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49강 (2014. 5. 9)
제49강, 2014, 5, 9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한겨레신문 5월 3일자 도올 김용옥 특별기고문
 
* 孟子의 好善 - 《孟子》〈告子 下〉“夫苟好善,則四海之内皆將輕千里而來告之以善”
 
여기서의 의미는 樂聞善言
 
* 妬(妒)賢疾(嫉)能 - 반대는 任人唯賢
 

 
1. 庚 - 천간 ; 나이-貴庚, 年庚, 同庚, 生庚, 庚甲, 庚帖, 齒庚-
 
2. 小 - 小人 -- a. 스스로 낮춰 부름 b. 인격이 천박한 사람 c. 자녀를 가리킴 d. 어린 아이를 가 리킴 ; 小房-첩을 가리킴 ; 矮小 ; 倭
 
3. 辛 - 갑골문, 가시나무 ; 매울 辣 ; 죄인 ; 휴가일-7일 근무, 3일(辛壬癸日) 휴무
 
辛味入肺 - 5味 (酸간苦심甘비辛鹹신)
 
4. 殷 - 붉은 흑색, 많다, 풍성-《三國志》〈諸葛亮傳〉“民殷國富”
 
5. 衰 - 衣+冉 늘어질 염=최 거친 갈포로 만든 상복 최 ; 쇠약, 감소 쇠
 
6. 思 - 田 곡물, 양식+心 걱정=思 곡물 수확, 먹고사는 문제를 고민함 ;
 
《論語》〈爲政〉“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
 
梁启超《飮冰室合集》〈文集〉“老年人常思旣往, 少年人常思將来”
 
7. 乙 - 갑골문, 식물이 똑바로 자라지 못하는 모양 ; 동방 ; 청색 ; 陰 ; 인터넷상 용어로 수 고했다, 고생했다의 의미-あつかれさま 줄여서 乙(あつ)
 
8. 武 - 正(止)+戈=武 군사를 동원하여 천하의 분란을 바로잡음, 무력으로 무력에 대항
 
9. 丁 - 갑골문 口 ; 성인 남자(壯丁)-丁稅 ; 작은 사각형 덩어리(宮保鷄丁) ; 火(5행) ; 赤色
 
目不識丁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10. 未 - 一주의+木=未나무의 위쪽을 주의해라, 풀과 마무의 연한 가지와 잎 , 자라지 않다, 없다 ; 서정주 시인의 호를 읽기 未堂과 末堂
 
* 天干地支와 五行
 
天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五行 陽木 陰木 陽火 陰火 陽土 陰土 陽金 陰金 陽水 陰水
地支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生肖 鼠 牛 虎 兔 龍 蛇 馬 羊 猴 鷄 狗 猪
五行 陽水 陰土 陽木 陰木 陽土 陽火 陽火 陰土 陽金 陰金 陽土 陰水
 
11. 佐 - 人+左=佐 ; 보좌 ; 文臣은 왼쪽에서 輔佐,武將은 오른쪽에서 保佑 ; 輔弼 ; 輔-보 필, 보좌 ; 4輔臣-左輔 右弼 前疑 後承 《尙書大傳》“大前疑、大右弼、大左輔、大後承”
 
12. 政 - 正+攴째찍질할 복=政 ; 《說問解字》“政,正也”
 
13. 事 - 갑골문 史, 문서 기록을 담당하는 관리 ; 《韓非子》“無功而受事,無爵而顯榮”
 
14. 決 - 水+決=決 물길을 터뜨리다 ; 《史記》〈秦始皇紀贊》“河決不可復壅, 魚爛不可復全
 
15. 冢 - 冖덮을 멱+豕=冢 죽은 자를 덮다 ; 높고 큰 무덤, 墳墓 ; 큰아들(長子)-冢子, 冢嗣, 冢息, 冢婦(적장자의 부인)
 
* - 정상적 사망(땅과 평평) ; - 비정상적 사망(땅보다 높게) ; - 크고 높게 만든 무덤 (장군, 신하) ; - 성현의 지위에 오른 자의 무덤 ; - 제왕, 비빈, 공주의 묘 ; - 제왕의 무덤 ; - 제왕, 황제의 무덤
 
16. 宰 - 宀집 면+辛가시나무, 째찍으로 때림=宰 집안 하인들의 우두머리 ; 동물도살 ; 교활 한 수단으로 고객을 경제적으로 피해 입힘 ; 관직명 ; 수공업 노예
 
17. 觀 - 看, 瞻, 望(멀리 보다), 覽(비교해 보다), 視(자세히 보다), 觀(자세히 보다), 察(생각하면서 보다) ; 《易經》〈系辭下〉:“仰則觀象于天,俯則觀法于地。”
 
觀 - 불교의 위빠사나(vipassana)-無常, 苦, 無我의 본질을 살피며 지혜를 증진시키는 수행 법 ; 도교의 활동장소
 
18. 國 - 囗둘러쌀 圍,국+或=國 농사짓는 사람들이 모여사는 자연촌락 ; 國〉都〉郊〉野
 
《周禮》〈太宰〉“以佐王治邦国”注:“大曰邦,小曰國”
 
20. 風 - 虫+凡=風바람이 불면 벌레가 운다 ; 8風-東方-明庶風 ; 東南-淸明風 ; 南方-景風, 西南-凉風 ; 西方-閭闔風 ; 西北-不周風 ; 北方-廣莫風 ; 東北-融風
 
21. 夜 - 月+亦=夜
 
22. 聖 - 갑골문, 耳+呈드릴 정+=聖 사리에 통달한 사람 《管子》〈四時〉“聽信之謂聖”
 
23. 名 - 갑골문, 口+夕=名 스스로 이름을 말하다
 
24. 說 - 言+兌빛날 태=說말로 설명하다 ; 설, 열, 세
 
25. 夢 - 苜거여목 목+冖덮을 멱+夕=夢 저녁에 사람의 눈에 잘 안보이는 상태 ; 非夢似夢 ; 夢寐以求강열히 추구함
 
26. 營 - 宮+熒등불 형=營 군대, 관리, 건설, 계획
 
27. 求 - 원래는 裘가죽옷 구의 고문, 구하다 ; 《孟子》〈告子 上〉“求則得之,舍則失之”
 
28. 野 - 갑골문 木+木+土=埜, 野 ; 漢代에 변화 ; 國〉都〉郊〉野〉鄙 ; 野外, 分野, 下野, 野蠻, 野心, 野性, 野菜 ;
 
수도, 서울 - 京師, 都(宗廟 있으면), 城, 邑(宗廟없으면)으로 구성됨.
황제가 직접 통치하는 지역 - 王畿이고 수도를 포함하고 郊(近郊, 遠郊)〉野〉鄙로 구성됨.
 
29. 傅 - 人+尃두루 알리다 부=傅 기이하고 이상한 풀을 전시하다, 설명하다, 설명, 지식을 전수하다 ; 제왕이나 제후의 아들의 선생, 師傅(師父) ; 요리사chef셰프
 
30. 險 - 阝언덕 부+僉양면 절벽=險 양쪽이 모두 절벽인 산 언덕 ; 險惡
 
31. 時 - 갑골문, 원래 뜻은 계절 ; 《說文解字》“時,四時也”
 
32. 胥 - 月말+소발 소=胥 말단관리(도둑잡는) ; 게장(蟹醬) ; 서로 ; 모두
 
33. 靡 - 非+麻=靡 없다, 낭비, 사치, 분산, 쓰러지다 《詩經》“靡日不思”
 
34. 築 - 木+筑악기이름 축=築 세우다, 짓다, 악기
 
35. 語 - 語重心長=意味深長
 
36. 果 - 갑골문, 나무에 열려 배를 채울 수 있는 과실 ; 결과
 
37. 相 - 木+目=相 원래는 자세히 보다 ; 관직 ; 서로
 
38. 治 - 氵+台=治 원래는 강 이름, 치수, 다스리다 ;《呂氏春秋》〈察今〉“治國無法則亂”
 
39. 遂 - 원래 의미는 도망가다 ; 따라가다......半身不隨(따르다)와 半身不遂(순리, 如意하다)
 
40. 號 - 원래 의미는 고통을 당할 때 나오는 소리 ; 명칭......
 

 
《論語》〈八佾〉
 
子曰:「管仲之器小哉。」或曰:「管仲儉乎?」曰:「管氏有三歸,官事不攝,焉得儉?然則管仲知禮乎?」曰:「邦君樹塞門,管氏亦樹塞門。邦君爲兩君之好,有反坫,管氏亦有反坫。管氏而知禮,孰不知禮?」
 
管仲 - 성은 管 이름은 夷吾,齊나라 출신, 法家의 선구자, 桓公의 宰相. 管鮑(鮑叔牙)之交의 주인공. 施伯이 《管子》〈小匡〉에서 관중을 大器라고 평했다. ; - 어떤 사람 ; - 검소하다 ; 三歸 - 관중의 采邑 , 성이 다른 3명의 여자를 얻음, 3곳에 가정을 꾸림, 세금 ; - 겸임 ; - 어찌 ; - 국가 ; - 나무, 심다 ; 塞門 - 또는 樹塞門, 내부가 안보이게 대문 입구에 병풍처럼 세운 짧은 담장(처음에는 나무를 심어서 가렸다) ; 反坫 - 군주가 타국의 군주를 초대해서 술을 권할 때 사용하는 빈 술잔을 두는 곳. ; - 누가
 
子語魯大師樂,曰:「樂其可知也:始作,翕如也;從之,純如也,皦如也,繹如也,以成。」
 
- 말하다, 알리다 ; 大師 - 음악 담당하는 관리 ; - 음악, 악곡 ; - 화합할 흡, 종소리 등이 울려서 듣는 자들이 모두 조화롭게 느낌 ; - 방종, 8가지 재료로 만든 악기가 일제히 연주되어 제멋대로 인 것처럼 ; - 아름다운, 조화 ; - 흴 교, 음절이 분명 ; - 풀 역, 연속하다
 
儀封人請見,曰:「君子之至於斯也,吾未嘗不得見也。」從者見之。出曰:「二三子何患於喪乎?天下之無道也久矣,天將以夫子爲木鐸。」
 
- 지역이름, 현재 河南省 蘭考縣 ; 封人 - 변방을 지키는 관리 ; - 일찍이 ; 從者 - 공자의 수행인(따르는 사람) ; 二三子 - 그대, 당신들, 여러분 ; - 근심, 걱정 ; - 관직을 못 얻고 나라를 떠돔 ; 木鐸 - 고대에 天子가 명령을 발포할 때에 이것을 흔들어 군중을 모아서 듣게 함. 文을 상징, 세상을 일깨우는 역할(참고로 金鐸은 武를 상징하며 군사 지휘때 사용)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0강 (2014. 5. 16)
• 제49강 (2014. 5. 9)
• 제48강 (2014. 4. 25)
(2017.10.26. 17:07)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