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보기 : 목록별구성)
2015년 5월
2015년 5월 30일
2015년 4월
2015년 4월 19일
2015년 2월
2015년 2월 6일
2015년 1월
2015년 1월 10일
2014년 11월
2014년 11월 29일
2014년 11월 9일
2014년 11월 1일
2014년 10월
2014년 10월 25일
2014년 9월
2014년 9월 26일
2014년 9월 19일
2014년 9월 13일
2014년 9월 6일
2014년 8월
2014년 8월 30일
2014년 8월 23일
2014년 8월 2일
2014년 7월
2014년 7월 26일
2014년 7월 5일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
2014년 6월 21일
2014년 6월 14일
2014년 5월
2014년 5월 30일
2014년 5월 24일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4일
2014년 4월
2014년 4월 26일
2014년 4월 12일
2014년 4월 4일
2014년 3월
2014년 3월 24일
2014년 3월 15일
2014년 3월 8일
2014년 3월 1일
2014년 2월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15일
2014년 2월 8일
2014년 1월
2014년 1월 25일
2014년 1월 17일
2014년 1월 11일
2014년 1월 4일
2013년 12월
2013년 12월 28일
2013년 12월 22일
2013년 12월 14일
2013년 12월 8일
2013년 11월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8일
2013년 11월 3일
2013년 10월
2013년 10월 27일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2일
2013년 9월
2013년 9월 28일
2013년 9월 14일
2013년 9월 11일
2013년 1월
2013년 1월 7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2월
2012년 12월 18일
2012년 12월 11일
2012년 12월 5일
2012년 11월
2012년 11월 28일
2012년 11월 24일
2012년 11월 21일
2012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16일
2012년 11월 13일
2012년 11월 12일
2012년 11월 10일
2012년 11월 7일
2012년 11월 4일
2012년 11월 2일
오제본기 16
2012년 10월
2012년 10월 30일
2012년 10월 28일
2012년 10월 25일
about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내서재
추천 : 0
순(舜) #
【저작】
(2017.10.12. 18:52) 
◈ 오제본기 16
요가 말하기를 “오! 사방의 제후들이여, 내가 즉위한지 70년이 되었는데, 너희 중에서 누가 능히 천명에 순응하여 나의 자리에 오를 수 있겠느냐?”
목   차
[숨기기]
 

1. (원문)

堯曰 : “嗟! 四嶽 : 朕在位七十載, 汝能庸命, 踐朕位?” 嶽應曰 : “鄙德忝帝位。” 堯曰 : “悉擧貴戚及疏遠隱匿者。” 衆皆言於堯曰 : “有矜在民閒, 曰虞舜。” 堯曰 : “然, 朕聞之。其何如?” 嶽曰 : “盲者子。父頑, 母嚚, 弟傲, 能和以孝, 烝烝治, 不至姦。” 堯曰 : “吾其試哉。” 於是堯妻之二女, 觀其德於二女。 舜飭下二女於嬀汭, 如婦禮。 堯善之, 乃使舜愼和五典, 五典能從。 乃遍入百官, 百官時序。 賓於四門, 四門穆穆, 諸侯遠方賓客皆敬。 堯使舜入山林川澤, 暴風雷雨, 舜行不迷。 堯以爲聖, 召舜曰 : “女謀事至而言可績, 三年矣。女登帝位。” 舜讓於德不懌。 正月上日, 舜受終於文祖。 文祖者, 堯大祖也。
 
 

2. (음역)

요왈 : “차! 사악 : 짐재위칠십재, 여능용명, 천짐위?” 악응왈 : “비덕첨제위。” 요왈 : “실거귀척급소원은닉자。” 중개언어요왈 : “유긍재민간, 왈우순。” 요왈 : “연, 짐문지。기하여?” 악왈 : “맹자자。부완, 모은, 제오, 능화이효, 증증치, 부지간。” 요왈 : “오기시재。” 어시요처지이녀, 관기덕어이녀。순칙하이녀어규예, 여부례。요선지, 내사순신화오전, 오전능종。내편입백관, 백관시서。빈어사문, 사문목목, 제후원방빈객개경。요사순입산림천택, 폭풍뢰우, 순행불미。요이위성, 소순왈 : “여모사지이언가적, 삼년의。여등제위。” 순양어덕불역。정월상일, 순수종어문조。문조자, 요대조야。
 
 

3. (국역)

요가 말하기를 “오! 사방의 제후들이여, 내가 즉위한지 70년이 되었는데, 너희 중에서 누가 능히 천명에 순응하여 나의 자리에 오를 수 있겠느냐?” 제후들이 대답하기를 “천박한 덕행으로 제왕의 자리를 욕되게 할 것입니다.” 요가 말하기를 “고귀한 친척이나 혈연적으로 먼 친척, 민간에서 숨어사는 자를 막론하고 모두 추천해 보시요.” 여러 사람이 모두 요에게 말하기를 “아내가 없는 어떤 사람이 민간에 산다고 하는데 우순이라고 합니다.” 우가 말하기를 “그래요, 나도 그 사람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어떤 사람인가?” 사방의 제후들이 말하기를 “맹인의 아들입니다. 아버지는 완고하고 어머니는 어리석으며 동생은 교만하지만, 능히 효도로써 화목하게 하였고 후덕한 덕행으로 가정을 다스려서 사악한 행동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가 말하기를 “내가 그를 시험해 봐야겠다.” 그래서 요는 자신의 두 딸 아황과 여영을 그의 부인으로 삼게 하고, 그들을 대하는 순의 덕행을 관찰하였다. 순은 두 부인을 타일러 훈계해서 자신의 거주지 규예 근처로 내려와서 거주하게 하고 부녀자의 예법을 따르게 하였다. 요는 만족하게 여기고 순으로 하여금 백성들에게 아버지는 의롭게(부의), 어머니는 자애롭게(모자), 형님은 우애 있게(형우), 동생은 공손하게(제공), 자식은 효성스럽게(자효) 등의 다섯 가지 교화를 신중하게 가르쳐서 따르게 하였고, 사람들도 모두 다섯 가지 교화를 따랐다. 이에 두루 백관의 직무를 담당하게 하니 백관의 업무도 질서정연하게 처리하였다. 궁전 사방에 있는 문에서 빈객을 맞아들이게 하였는데, 삼가고 공경하는 모양으로 영접하여 제후와 먼 곳에서 온 빈객들도 모두 공경하였다. 요는 순으로 하여금 산, 숲, 시내, 연못에 들어가게 하였는데 사나운 바람, 우뢰, 비를 만나도 순은 가는 방향을 잃지 않았다. 요는 훌륭하다고 여기고 순을 불러 말하기를 “그대는 일을 도모하면 주도면밀하게 하고, 말한 것은 반드시 공적으로 나타난 지 3년이 되었다. 그대가 왕위에 오르시요.” 순은 덕행이 백성을 기쁘게 못하므로 사양하였다. 정월 초하루에 순은 마침내 요의 시조 사당에서 요의 선양을 받았다. 문조는 요의 시조를 가리킨다.
 

 
 

4. (주석)

1. 요(堯) - 1-012-주석3 참고.
 
2. 4악(四嶽) - 1-015-주석10 참고.
 
3. 용명(庸命) - 용명(用命), 용천명(用天命)으로 천명에 순응하다.
 
4. 천(踐) - 자리에 오름.
 
5. 첨(忝) - 욕되게 하다, 적합하지 않다.
 
6. 소원(疏遠) - 혈연적으로 촌수가 먼 친척을 가리킨다.
 
7. 긍(矜) - 환(鰥)과 같으며 부인이 없는 노인을 가리킨다. 참고로 젊어서 부모가 없으면 고(孤), 늙어서 자식이 없으면 독(獨), 늙어서 부인이 없으면 환 또는 긍(矜), 늙어서 남편이 없으면 과(寡)라고 일컫는다.
 
8. 우순(虞舜) - 전설에 5제 중의 한명으로 이름은 중화(重華)이고 자(字)는 도군(都君)이다. 요허(姚墟) 즉 현재의 산동성(山東省) 제성시(諸城市)에서 출생하여 성씨는 요(姚)이다. 부락연맹의 우두머리로 국호는 유우(有虞)여서 유우씨(有虞氏)라고 하며 또 제순(帝舜), 대순(大舜), 우제순(虞帝舜), 순제(舜帝), 순(舜) 등으로 일컬었다.
 
9. 은(嚚) - 어리석을.
 
10. 증증(烝烝) - 후덕함.
 
11. 2녀(二女) - 요의 두 딸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가리킨다.
 
12. 칙(飭) - 타일러 훈계함.
 
13. 규예(嬀汭)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강 이름으로 산서성(山西省) 영제시(永濟市) 남쪽의 강을 가리키며, 규예는 규수의 강물이 흐르는 곳의 북쪽을 말한다. 둘째는 지역이름으로 순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산서성 영제시 포주(蒲州) 남쪽을 가리킨다. 규예는 즉 규허(嬀墟)이다.
 
14. 여(如) - 좆을, 따를, 순종할.
 
15. 신화(愼和) - 신중하게 따름.
 
16. 5전(五典)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소호,전욱,고신,요,순의 서적을 가리킨다. 둘째, 오상(五常) 즉 아버지는 의롭게의 부의(父義), 어머니는 자애롭게의 모자(母慈), 형님은 우애있게의 형우(兄友), 동생은 공손하게의 제공(弟恭), 자식은 효성스럽게의 자효(子孝)의 도리를 가리킨다.
 
17. 편(遍) - 두루.
 
18. 시서(時序) - 조리가 있다. 돌아가는 계절의 차례, 시간의 선후.
 
19. 4문(四門) - 명당(明堂) 즉 천자가 제후를 친견하는 궁전의 사방에 있는 문.
 
20. 목목(穆穆) - 위엄과 의식이 성대한 모양 또는 삼가고 공경하는 모양을 가리킨다.
 
21. 상일(上日) -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초하루 또는 원일(元日), 삭일(朔日)이라 한다. 둘째, 상순(上旬)을 말함.
 
22. 역(懌) - 기쁠.
 
23. 문조(文祖) - 요의 시조(始祖) 사당. 일반적으로 태조(太祖) 사당을 가리킴.
 
24. 대조(大祖) - 요의 시조를 가리킴.
 
 

5. (참고)

순(舜)의 역사상 공헌 -순의 역사상 공헌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위의 4흉(四凶) 세력을 제거하고 8개(八愷)와 8원(八元) 등 능력과 덕행을 겸비한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사방을 순시하고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형벌을 감경하고 도량형을 통일하였다. 둘째, 각 부락의 인재를 광범위하게 등용하고 관직을 설치하여 분담시켰다.
순(舜) #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오제본기 17
• 오제본기 16
• 오제본기 1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2)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