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일반 (일자별)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2강 (2014. 5. 30)
제52강, 2014, 5, 30일 司馬遷의 《史記》강의
* 액자의 글씨 - 太太怕我 - 我怕太太
 
* 士爲知己者死 - 春秋, 晉(范,中行,知氏), 豫讓-趙襄子, 살해시도
 
《戰國策》〈趙策〉“嗟乎!士爲知己者死,女爲悅己者容。吾其報知氏之雠矣”
漢, 劉向《說苑》“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士爲知己者死,而况爲之哀乎”
 
* 必敬齋 - 《詩經》〈小雅〉“必恭敬止”
 

1. 無道 - 사회정치의 분란 ; 폭군의 악행 ; 바른 도리를 행하지 않는 나쁜 사람 ; 보편적인 도리에 위배됨(《史记》〈太史公自序〉“父不父則無道,子不子則不孝”)
 
2. 偶 - 人+禺구별=偶 원래는 얼굴을 비춰보다 ; 짝, 配偶, 인형 ; 俑
 
《史記》〈孟嘗君列傳〉“見偶人與偶人相與語”
 
3. 謂 - 言+胃=謂 君臣 간에 양식에 관한 말(수확과 저장-현재도 중국 중앙정부에 보고 1순 위는 농사상황, 인사말이 밥먹었냐?, 영국(어)은 기후 It׳s nice weather we׳re having. (한국은 安寧) ; 인사말 ; 말하다 曰, 云, 語, 報, 告, 說, 談, 話
 
4. 神 - 示조상+申낳고 기름=神 많은 것을 낳고 기르는 조상 ; 신령(gods)
 
5. 與 - 더불어
 
6. 博 - 사람이 한손에는 방패 한손에는 창을 들고 있는 모습 ; 싸우다(手搏) 통용 ; 바둑(博 奕, 圍碁) ; 도박 ; 많다, 넓다.....
 
7. 令 - 갑골문,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명령 ; 면전에서 명령을 받음 ; 부리다, 관직 ;《論 語》〈子路》“其身正,不令而行”
 
8. 勝 - 力+朕=勝 견디다, 감당하다 ; 이기다 ; 《資治通鑑》“勝負兵家之常事”
 
9. 僇 - 욕보이다, 죽이다 ; 侮辱 ; 僇尸(僇屍, 六尸) ;《墨子》〈明鬼〉“是以賞于祖, 而僇于 社”
 
10. 辱 - 갑골문(?), 辰농기구+脚(or 手, 寸=辱원래는 밭 갈다, 경작하다 ; 모욕, 羞辱, 恥辱, 凌辱, 侮辱 ; 반대는 榮 ; 《論語》〈學而〉“恭近于禮,遠耻辱也” ; 《史記》〈貨殖列傳 序〉“衣食足而知榮辱”
 
11. 革 - 皮는 가죽 전체를 가리킴 ; 革은 동물 가죽에서 털을 제거한 것 ; 바꾸다, 제거하다 《易經》〈雜卦〉“革故鼎新”鼎은 취하다 ; 韋는 무두질한 가죽 韋編 三絶-《史記》〈孔子世家〉“孔子晩而喜《易》......讀《易》,韋編三絶”
 
12. 囊 - 물건을 가득 채운 주머니 ; 《史記》〈平原君虞卿列傳〉“錐之處囊中(錐處 囊中)”-趙,平原君,門客,毛遂,自薦,楚,초왕과 담판
 
13. 盛 - 皿+成=盛 그릇에 기장과 피가 가득 담겨있는 모양 ; 흥성, 번성, 성대 ; 《新五代史》〈伶官傳〉“盛衰之理,雖曰天命,豈非人事哉”
 
14. 血 - 갑골문
 
15. 卬 - 나, 오르다 ; 仰우러르다와 동일 ; 人+昻오를, 들다 앙=仰원래는 꿇어앉은 자가 머리를 들어 서있는 사람을 보는 것 ; 《孟子》〈梁惠王上〉“仰足以事父母, 俯足以畜妻子”
 
16. 射 - 갑골문, 활과 화살 모양
 
17. 命 - 口+令=命 ; 《文選》“凡尊者之言曰命” ; 大曰命,小曰令
 
18. 獵 - 犬+巤근본=獵 금수를 잡다 ; 《說問解字》“獵,放獵逐禽也”
 
19. 渭 - 강 이름
 
20. 間 - 본래 자는 閑막을 한, 閒틈 한(간)
 
21. 暴 - 갑골문 ; 나타날, 맹렬한 폭, 暴雷, 暴洪 ; 사나울, 갑자기 포, 暴惡, 暴虐
 
22. 雷 - 갑골문, 천둥 ; 《易經》〈說卦〉“雷以動之, 風以散之,雨以潤之”
 
23. 震 - 8卦의 하나 ; 卦=圭길이를 재는 자+卜땅에 나뭇가지를 세우고 그림자의 길이--결 론적으로 8방위의 태양 위치를 재서 계절과 농사의 시기와 규칙을 아는 수단으로 삼음.
 
{{tab::* 8괘와 기타 관련사항 정리표}}
##卦名##自然##特性##家人##肢体##動物##方位##季節##陰陽##五行##五臟##
==乾 건 ☰==天==健==父==首==馬==西北==秋冬間==陽==金==大臟==
==兌 태 ☱==澤==悦==少女==口==羊==西==秋==陰==金==肺==
==離 이 ☲==火==麗==中女==目==雉==南==夏==陰==火==心==
==震 진 ☳==雷==動==長男==足==龍==東==春==陽==木==肝==
==巽 손 ☴==風==入==長女==股==鷄==東南==春夏間==陰==木==膽==
==坎 감 ☵==水==陷==中男==耳==猪==北==冬==陽==水==腎==
==艮 간 ☶==山==止==少男==手==狗==東北==冬春間==陽==土==胃==
==坤 곤 ☷==地==順==母==腹==牛==西南==夏秋間==陰==土==脾==
{{/tab}}
(5행 상생, 상극표와 관련해서 이해할 것)
 
24. 太 - 大, 泰
 
25. 益 - 皿+水=益 그릇에 물이 넘치다 ; 증가, 좋은 점, 점차
 
26. 長 - 갑골문, 사람이 머리를 길게 기른 모양 ; 장단, 높음, 오랠, 멈, 깊음......
 

 
《論語》〈里仁〉
 
子曰:「富與貴,是人之所欲也;不以其道得之,不處也。貧與賤,是人之惡也;不以其道得之,不去也。君子去仁,惡乎成名。君子無終食之間違仁,造次必於是,顚沛必於是。」
 
- 仁道, 정당한 방법 ; 不以其道得之 -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 아니면(아닐 지라도) ; 處 - 받다, 소유하다 ; 惡 - 싫어하다 ; 不以其道得之 - 정당한 방법으로 벗어남을 얻지 못하면 ; 去 - 떠나다, 벗어나다, 제거하다 ; 惡乎 - 어떻게, 어찌 ; 成名 - 좋은 명성을 이루다 ; 終食之間 - 한 끼 식사를 마치는 짧은 사이(기간) ; 造次 - 총망,창촉, 황급한 시기 ; 必 - 반드시 ; 於是 - 이와 같다 ; 顚沛 - 곤궁, 좌절을 당하다
 
군자는 인도를 중시하기 때문에 부귀를 조심하고 빈천을 편안히 여긴다.
 
최근 공직자의 처신
【학습】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
• 제53강 (2014. 6. 13)
• 제52강 (2014. 5. 30)
• 제51강 (2014. 5. 23)
(2017.10.26. 17:3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