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정치】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 전자결제 증가로 화폐제조액 반토막, 10년간 40%감소
‘사양산업 된 조폐공사, 글로벌 경쟁력 갖추고 해외시장 개척해야’ 【박명재 (국회의원)】
‘사양산업 된 조폐공사, 글로벌 경쟁력 갖추고 해외시장 개척해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박명재 의원(포항남·울릉)이 조폐공사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10년간 화폐제조액이 40.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 첨부파일 참조
 
2008년을 마지막으로 화폐제조액 2천억 원 시대를 마감하고, 2009년부터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며 1천억 원대에 머물렀다. 전체 제조금액은 2008년 2천222억7천8백만 원에서 2017년 1천322억5천9백만 원으로 40.5%감소했다.
 
은행권 제조금액이 2008년 1천320억5천2백만 원에서 2017년 821억 3천5백만 원으로 37.8% 감소했고, 동전의 사용량도 크게 줄어 2008년 주화 902억2천6백만 원에서 2017년 501억2천4백만 원으로 44.4% 감소했다.
 
조폐시장이 어려워짐에 따라 조폐공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핀테크 사업에 뛰어들어 신성장 동력을 찾고 있으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민간업체의 대다수가 스타트업 기업(총 86%)이라 정부 지원을 받고 자란 민간기업의 영역을 정부 공공기관이 빼앗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한국조폐공사가 추진하는 모바일지역상품권 플랫폼 구축사업의 경우, 정부지원을 받고 자란 소규모 스타트업 기업들이 시장에서 어렵게 경쟁하고 있으나 막대한 예산과 규모를 갖춘 조폐공사가 뒤늦게 뛰어들어 관련 민간 핀테크 기업을 고사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웃나라 중국의 조폐공사는 지난 2013년부터 협력사업을 본격 가동하면서 주변 60여 개 국가들로부터 화폐 제조를 맡게 돼 중국의 관련 민간 기업까지 같이 성장하면서 30% 이상의 외국 화폐 제조 점유율을 확보했다고 알려져 있다.
 
박명재 의원은 “세상의 변화에 의해 조폐공사의 기능이 축소됐다면 기관을 규모를 줄이거나 한국은행에 편입시키는 등 구조조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공공기관이 국내 핀테크 시장에서 국내 스타트업 기업과 경쟁할 때가 아니라 중국처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서 해외시장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첨부 :
20181029-전자결제 증가로 화폐제조액 반토막, 10년간 40%감소.pdf
 

 
※ 원문보기
【정치】 국회의원∙입법부 보도자료
• 방배배수지체육공원 축구장 확장공사 사업 서울특별시 예산 20억 확보
• 전자결제 증가로 화폐제조액 반토막, 10년간 40%감소
• 최저임금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여파로 전국 533개 버스업체 경영난 심각…10만여명의 버스운송 종사자들이 길거리로 내 몰릴 상황
(2018.11.06. 18:4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