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39강 (2014. 2. 7)
사기 강의 보충설명 제39
제39강, 2014, 2, 7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立春大吉 建陽多慶
 
명칭 - 春聯(spring festival couplets), 門對, 春貼, 對聯, 對子 ;
특징 - 중국 특유의 문학형식 ;
내용 - 시대배경, 희망, 계절... ;
시기 - 春節에 붙임 ;
기원 - 桃符(周나라 시기에 복숭아 나무로 장방형(길이 6촌, 넓이 3촌)으로 만들어 神荼(신도)와 郁壘(욱루) 라는 신의 이름을 써서 대문 양쪽에 걸어둠) ;
형식 - 3자, 4자, 5자, 6자, 7자, 9자 幸福吉祥,花開富貴 ; 和風吹綠柳,時雨潤春苗 ; 冬去山明水秀,春來鳥語花香 ; 爆竹聲聲辭舊歲,紅梅朶朶迎新春
 

 
1. 孔甲 - 孔甲養龍-야생동물의 사육
 
2. 履 - 履歷, 履行
 
3. 癸 - 10干의 열 번 째 ; 10天干(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12地支(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4. 桀 - 妺嬉(喜), 酒池, 비단 찟는 소리, 傾國之色
 
{{tab::傾國之色(하나라~당나라)}}
##왕조##상대남성##경국지색##직위##별칭##비고##
==夏==桀王==妺嬉==愛妾==佩劍帶冠==酒池肉林==
==商==紂王==妲己==愛妾==毒婦==酒池肉林==
==周==幽王==褒姒==王后== ==千金買笑==
==春秋戰國==吳王 夫差==西施==後宮==沈魚==臥薪嘗膽==
==漢==元帝==王嬙==昭君==落雁==春來不似春==
==三國==呂布==貂蟬==夫人==閉月==왕윤이 여포와 동탁 이간질에 이용함.==
==唐==玄宗==楊玉環==貴妃==羞花 , 解語花== ==
{{/tab}}
 
5. 堪 - 堪當, 不堪當-능히 감당하여 해내지 못함., 不敢當-감히 대적하여 당해낼 수 없다.
 
6. 夏臺 - 하나라의 감옥, 鈞臺 ; 현재 河南省 禹州에 있다.
 
7. 已而 - 오래지 않아서, 나중에
 
8. 釋 - 解
 
9. 修德 - 탐욕을 버리고-利他 ; 집착을 버린다-寬容
 
10. 走 - 도망가다 ; 跑, 行, 逃, 去, 往, 奔
 
11. 放 - 쫒아내다, 추방하다 逐
 
12. 遂 - 순리적 완성, 완료, 성공, 순리적 ; 半身不遂(순리, 중국) , 半身不隨(따를, 한국)
 
13. 杞 - 杞憂, 쓸데없는 걱정-4글자를 줄여서 2글자로 만든 고사성어 - 畵蛇添足(蛇足) 東施 效顰(效顰-西施를 모방하여 이마를 찡그렸는데 오히려 더 보기 않 좋음, 즉 모방했는데 효과가 더 안 좋을 때 사용) , 墨守成規(墨守-묵적이 성을 잘 지켰음, 옛 것을 고집하여 변화하지 않음) , 杞人憂天(杞憂) , 囊螢映雪(螢雪)
 
14. 斟 - 斟酌하다, 添酌
 
15. 會計 - 여럿이 모여 공적 심사 - 漢代에 돈 계산으로 변함.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40강 (2014. 2. 14)
• 제39강 (2014. 2. 7)
• 제38강 (2014. 1. 24)
(2017.10.24. 15:23)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