 《論語》〈陽貨〉“三年之喪,期已久矣”宰我가 공자에게 1년이면 충분 질문-부모 가 3살까지 품어줬는데, 3년이 당연하다고 공자가 대답
3일장(還生, 順死, 準備)의 유래 - 《左傳》에 천자 7일 ; 제후 5일 ; 경, 대부, 사 3일 또 위진남북조시기 불교에서 유래. 왕실-49일 ; 대신-7일 ; 백성-3일 ; 특수한 경우 4일장
삼우제(三虞祭)? - 《左傳》에 등장, 매장 후 安神을 위한 제사, 당일 初虞, 다음날 再虞, 다다음날 三虞
葬法 - 土, 火, 水, 海, 風, 天(鳥), 洞, 樹, 沙, 甕, 食, 미라(mummy)
 
4. 朝 - 제후, 신하 알현 ; 朝貢-알현+지역 특산물, 종속국 책봉+무역 ; 朝獻-알현+특별 선 물 ; 朝覲-알현 ; 朝見-알현 ; 朝會-알현
 
5. 巡狩 - 狩-巡視,視察과 동일 ; 狩獵(田獵, 川獵)-고대에는 군사훈련
 
《孟子》〈告子〉“天子適諸侯,曰巡狩。巡狩者,巡所守也。” 반대는《孟子》〈梁惠王〉下 “諸侯朝于天子,曰述職。述職者,述所職也。”
 
6. 日淺 - 시간이 짧음 。《文選》“相見日淺”
 
7. 未洽 - 不+符合
 

《論語》〈學而〉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 우려,원한
不己知 - “不知己” 도치법
 
《논어》〈위정〉
子曰:爲政以德,譬如北辰居其所而衆星共之。
 
- 비유할 비, 譬如 비유하면 ~와 같다
北辰 - 北極星 ; 《爾雅》〈釋天〉“北極謂之北辰”
- 拱과 같다. 껴안을, 둘러싸다. (많은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子曰:詩三百,一言以蔽之,曰:思無邪。
 
- 《詩經》 ; 305篇
- 가릴, 덮을, 단정할, 개괄하면 ; 蔽一言, 却說하고, 去頭截尾, 單刀直入
思無邪 - 正
 
子曰:道之以政,齊之以刑,民免而無恥;道之以德,齊之以禮,有恥且格。
 
- 導, 훈도, 인도, 영도
- 가지런히 하다
- 避免
- 도에 어긋남을 부끄러워하다
- 또
- 至,來, 正, 떳떳하다, 품격, 복종
 
子曰:吾十有五而志于學,三十而立,四十而不惑,五十而知天命,六十而耳順,七十而從心所欲,不逾矩。
 
- 또 又
- 자립
不惑 - 주체성의 확립, 不迷惑
天命 - 보편적 원리(가치)의 세계, 하늘의 명령, 간디-진리가 하느님이다.
耳順 - 거슬리는 말, 욕하는 말...반응이 없음-無所謂 , 각자의 입장을 이해
20(男)—弱冠 ; 30(男)—而立之年 ; 40(男)—不惑之年, 强壯之年; 50—年逾半百, 知非之年, 知命之年, 艾服之年(50을 艾, 관직에 나가 정사를 함), 大衍之年(주역에서 대연은 50을 가리킴) ; 60—花甲, 平頭甲子, 耳順之年, 杖鄕之年; 70—古稀, 杖國之年, 致事之年、致政之年; 80—杖朝之年 ; 80~90—耄耋之年(모질) ; 90-鮐背之年(태배); 100—期頤(기이)
- 넘다
- 사각형 그리는 자(곱자, 기역자 모양 자) 不逾矩-경지에 이르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37강 (2014. 1. 17)
• 제36강 (2014. 1. 10)
• 제35강 (2014. 1. 3)
(2017.10.23. 13:57)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